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6/21 14:22:55
Name 윤석열
File #1 4.jpg (320.2 KB), Download : 646
Link #1 스포츠머그
Link #2 https://www.youtube.com/watch?v=i2pTjw8IHm0&t=21s
Subject [스포츠] [KBO] '참을 만큼 참았잖아' 코치 만류에도 '극대노 항의'...





1. 송구할때 공이 빠졌는데, 파울로 판정하는 심판
2. 타자가 발에 맞았다는데 무시하고 인플레이 상황으로 인정하는 심판
3. 방망이 안돌았는데 돌았다고 판정하는 심판
4. 고의적으로 발들어서 송구를 방해했다고 판정하는 심판


4번은 머... 그렇다 치지만 1,2,3번은 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21 14:26
수정 아이콘
어제는 진짜 빡칠만한...
PolarBear
24/06/21 14:27
수정 아이콘
1번부터 말이안되죠.. 물론 박승욱에러가 문제기도합니다만. . 저정도는..작심같은 느낌까지
비오는일요일
24/06/21 14: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저도 4번은 심판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정확하게 슬라이딩해서 베이스 딱 붙을 수 있게 훈련을 해야죠.
그거 안되면 뛰지말고 걸어가던가.
안철수
24/06/21 14:29
수정 아이콘
야구 오래 봤지만
득점권 찬스에서만 아웃카운트 세개 심판이 뺏어가는 경기는 처음 봅니다.
네크로노미콘
24/06/21 14:33
수정 아이콘
1번 2번 3번은 오심, 2번부터는 비디오판독 기회가 없어서 아쉽네요,
근데 4번은 수비방해가 맞다고 봅니다. 저걸 인플레이로 허가하면 앞으로 계속 저런 슬라이딩이 나오겠죠.
24/06/21 14:33
수정 아이콘
딴건 억울할만 한데 마지막은 솔직히 심판이 맞죠...
14년째도피중
24/06/21 14:33
수정 아이콘
KT팬인데 일 끝나고 하이라이트 보고서 한게 안들어갔습니다. 뻘쭘한데다 분위기 알 것 같아서.
오늘 슬쩍 들어가보니 간밤에 KT글마다 심판때문에 이겨서 기분 좋냐는 댓글들이.;; 박영현이 이강철 현역 시절을 넘는 홈런 공장장 된 거 관련해서 성토하고 싶었습니다만. 뭐.
저희도 저 정도 홈콜은 뭐라 할 말도 없고 난처하네요. KBO 최저 인기팀을 따로 밀어줄 리도 없는데.
14년째도피중
24/06/21 14:39
수정 아이콘
4번 관련은 이 분 말이 맞지 않는가... https://mlbpark.donga.com/mp/b.php?m=search&p=1&b=kbotown&id=202406210094166775&select=spf&query=kt&subselect=&subquery=&user=&site=donga.com&reply=&source=&pos=&sig=h6jjGf2Ajh9RKfX2hfj9Sf-Ajhlq
고의성 여부는 판정과 상관이 없는 모양입니다. 전준호 해설까지 고의성 여부를 논하는 바람에 묘하게 된 모양새.
24/06/21 14:37
수정 아이콘
주자있을때 마다 그러면 빡칠만하죠.
매번같은
24/06/21 14:41
수정 아이콘
https://m.sports.naver.com/kbaseball/article/139/0002204559
⒥ 더블 플레이 시도 시 슬라이딩
주자가 더블 플레이 성립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당한 슬라이딩’이 아닌 방식으로 야수에 접촉하거나 접촉을 시도할 경우 6.01에 따라 해당 주자에게 방해가 선고된다.
상기 예외 규칙에도 불구하고, 주자가 롤블록을 하거나 야수의 무릎 위로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차는 경우 또는 팔이나 상체를 던져 고의적으로 접촉할 경우(또는 시도할 경우)에는 ‘정당한 슬라이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
응원팀 경기보면서 롯데 경기 상황 눈팅하고 논란의 슬라이딩 부분도 얼핏 보긴 했는데 당시 엠팍에서는 저게 고의로 송구를 막은거냐...규정에는 고의성이 중요하다 그래서 오심이다 라는 얘기가 있었죠. 근데 오늘 올라온 기사 보니 고의성이 없더라도 규칙에서 규정한 "정당한 슬라이딩"이 아니고 수비를 방해하면 수비방해가 선언될 수 있다는 규칙이 위 고의성 언급한 항목에서 좀 지나니 있긴 하네요. 이게 강정호룰이라고 불린다고
1, 2, 3번은 뭐 빼박 오심이고요
설사왕
24/06/21 14:44
수정 아이콘
카메라 위치가 홈플레이트 앞에 있어 저렇게 보이는 거지 3번은 스윙 맞지 않나요?
매번같은
24/06/21 14:56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spoent/83394
며칠 전 이 글에 리플을 달긴 했지만 재미있게도 현재 한미일 야구 규칙 어디에도 스윙에 대한 명확하고 정확한 규정이 없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그동안 관습적으로 뱃끝이 돌아갔다, 홈플레이트에서 1, 3루 베이스를 연결한 선을 넘어갔다 여부로 체크스윙을 규정했죠. 팬들도 거기에 익숙해졌고. 그런 관습적인 관점에서 보면 스윙이 아니긴 합니다 크크.
빨리 로컬룰이라도 체크스윙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규칙을 정하고 체크스윙 여부도 비디오 판독에 넣어야 이 모든 일이 해결되는거죠.
설사왕
24/06/21 16:41
수정 아이콘
명확한 규정이 없는건 저도 알고 있습니다.
다만 님 댓글의 블로그에 나와 있는 기준으로도 스윙으로 보여서요.
다시 말하지만 카메라 위치가 홈플레이트 앞에 있어서 왜곡될 여지가 있는걸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4/06/21 15:47
수정 아이콘
메이저도 그렇고 한국도 스윙 여부는 심판이 판정한다라는 규정이 전부라 기준이 없습니다.
따라서 체크스윙은 이론상 오심이 나올수 없습니다.
하늘하늘
24/06/22 09:48
수정 아이콘
저도 스윙이라고 봐요. 일단 배트가 홈플레이트를 지나기도 했고
홈플레이트 앞쪽의 각도보다 내야쪽으로 기울어진걸로 보이기때문에 배트가 돌았다고 보는거죠.

말씀대로 카메라 위치가 앞에 있다보니 안돈것같이 찍혔는데 배터박스의 앞선을 연장해보면
돌았다는걸 알수있죠.
시무룩
24/06/21 14:50
수정 아이콘
혹시 경기 끝나고 심판실의 커튼이 쳐지진 않았나요?
아엠포유
24/06/21 14:57
수정 아이콘
하나하나 쌓이다 보니 튼동이 터질 만했죠
근데 박영현은 왜 저렇게 됐나요? 삼백호 삼영현 서동요 부르고 있는데 크크크
댓글자제해
24/06/21 15:13
수정 아이콘
어제 롯데는 비디오판독도 (상황상) 반강제로 초반에 쓰게되어 더 답답한 경기가 되었습니다....
주자만 쌓이면 매번 이러니 감독은 정말 빡칠만 했지요
마지막에 자멸하고 말아서 아쉬워요 9회에 쫓아간건 정말 대단했는데
조던 픽포드
24/06/21 15: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롯데보단 덜하지만 어제 삼성 ssg도 코너가 막아내고 삼성이 이겨서 이슈가 덜된거지 크리티컬한 타이밍에 오심이 2번이나 있었습니다.
대놓고 배트 돈걸 안돈걸로 판정하고 1루에서 2루 가면서 2루수가 땅볼 잡고 태그하는거 피하려고 아예 잔디로 빠져서 뛰었는데 스리피트 미적용...
제일 힘든 볼스트 판정도 빼줬는데 오심이 줄어야지 이러면 안되죠
가성비충
24/06/21 15:51
수정 아이콘
오심 총량 보존의 법칙이라던가..
그시기
24/06/21 16:05
수정 아이콘
3.4번은 심판은 맞는거 같은데요
24/06/21 16:17
수정 아이콘
3번이 스윙이라구요? 방망이 헤드가 안나왔는데요?
PolarBear
24/06/21 16:41
수정 아이콘
헤드를 기준으로 판단해야됩니다. 그러면 노스윙에 가깝죠..
마작에진심인남자
24/06/21 16:31
수정 아이콘
체크스윙 비디오판독 빨리 도입해야
윤석열
24/06/21 16:43
수정 아이콘
문제는 벳 돌았다 안돌았다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고합니다.
No.99 AaronJudge
24/06/21 17:04
수정 아이콘
잉 그거가 명확한 규정이 없어요..?
별로 안 보이는 상황도 아니고 한달에만 몇번씩 보는 케이스인데 신기하네요..
한국화약주식회사
24/06/21 17:43
수정 아이콘
메이저리그 조차 "심판이 판단한다."가 끝입니다. (...)
그래서 규정상 오심이 존재할 수가 없어요. 기준이 없고, 심판이 결정하는거라 심판 마음 = 판정 인 부분이 스윙 여부죠.
24/06/21 19:32
수정 아이콘
야구 규정이 빽빽하고 복잡하게 되어있지만
그럼에도 심판재량으로 판단되는 부분이 여전히 많습니다
물론 심판 재량이라고 해도 일관성없이 심판마다 다 다르면 문제가 있으니
관행상 배트헤드끝으로 판단하기는 하는데 찰나적인 판단이라
그때그때 틀리는 경우가 잦고 또 번트같은 경우는 헤드만보고 판단할 수도 없고
그야말로 그냥 공놀이였던 야구가 프로스포츠가 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전문화 고도화 산업화되면서 괴리가 생기는 부분이라
계속 문제가 발생하면 ABS처럼 객관적인 기준으로 바꾸는 변화가 필요하기는 할겁니다
24/06/21 17:17
수정 아이콘
제일 문제는 2번이었죠
최항이 리그에서 제일 못 치는 타자급이지만 쿠에바스를 무너뜨리기 직전이었는데 거기서 맥끊고 심판이 살려주니..
탑클라우드
24/06/21 18:15
수정 아이콘
어쩌면 그동안 야구라는 스포츠에서 심판의 판정은 우리 예상보다 훨씬 더 임의적이었는지도...
꼬마산적
24/06/21 18:47
수정 아이콘
아라온
24/06/21 19:40
수정 아이콘
체크스윙은 머 오심이 많이 날 수 밖에 없다 그러니 친다해도, 1번 판결이 비판에 안들어가는게 거참,,,
LCK제발우승해
24/06/21 20:11
수정 아이콘
KBO와 스포츠라는 가치를 가장 떨어뜨리는 걸 가만히 보고만 있어야 하나..
로드바이크
24/06/22 08:42
수정 아이콘
스윙은 공이 맞을 수 있는 (배터박스와 평행한것을 벗어나면) 배트 위치라면 스윙을 줘야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해봅니다. / 4번은 고의성은 없어보이지만 행위 결과가 수비방해는 맞는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553 [연예] [레드벨벳] 오늘 엠카 컴백무대 (+직캠) / 아이린-슬기 짐종국 출연 Davi4ever11 24/06/27 11 0
83552 [스포츠] 김병지, 양민혁 PL 빅6 팀중 한곳과 협상중 [15] 어강됴리1421 24/06/27 1421 0
83551 [스포츠] 이해인 피해자의 입장 발표 [26] Leeka2777 24/06/27 2777 0
83550 [월드컵] 2026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조추첨 결과 [112] TheZone6489 24/06/27 6489 0
83549 [스포츠] 점입가경 흥미진진? 피겨 음주 및 성추행 파문 [65] 수리검7819 24/06/27 7819 0
83548 [스포츠] UEFA 유로 2024 조별리그 F조 최종전 [1] SKY921740 24/06/27 1740 0
83547 [스포츠] [NBA]오늘 진행된 1라운드픽드래프트 결과(1~30) [22] Mamba2748 24/06/27 2748 0
83546 [스포츠] [축구] K리그, 대전시티즌 마사 복귀 [6] v.Serum2113 24/06/27 2113 0
83545 [스포츠] [축구]강원FC 양민혁, 프리미어리그 명문팀 이적 눈앞 [25] 윤니에스타3762 24/06/27 3762 0
83544 [스포츠] 여배 U-20 대표팀 명단 [1] 빼사스1213 24/06/27 1213 0
83543 [스포츠] [MLB] "피고 뉴욕메츠를 홈런형에 처한다." 판사님 30호 홈런 [13] kapH2997 24/06/27 2997 0
83542 [스포츠] [KBO] 부진을 겪고 있는 두산 정철원 [25] 손금불산입3671 24/06/27 3671 0
83541 [스포츠] [KBO] 역대 전반기 20-20 달성 선수들 [23] 손금불산입2512 24/06/27 2512 0
83540 [스포츠] 업무시작을 알리는 오타니 25호 [30] kapH3453 24/06/27 3453 0
83539 [스포츠] 이영표가 밝히는 '클롭급 감독'과 '승부조작 사면' 비하인드 스토리 [30] EnergyFlow5408 24/06/27 5408 0
83538 [스포츠] [K리그] 울산을 떠나 유럽으로 향하는 설영우 [2] 及時雨1434 24/06/27 1434 0
83537 [스포츠] 유로 2024 토너먼트 결승 대진과 우승국을 맞춰라 이벤트 [150] SKY922478 24/06/27 2478 0
83536 [스포츠] 유로2024 토너먼트(16강~) 대진표 [18] 무도사2754 24/06/27 2754 0
83535 [스포츠] [K리그] 드디어 K리그 데뷔골을 기록한 제시 린가드 [9] 及時雨4074 24/06/27 4074 0
83534 [연예] 성시경 유튜브에 좋아하는 곡,가수가 함께 올라왔습니다. [4] 대단하다대단해4231 24/06/26 4231 0
83532 [스포츠] [KBO] 프로 수준의 투수가 맞나 싶은 키움 투수진의 9회초 [29] 매번같은5867 24/06/26 5867 0
83531 [스포츠] 오늘의 KBO 끝내기.gif (용량주의) [13] SKY923815 24/06/26 3815 0
83530 [연예] 왜노자의 따끈따끈한 뉴진스 도쿄돔 후기.jpg(노스포) [17] 오후의 홍차4397 24/06/26 43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