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14 09:38:37
Name kapH
Link #1 https://twitter.com/F1/status/1911459357792874703
Subject [스포츠] [F1] 바레인 그랑프리 간단 리뷰 (수정됨)

폴투윈으로 가볍게 우승한 피아스트리
올해는 챔피언 도전도 바라보고 있습니다.


노리스는 Q3에서 6번째 그리드를 차지했습니다.
중요할 때 생각보다 자주 미끄러지는 노리스


최종적으로 르클레에게서 3위를 탈취해내는 노리스
확실히 차 성능이 좋아서 포디움까지는 어떻게든 들어오네요


베르스타펜은 어제 굉장히 억울했습니다.
하드타이어로 교체하려고 피트인했는데 출발신호가 제대로 작동을 안해서 타이어 교체 다 하고도 출발 멈칫 거림
그렇게 교체한 하드타이어 페이스가 너무 안좋아서 다시 피트인했더니 오른쪽 프론트 타이어 교체 실수
그러더니 한 7랩 있다가 세이프티카 발동되서 엄청난 손해 크크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P6로 마무리한게 오히려 막스의 역량을 보여주지 않았나란 생각이


츠노다가 P9으로 들어오며 드디어 포인트를 따왔습니다.
지금 레드불 차량이 너무 구려서 이정도만 해도 감지 덕지


세이프티카는 츠노다와 사인츠의 컨택으로 발동되었습니다.
사인츠는 사이드팟 부분이 다 날라가서 이후 리타이어


그리고 FIA와 메르세데스의 찐빠도 있었습니다.
DRS 발동시키는 시스템이 고장나서 팀에서 코딩을 변경 후 드라이버가 알아서 DRS버튼을 눌러 발동시키도록 했는데
러셀의 경우는 팀 라디오 버튼을 누르자 DRS가 열려버리는 황당한 사태가 있었습니다.
이거 때문에 교무실에 소환되고 5초 패널티 나오지 않을까란 예상이 있었는데


37m 동안 DRS 사용으로 0.02초 이득 봤으나 다음 코너에서 0.28초 손실 본 것이 확인되어 노패널티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크크


헐켄버그는 스키드 블록 마모도가 규정치 이상이라 DSQ되었습니다.


베어먼도 20번째 그리드에서 시작했지만 순위를 10계단 끌어올리며 결국 포인트 피니시를 해내었습니다.
확실히 잘합니다. 한 1-2년 후에는 위닝팀에서 데려갈 것 같네요.


경기 결과


드라이버 챔피언 순위


컨스트럭터 챔피언 순위

다음 그랑프리는 사우디인데 트리플 헤더의 중간이라 바로 다음 주에 열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14 09:47
수정 아이콘
아이고 페라리야...
25/04/14 10:12
수정 아이콘
페라리 이야기가 없는 것은 퀄리부터 레이스까지 무난하게 조졌기 때문에
LuckyVicky
25/04/14 11:13
수정 아이콘
무난히 조졌다니요!!

어쩐 일로 페라리만의 미디엄 스타트 전략이 먹히나 기대감을 불러일으킨 후,
막스도 극복하지 못한 하드 타이어로, 세이프티카 때 동시에 바꾼 미디어 타이어에 후반에 따이는 페라리 다운 반전!!
25/04/14 10:02
수정 아이콘
하스 컨챔 5위!!

페라리는.....하드가 설마 24랩동안 안올라올줄은 몰랐겠죠....?
샤를 르클레르
25/04/14 10:03
수정 아이콘
막스가 하드로 꼬라박는걸 봤을텐데...
25/04/14 10:45
수정 아이콘
막붕이가 sc 전에 들어갔던게 하드가 제대로 작동을 안해서 미듐으로 바꾼거였거든요.. 보고도 쓴거라
삿포로인
25/04/15 09:28
수정 아이콘
사실 마지막 핏스탑때 페라리에게 선택지가 별로 없었습니다. 가지고 있는 타이어가 헌소프트랑 새하드 뿐이라, 헌소프트를 쓰기엔 남은 랩이 너무 많았고, 그래서 하드 퍼포먼스가 떨어지는걸 알면서도 새 하드를 어쩔수 없이 끼운 걸로 보입니다.
샤를 르클레르
25/04/14 10:02
수정 아이콘
소식 감사합니다~ 스즈카를 본 후 바레인을 보니 박진감이 2배였습니다.
페라리는 플랜 ABCD 이딴걸 하지 않는 편이...
LuckyVicky
25/04/14 11:14
수정 아이콘
브라보! 델타!
25/04/14 10:25
수정 아이콘
저렇게 폼 좋은 피아스트리도 알버트 파크의 홈 디버프는 못 이기더라구요...ㅠㅠ 그래도 피아스트리가 호주인이 포디움 못 서는 호주 그랑프리 저주 깰 가장 유력한 후보인거 같습니다 크크크
아이폰15pro
25/04/14 11:03
수정 아이콘
페라리는 미디엄-미디엄-소프트 전략 잘 가고 있었는데 세이프티카 타이밍때문에 망했다고 봅니다

실제로 두번째 미디엄 페이스가 너무 좋았어서 르끌이 조지랑 1초까지 따라붙고 있었는데 거기서 셉카가 나와서 랩이 너무 많이 남아서 하드를 간건데... 
이 장면에서 소프트를 간 조지가 대단한거지 페라리는 뭐 할법한 전략이었다고봅니다

도대체 타이어를 어떻게 만들면 하드가 이렇게 하드답지가 않지가 제 생각
25/04/14 11:03
수정 아이콘
막스가 하드 구리다고 몸소 알려줬는데 말 안들은 페라리가 제일 문제
25/04/14 11:48
수정 아이콘
DRS 는 진짜 어이가 없어서 크크크
코딩을 어떻게 하는거야?
25/04/14 12:43
수정 아이콘
맥라렌퍼스트는 아무리봐도 피아스트리가 더 맞는듯 하고
그리고 페라리 오랫만에 전술이 굉장히 좋았는데 세이프티카가 응 니넨 아니야 하고 외치는 크크크
25/04/14 13:50
수정 아이콘
레드불은 막스뿐만 아니라 유키 핏인때도 저러는거 보면 정신 못차린게 분명합니다.
환경미화
25/04/14 13:55
수정 아이콘
페라리는 세이프티카 발동했을때 르끌이랑 해밀건에게 하드 소프트 2개 다른타이어로 진행하는건 어땠을까 생각을 했었는데...?
막스도 버린 하드로 너무망해서
허저비
25/04/14 17:55
수정 아이콘
해밀턴 안옮겼으면 포디엄 한번은 했을까요?
뭐로 봐도 메르세데스 차가 더 좋아보여서...
하지만 한잔해 스프린트 우승했잖아
25/04/14 18:21
수정 아이콘
저 갠적으로 궁금한게 있습니다. 포뮬러에서 매년 머신에 대한 규정을 바꾸나요? 절대강자였던 레드불 머신 아녔나요? 머신 제작 노하우가 계속 이어질텐데 왜 매년 가장 좋은 머신이 바뀌는거죠? 특히 올해 레드불 머신 떡락 같은 일은 뭐 때문에 생기는건지 궁금하군요.
25/04/14 21: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규정 메이저 업데이트는 보통 4년 주기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이번 규정은 원래 22년에 메이저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어야 했으나 코로나 상황 때문에 규정을 거의 손대지 않고 거의 비슷한 규정이 8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 랩레코드가 많이들 갱신되고 있는데 팀들이 계속해서 업데이트를 하고 있다보니 올해 차량 성능이 매우 좋을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2. 보통 여름부터 내년 시즌을 위한 차량개발이 시작됩니다. 시즌 종료하면 그 때부터 1년동안의 피드백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다음 시즌 차량 개발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시즌 내내 업데이트를 하면서 차량 성능은 계속 우상향합니다.

3. 레드불이 23시즌엔 압도적이었고 24시즌 초반엔 압도적이었던 건 맞습니다. 하지만 24시즌은 레드불은 설계에서부터 한계점을 지니고 있었고 다른 팀들이 업데이트로 성능을 역전하면서 컨스트럭터 3위로 내려 오게 된겁니다.
FM으로 비유를 하지면 지난 시즌 시작할 때 레드불은 현재 능력치 120에 잠재능력치 160 정도인데 자른 팀들은 현재능력치 100 에 잠재능력치 170정도라 초반엔 레드불이 우월했지만 시즌 중 업데이트가 계속 이루어지지자 레드불 차량의 성능이 뒤쳐지게 된거구요.
막스가 대단한게 저렇게 딸리는 성능의 차량이더라도 어떻게든 포디움 경쟁을 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이죠.
보통은 성적을 결정하는 건 차량:드라이버가 9:1라고들 많이 이야기 하는데 막스만큼은 드라이버 기량을 더쳐줘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4. 현재 레드불 차량의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건 팀내 정치질로 인한 인원 이탈+좋은 성적으로 인하여 기존 인원들이 좋은 조건으로 이적 등으로 많이들 얘기합니다만 내부 사정이라 추측일 뿐입니다.
다만 내부 의사 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건 확실하고 그로 인한 여파가 작년부터 개발한 올해 차량 성능에 반영되고 있다고 봐야죠.

5. 올해 맥라렌이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도 한 10년부터 인재들 영입하기 시작하면서 축적된 개발 역량이 요새 2-3년 동안 만개한 거라고 봐야죠.
반대로 레드불은 애드리안 뉴이가 팀을 나가면서 팀이 망했다고 많이들 얘기하는데 제 개인적인 의견으론 이미 팀이 망가지는 과정의 결과가 뉴이 퇴단인거라고 봅니다.
레드불 전성기는 한참 전부터 축적된 긍정적인 개발역량의 관성이 작년까지 이어진거고 팀의 부정적인 무언가가 계속 누적되다가 올해 제대로 터진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올해 레드불의 부진은 딱 잘라 설명하긴 어렵다고 봅니다. 단순하게 팀 싸이클이 내려오는 기간이라고 봐도 되죠.
메르세데스 8챔이 비상적인거지 레드불 컨스트럭터 3챔 해먹은 것도 오래 해먹은 거라 크크
25/04/14 21:51
수정 아이콘
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LuckyVicky
25/04/15 00:50
수정 아이콘
페라리는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20026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455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76755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49138 0
88034 [연예] 오늘 더쇼에서 데뷔 후 첫 음방 1위에 성공한 이즈나 Davi4ever202 25/04/15 202 0
88033 [스포츠] [KBO] 이쯤되면 타자들 집합시켜도 무죄 [12] 손금불산입955 25/04/15 955 0
88032 [스포츠] [KBO] LG와의 전적을 뺀 성적(feat. 오늘의 순위) [9] 무도사904 25/04/15 904 0
88031 [스포츠] [KBO] 현재 평균자책점 순위 [11] 포스트시즌1445 25/04/15 1445 0
88030 [스포츠] 치어리더에 진심인 대만, LG 입단한 이주은을 향해 비난 폭주 [13] 아롱이다롱이2488 25/04/15 2488 0
88029 [스포츠] [KBO] LG 트윈스, 11년만에 팀 합작 노히트 노런 승리.gif (용량주의) [24] SKY921586 25/04/15 1586 0
88028 [연예] 유니스 미니 2집 타이틀곡 'SWICY' M/V [1] Davi4ever577 25/04/15 577 0
88027 [연예] 신병 시즌3 카메오 : 한가인 [13] Croove4920 25/04/15 4920 0
88026 [스포츠] 차...찬규야... [13] 제논4160 25/04/15 4160 0
88025 [스포츠] [KBL] ??? : 경기 과열되는 일 없이 먼저 잡는다. [14] 무적LG오지환3101 25/04/15 3101 0
88024 [스포츠] [KBO] 선발 10승이 이렇게 어렵습니다 [17] 손금불산입4690 25/04/15 4690 0
88023 [스포츠] [EPL] 99% 확정된 강등권 [11] 매번같은3795 25/04/15 3795 0
88022 [스포츠] [KBO] 트레이드로 웃음 짓고 있는 롯데 [51] 손금불산입3939 25/04/15 3939 0
88021 [스포츠] [해축] 전반기 2위 후반기 14위 지금은 6위 손금불산입1920 25/04/15 1920 0
88020 [스포츠] [해축] 부메랑왕 레반도프스키 [3] 손금불산입1824 25/04/15 1824 0
88019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5호 홈런은 점심콜.gif (용량주의) [7] SKY922544 25/04/15 2544 0
88018 [스포츠] [KBO] LG의 이주은 치어리더 [19] Croove3760 25/04/15 3760 0
88017 [스포츠] 이정후 여기로 공 날려줘 [15] Croove6049 25/04/15 6049 0
88016 [스포츠] 피닉스 마이크 부덴홀저 감독. 뉴올리언스 데이비드 그리핀 부사장 각각 경질 [13] SAS Tony Parker 2775 25/04/15 27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