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6/20 11:14:26
Name SAS Tony Parker
File #1 4b1959680a86e1442ca35facbaa65af5.jpg (23.1 KB), Download : 495
Link #1 박스오피스
Subject [기타] 듄 파트2 200만 도착


롯데시네마의 200만 기원 상영회 덕에 200만 찍고 내려갑니다

다음은 듄:메시아 파트
음악감독 한스 짐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ainworks
24/06/20 11:15
수정 아이콘
그냥 봐도 볼만한 영화인데 "꼭 아이맥스로 봐야돼!!!" 하는 분위기가 관객수에는 좀 악영향이 있었을듯도
객단가는 잘나왔겠지만요 크크
빼사스
24/06/20 11:23
수정 아이콘
그 영향도 있고 파묘 열풍이 거의 모든 일반관을 잡아먹은 것도 큰 거 같아요
24/06/20 11:19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에서 영화로 대박내는 공식이 뭔지 상당히 의아합니다.
파트1 안보고 봐도 꽤 재밌고 잘 만들었는데 왜 흥행이 이 정도 밖에 안됐는지 ;;;
빼사스
24/06/20 11:23
수정 아이콘
올해 워너가 좀 그러네요. 듄 파트2도 그렇고 퓨리오사도 그렇고
동오덕왕엄백호
24/06/20 11:24
수정 아이콘
sf서사라...사람들이 꺼려하는 영향이 있죠 스타워즈만 봐도 미국이나 다른나라에서는 대박인데 우리나라에서는...가장 흥행잘된게 깨어난 포스면..
24/06/20 11:26
수정 아이콘
저 같이 파트1 이거 뭥미?한 사람은 파트2 안보죠.
덴드로븀
24/06/20 11:32
수정 아이콘
듄1부터 상당히 지루한 편이라
기껏 SF 여도 참고 듄1 보고나서 듄2 봐야지 하는 비중이 높지 않을겁니다.

거기다 듄1/듄2 모두 포스터 색감까지 저래버리니 와 팝콘 잘들어가겠다 느낌이 거의 안들긴 하죠 크크
SAS Tony Parker
24/06/20 11:33
수정 아이콘
막줄 크크크크크
빼사스
24/06/20 11:47
수정 아이콘
아, 그래서 퓨리오사도....
24/06/20 12:29
수정 아이콘
어우 팝콘에서 모래씹힌다!!
24/06/20 12:33
수정 아이콘
일리가 있어!
Starscream
24/06/20 11:48
수정 아이콘
잘 아는 배우가 나와서 너무 어렵지않은 이야기를 해달라 이거겠죠.
及時雨
24/06/20 11:54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파트 2인데 1보다 관객이 더 들이서 신기했어요
계화향
24/06/20 13:26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오페라 장르가 우리나라에서 흥행한적이 잘 없습니다. 원래부터 인기 있는 장르가 아니에요.
VictoryFood
24/06/20 13:52
수정 아이콘
한국의 엔터/문화 산업은 최대한 쉽게 소비자에게 접근해야 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아니 세계적 추세인가?)
팝콘 무비, 이지리스닝, 스낵 컬쳐 모두 같은 결이죠.
거기에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니 비싸면 안됩니다.
가볍게 적은 돈으로 가볍게 소비할 수 있어야 하죠.
최근 크보가 흥행하는 것도 적은 돈으로 4시간 정도를 그냥 치고 달리는 거 보며 응원가 부르고 스트레스 풀고 오는 게 크다고 생각합니다.
미드웨이
24/06/20 14:07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는 그럴지 모르겠는데 SF물에서는 사실 그렇진 않죠. 가볍게 즐길수있어야하는 스페이스 오페라는 흥행 참패하고 오히려 하드SF에 가까운 영화들이 흥행 대박났던게 한국이라서요. 그리고 듄은 분위기가 좀 무거워서 그렇지 엄연히 스페이스 오페라에 속하는 작품이라 이정도 흥행은 한국기준으로 볼때 성공이지 결코 실패가 아닙니다.
DownTeamisDown
24/06/20 17:17
수정 아이콘
그렇죠 인터스텔라(1000만), 아일랜드 같은 하드 sf가...
스위치 메이커
24/06/20 17:32
수정 아이콘
인터스텔라는 하드SF라기엔...
미드웨이
24/06/20 14:04
수정 아이콘
200만이면 충분히 흥행한거 같은데 왜 실패했다고 보는지 모르겠는데요. 영상미 위주 영화라서 특히 객단가는 상당히 높을거고요.
파트1 안봐도 재밌다라는건 본사람 얘기지 안본사람은 알수가 없으니 아무래도 1편 흥행에 영향이 있는건데 1보다 많이 봤으면 괜찮죠.
24/06/20 15:03
수정 아이콘
실패했다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더 들어올 영화 같은데, 더 안들어와서 이해가 안된다는 거였어요.
마카롱
24/06/20 11:24
수정 아이콘
이동진님 영화 리뷰를 보다가 스페이스오페라 및 SF에 대한 우리나라 관객 성향 코멘트가 생각나네요.
우리나라 관객은 과거 지향적인 SF 영화는 안 좋아한다. 미래 지향적이고 현실성 있는 SF 영화를 좋아한다고요.
24/06/20 11:29
수정 아이콘
올해 가장 재밌게 본 영화였어요
24/06/20 11:31
수정 아이콘
최근 보면 가족들이 다같이 볼 수 있는 영화가 아니면 흥행하기 힘든거 같아요.
덴드로븀
24/06/20 11:35
수정 아이콘
가족의 개념보단 [팝콘이 잘들어가는가?] + [쉽게 볼수있는가?] 가 포인트라고 봐야겠죠.
유료도로당
24/06/20 13:46
수정 아이콘
동감하긴하지만, 파묘도 컨셉이나 포스터만 봤을땐 "와 팝콘 잘들어가겠다" 싶은 영화는 아니긴했는데 말이죠.. 크크 참 어려운것같아요.
박찬욱의 헤어질 결심이 왜 2백만도 못했을까는 여전히 미스테리고...
덴드로븀
24/06/20 14:16
수정 아이콘
저도 파묘는 이해불가의 영역이긴 합니다 크크크
분명 전작들 정도의 흥행으로 끝날거라고 생각했는데....생각했는데!!

헤어질 결심은 [너무 진지할것같아서] 안본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
미드웨이
24/06/20 14:19
수정 아이콘
원래 흥행이란건 아무도 모른다고 할정도로 이해할수없는 영역이었지만 코로나 이후 극장가는 그게 더 심해진 느낌입니다.

뭔가 분위기를 타서 볼만한다라는 여론이 형성되면 대박나는거 같은데 그렇지 못하면 이제 OTT로 보고말지 극장 왜감? 이러는거같긴 한데요.
덴드로븀
24/06/20 14:22
수정 아이콘
제대로된 대안이 생겼다는게 정말 큰것같긴 합니다. 애매해보이는 영화는 그거 뭐하러 극장가서봄? 이 되버리니...
24/06/20 11:34
수정 아이콘
리산 알 가입!
아리아
24/06/20 11:40
수정 아이콘
진짜 재밌었어요
24/06/20 11:40
수정 아이콘
천만흥행 이런건 바라지도 않고 그냥 후속작 계속 찍을수 있을정도는 흥행했으면 좋겠어요.
너무 잘만든 영화라
mooncake
24/06/20 11:41
수정 아이콘
전 이거 일반관에서 봤는데도 사운드가 미쳤던데 돌비는 어떨지 참 아쉬웠던 크크
SAS Tony Parker
24/06/20 11:42
수정 아이콘
돌비 극락행..
하루일기
24/06/20 22:41
수정 아이콘
돌비 너무 좋았어요...
뚜비두바
24/06/20 11:47
수정 아이콘
전 서사가 너무 길어서 지루했어요 댓글보니 사람 취향이 다 다르네요
Starscream
24/06/20 11:49
수정 아이콘
지루하다는 사람도 오히려 전개가 너무 빠르다는 사람도 다 이해가 됩니다.
24/06/20 16:01
수정 아이콘
저는 서사가 많아 풍성하게 느껴졌어요. 3시간이 넘는 러닝타임이 짧게 느껴지더군요.
24/06/20 18:12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흥미진진한데 몇몇 장면이 필요 이상으로 길게 느껴지더라구요.
도뿔이
24/06/20 12:32
수정 아이콘
재미있을 이유도 많은 영화지만 재미없을 이유도 많은 영화라...
SF가 우리나라에서 안된다는건 너무 일반론이고 mbti식으로 말하자면 우리나라 관객은 sf를 T의 감성으로 바라보는데 스타워즈나 듄은 F의 감성으로 봐야되는 영화라..
아우구스투스
24/06/20 19:55
수정 아이콘
사실 스타워즈는 SF를 가장한 사무라이극 혹은 서부극이고 듄도 중세풍 영화에 가깝죠.
대청마루
24/06/20 12:35
수정 아이콘
종교인이라서 재밌게 보면서도 꽤 여러 생각을 했던 영화였습니다 흐흐
24/06/20 12:35
수정 아이콘
이거 정말 잘뽑았는데 200만밖에 못찍었네요.
영화자체는 엄청 잘만들었는데, 듄1이 상대적으로 재미가없고 세계관을 공부하고들어가야해서 어렵습니다.
공부해서 알고봐야재밌으니 진입장벽이 높아서 흥행을 못하네요.
영화자체는 그럴만한 가치가 있을정도로 훌륭했습니다
24/06/20 12:40
수정 아이콘
200만이라 적어보이는데 다른 200만 영화와 비교하면 훨씬 흥행했죠. 일반관은 텅텅이었는데 특별관은 잘 찼으니까요. 용아맥은 예매조차 힘들었고요.
뒹굴뒹굴
24/06/20 12: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재미있게 보고는 있습니다만 절대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니죠.
200만도 대단하다고 생각 합니다.
자이너
24/06/20 13:10
수정 아이콘
올해 뿐만 아니라 최근 몇년간 영화중 최고였습니다.(아마 탑건 매버릭 이후?)
개인적 평가로 반지의 제왕과 비견 될 만한 영화라고 봅니다.
멸천도
24/06/20 13:28
수정 아이콘
전 듄1을 안보고 봤는데도 재밌게 봤습니다.
사다드
24/06/20 13:38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취향 등등이 다 다른것 같습니다. 저는 1편이 2편보다 훨씬 재미있었어요. 1편을 세번 봤는데 2편은 항번 보고 더 땡기지 않던....뭔가 책의 감흥하고 다른 것 같았어요.
Starscream
24/06/20 13:49
수정 아이콘
저와 똑 같네요. 저도 2편은 좀..... 깊이가 부족해졌다고 할까나....
제발존중좀
24/06/20 13:56
수정 아이콘
영화자체의 완성도와 재미도 중요하지만,
관객들한테 어필할수있는 포인트를 갖추는것과 마케팅이 그만큼 중요하죠.
듄은 그부분에서 국내관객한테는 많이 부족했다고 생각합니다.
국수말은나라
24/06/20 14:03
수정 아이콘
말은 안되지만 말도 안되니까 흥행서사가 있는 작품였습니다
혼자서 저 짧은 시간에 가문을 이끌어낼 정도면
펠릭스
24/06/20 14:56
수정 아이콘
2편은 영화라는 예술로 소화하려는 고심의 산물이지요. 마음에는 안들었지만 왜 저렇게 만들었는지 충분히 이해할 정도로.

팬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1이 체고지요.
어촌대게
24/06/20 17:08
수정 아이콘
저는 너무 좋았습니다.
리산알가입
벌점받는사람바보
24/06/20 17:31
수정 아이콘
듄1 영상미는 좋았지만
스토리는 별다른 감흥 없었고
소리는 웅장함을 넘어선 소음 턱걸이 할까 말까 정도였던게 좀 싫었습니다.
2 기대 된다는 반응 볼때마다 그정도 인가 싶었어요
미카엘
24/06/20 18:23
수정 아이콘
리산 알 가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532 [스포츠] [KBO] 프로 수준의 투수가 맞나 싶은 키움 투수진의 9회초 [29] 매번같은5899 24/06/26 5899 0
83531 [스포츠] 오늘의 KBO 끝내기.gif (용량주의) [13] SKY923829 24/06/26 3829 0
83530 [연예] 왜노자의 따끈따끈한 뉴진스 도쿄돔 후기.jpg(노스포) [17] 오후의 홍차4437 24/06/26 4437 0
83529 [연예] [아이브] 'SUMMER FESTA' M/V Teaser (2024 펩시X스타쉽 캠페인) [1] Davi4ever1402 24/06/26 1402 0
83528 [스포츠] [단독] "임신 책임지려 했는데…" 허웅, 전 여친 고소 전말 [124] 로즈마리10671 24/06/26 10671 0
83527 [스포츠] [해축] 마 형 세계랭킹 1위야.mp4 [5] 손금불산입3993 24/06/26 3993 0
83526 [스포츠] "G첩을 아십니까"…KT, '김영섭 대표 비속어' 확산 [42] Pzfusilier7900 24/06/26 7900 0
83525 [스포츠] 경기 전날 날새면서 술마셧던 선동열 성적.txt [38] insane6442 24/06/26 6442 0
83524 [스포츠] 연합뉴스가 공개한 손웅정 축구교실 피해아동 진술서 [21] 6839 24/06/26 6839 0
83523 [스포츠] 손웅정 손축구아카데미 언론보도 관련 입장표명 [58] 시린비6763 24/06/26 6763 0
83522 [스포츠] [KBO] 나균안에 대한 야구부장썰 [64] 김유라8187 24/06/26 8187 0
83521 [스포츠] 부산 사직야구장으로 원정가는 야구 선수들이 조심해야 할거 [34] 매번같은6521 24/06/26 6521 0
83520 [스포츠] [KBO] 5월 이후 팀 공격력 주요 지표 [30] nearby2643 24/06/26 2643 0
83519 [스포츠] [NBA] 미칼 브리지스, 뉴욕 닉스행 [8] 그10번1801 24/06/26 1801 0
83518 [스포츠] [해축] SPOTV NOW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제휴 종료 [17] 미원2680 24/06/26 2680 0
83517 [스포츠] [NBA] 미칼 브릿지스 뉴욕닉스행 [42] 윤석열1938 24/06/26 1938 0
83516 [스포츠] UEFA 유로 2024 조별리그 D조 최종전 [2] SKY921199 24/06/26 1199 0
83515 [스포츠] [KBO] 이번 시즌 규정타석 타율 워스트 5명 [9] 손금불산입2089 24/06/26 2089 0
83514 [스포츠] [해축] 한팀 7골이 아니라 한조에서 7골? [9] 손금불산입2252 24/06/26 2252 0
83513 [스포츠] [MLB] 본인이 뉴욕의 주인임을 판결하는 판사님 그랜드슬램 29호 [9] kapH1781 24/06/26 1781 0
83511 [스포츠] 표정으로 알 수 있는 경기 상황 [53] 무도사5349 24/06/26 5349 0
83510 [스포츠] 혼란한 와중에 자이언츠TV의 민심달래기.youtube [5] Thirsha1991 24/06/26 1991 0
83509 [스포츠] KIA vs 롯데 경기 승률 그래프 [16] STEAM1852 24/06/26 185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