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03/26 14:02:50
Name 손금불산입
File #1 1256234234634.jpg (111.5 KB), Download : 393
File #2 124346534634.jpg (173.5 KB), Download : 392
Link #1 네이버 등
Subject [스포츠] [KBO] 심상치 않은 KBO 공인구 반발력 상승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5043647
"공이 너무 잘 나가" 심상치 않은 KBO 공인구 반발력 상승, 다시 돌아온 홈런의 시대?

[KBO 공인구 반발 계수]
2019년 2차 0.4252
2019년 3차 0.4105
2020년 1차 0.4141
2020년 2차 0.4153
2021년 1차 0.4190
2021년 2차 0.4108
2022년 0.4061
2023년 0.4175
2024년 1차 0.4208

“작년에는 공이 진짜 안 뻗는 느낌이었는데 올해는 다르다. 공이 너무 잘 날아간다”

보통 반발계수가 0.001 높으면 비거리가 약 20cm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올해는 지난해보다 60cm 이상 더 날아간다는 계산이 된다.



[시즌별 홈런 갯수]
2018년 1,756개 (경기당 2.40개) 역대 최다
2019년 1,014개 (경기당 1.41개)
2020년 1,363개 (경기당 1.89개)
2021년 1,158개 (경기당 1.61개)
2022년 1,085개 (경기당 1.51개)
2023년 924개 (경기당 1.28개) 10구단 체제 최소

2024년 개막시리즈 9경기에서 18개 (경기당 2개)



작년에 공이 너무 안 나가긴 했던 것 같네요. 규정 범위 내에서 조절을 하는 것은 좋지만 조금씩 조금씩 바꿔야지 너무 급격하게 변화를 주면 리그에도 혼란이 커지지 않을까 싶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제이크
24/03/26 14:03
수정 아이콘
이 와중에 한 개도 못친 똑딱이 트윈스 놈들아....!
무적LG오지환
24/03/26 14:06
수정 아이콘
어쩐지 작년 코시때 5경기만에 8개를 치더라니 이 놈들이ㅠㅠ
역대 코시 최다 홈런 13 두산 9개인데 이땐 7차전까지 갔었죠.,......
꼬마산적
24/03/26 23:00
수정 아이콘
그래서오늘 하나 크크
VictoryFood
24/03/26 14:05
수정 아이콘
올리긴 했어야 했네요.
수치도 아주 많이 올린건 아닌거 같은데 아직은 체감도르 인 듯 싶기도 하구요
Rorschach
24/03/26 14:0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수치로 보면 작년에도 반발계수는 오히려 과거 평균보다 높았던 것 아닌가요?
손금불산입
24/03/26 14:3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번 시즌 더 끌어올린 것 같긴합니다. 물론 다른 요인의 영향들도 있겠지만...
더치커피
24/03/26 14:17
수정 아이콘
작년에 홈런이 너무 안나오긴 했죠
아엠포유
24/03/26 14:18
수정 아이콘
김라팍 덜덜덜
24/03/26 14:23
수정 아이콘
크보가 몰래몰래 가챠확률 주작하는것처럼 숨기는 문제도 아니고, 숨겨야될 이유가 있는 문제도 아니고
걍 반발계수 저만큼 올렸구나..하고 땡치는편이네요. 투고니 타고니 하는건 공하나로만 얘기할수 있는것도 아니고, 체감도르 영역도 너무 커서.
24/03/26 14:28
수정 아이콘
장타비중이 높은 팀이 유리하거나
---
작년 순장타율 순위
SSG 0.129
두산 0.118
NC 0.117
LG 0.115
KIA 0.114
한화 0.109
KT 0.106
삼성 0.105
롯데 0.097
키움 0.092
---
아니면 갖다 맞추기만 해도 속도가 빨라질테니 타율이 높은 팀이 유리하거나
LG 0.279
KIA 0.276
NC 0.27
KT 0.265
롯데 0.265
삼성 0.263
키움 0.261
SSG 0.26
두산 0.255
한화 0.241
---

어쨌든 이런 변화는 지양했으면 하네요.
점수 내는 루트는 다양해야 다채롭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다 봐유.
24/03/26 14:45
수정 아이콘
허용 범위 이내에서 왔다 갔다 하는거야 문제가 있는 건 아니라서...
최근엔 4.2 넘어가지 않도록 했던 것 같은데 작년과 차이가 미세하긴 해도 4.2가 넘어가니까 체감은 많이 달라지는 것 같네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4/03/26 14:46
수정 아이콘
반발계수 높았던 2018년...한화 가을야구 진출...
더치커피
24/03/26 17:05
수정 아이콘
찾아보니 뽕열님이 34홈런을 까셨네요 덜덜
네이버루미공방
24/03/27 00:26
수정 아이콘
뽕열 홈런스윙 뽕맛 못잊어
24/03/26 14:50
수정 아이콘
제작업체에서 공인구 반발계수가 QA관리 항목인지 모르겠는데 저정도 편차에 변화량이면
품질관리 엄청 빡쎄겠네요.
ChojjAReacH
24/03/26 15:26
수정 아이콘
지난 수치를 비교했을 때 작년은 뭔가 싶네요.
대충 0.4150~0.4200 사이면 적당할 거 같으네요.
24/03/26 15:44
수정 아이콘
19년하고 비슷한건데 19년에도 타고는 절대 아니었죠
닉네임을바꾸다
24/03/26 16:00
수정 아이콘
개막치곤 더웠던 날씨도 좀 있을려나...음...(무려 1주인가 2주 당긴건데도 날씨가...어음...)
PolarBear
24/03/26 16:01
수정 아이콘
레예스 홈런타구봤을때.. 저런총알이.. 에레디아는 저게?
바카스
24/03/26 16:21
수정 아이콘
현장에서 봤을 때도 김민성도 둥실둥실 저게 넘어갔어?
24/03/26 16:01
수정 아이콘
사직은 펜스좀 내리자..
OcularImplants
24/03/26 16:42
수정 아이콘
스트존 칼 같이 잡는 거 대비해서 반발계수 올린 건가 싶기도 하고요 크크크
24/03/26 17:16
수정 아이콘
수치가 진짜 조금 차이나는데... 적어주신 반발계수만 보면 전년도 대비 차이가 가장 적은게 올해인데요
뭔가 측정만으로 안보이는게 있는건지...
닉네임을바꾸다
24/03/26 17:24
수정 아이콘
뭐 기온이라던가 그런것도 보통 영향이 있는데...음...
시린비
24/03/26 17:41
수정 아이콘
세계표준같은건 없나봐요 국제대회하면 안헸갈리남
닉네임을바꾸다
24/03/26 18:14
수정 아이콘
보통 미국기준일겁니다...그래서 국제대회하면 늘 공이 미끄럽다고 이야기 늘 나와요 크크 반발계수하곤 별도로...
24/03/27 16:43
수정 아이콘
해당 대회를 누가 주관하냐 (= 공인구가 어디꺼냐)에 따라 갈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MLB의 롤링스는 반발계수가 좀 낮은 편이고 (0.3860 ~ 0.4005), NPB의 미즈노는 그보다 높습니다. (0.4034 ~ 0.4234)
KBO의 스카이라인은 미즈노와 같은 (0.4034 ~ 0.4234) 반발계수를 쓰구요.
raindraw
24/03/26 18:32
수정 아이콘
꽤 타고투저 시즌이었던 2010시즌의 반발력이 업체마다 다르지만 세 업체 중 하나는 0.4208 보다 높았고, 둘은 낮았으니 그 때 보다 더한 타고투저가 올 수도 있겠네요. 물론 엄청난 타고투저가 시작된 2014시즌 보다는 낮은 값입니다.
24/03/26 20:48
수정 아이콘
60센티가아니라 6미터 아닌가요?
이정재
24/03/27 12:27
수정 아이콘
6미터 올라갈만한 반발계수면 홈런이 문제가 아니고 땅볼들이 미쳐날뛸걸요..
24/03/27 13:56
수정 아이콘
아 기네요 제가 눈이 침침..ㅠㅠ
안철수
24/03/27 01:58
수정 아이콘
실밥, 무게 등 반발계수 말고도 비거리에 영향을 주는건 많아서.. 선수들이 느끼는게 정확하죠. 공에 뭘 하긴 했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164 [스포츠] 임창용, 바카라 도박에 쓰려 8000만원 사기 기소 [41] 카즈하8942 24/06/05 8942 0
82996 [스포츠] [F1] Destiny Fullfilled, 모나코 그랑프리 [20] 항즐이2297 24/05/28 2297 0
82955 [스포츠] [해축] 토니 크로스의 베르나베우 마지막 경기 [18] 손금불산입3878 24/05/26 3878 0
82908 [스포츠] [KBO] 타자 전향 키움 장재영, 오늘 2군 경기에서 4타수 3안타 1홈런 [20] 매번같은4933 24/05/24 4933 0
82877 [스포츠] [해축] 9년 동안 8개의 타이틀을 남긴 클롭풀 [9] 손금불산입3345 24/05/23 3345 0
82664 [스포츠] [MLB] 이정후 선수가 어깨 탈구 부상을 당했습니다. (소리有) [15] 매번같은6645 24/05/13 6645 0
82530 [스포츠] 푸르메재단 홍보대사 이정후 선수, 장애어린이 위해 1000만 원 기부 [5] 강가딘3459 24/05/07 3459 0
82115 [스포츠] [KBO] 8연패 수렁에 빠진 롯데 [50] 손금불산입6797 24/04/18 6797 0
82002 [스포츠] [WKBL] FA 최대어 진안, 전격 하나원큐행 "새 도전 기대"... [10] 윤석열3854 24/04/12 3854 0
81879 [스포츠] [KBO] 진지하게 고려되고 있는 포수 강백호 [82] 손금불산입9039 24/04/04 9039 0
81748 [스포츠] 베트남의 박항서 감독 시절 대 인도네시아 전적 [6] 어강됴리5929 24/03/27 5929 0
81725 [스포츠] [KBO] 심상치 않은 KBO 공인구 반발력 상승 [32] 손금불산입7807 24/03/26 7807 0
81637 [스포츠] 2024년 메이저리그 연봉 랭킹 (+한국,일본 mlb 선수 포함) [22] 콩돌이5590 24/03/20 5590 0
81630 [스포츠] "트랜스젠더 선수 여성부 출전 부당"‥소송 제기 [46] VictoryFood8417 24/03/20 8417 0
81542 [스포츠] 오타니의 와이프, 다나카 마미코 상. (+오늘 입국 장면 포함) [27] 콩돌이8901 24/03/15 8901 0
81507 [스포츠] [해외축구] 세 스코어러를 줄세워보자 [33] Slider5126 24/03/13 5126 0
81244 [스포츠] [해축] 첼시가 아니라 콩시라 불러야하나 [5] 손금불산입3870 24/02/27 3870 0
81071 [스포츠] [해축] 투헬아 또졌니.mp4 [25] 손금불산입5869 24/02/19 5869 0
80679 [스포츠] [해축] EPL을 양분했던 두 감독 펩 과르디올라 VS 위르겐 클롭 [16] 프로구29568 24/01/27 9568 0
80623 [스포츠] 호날두 중국에서도 노쇼 [44] 몰라몰라11453 24/01/24 11453 0
80398 [스포츠] [K리그] 605경기 출전 김영광, 영광의 골키퍼 장갑 벗는다 [5] 及時雨8011 24/01/06 8011 0
80397 [스포츠] [J리그] 이시다 마사토시, J1 주빌로 이와타로 이적 [6] 及時雨6432 24/01/06 6432 0
80372 [스포츠] '월드컵 멤버' 나상호, J리그 승격팀 마치다 이적 [8] 及時雨6617 24/01/04 661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