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12/17 08:39:41
Name 강가딘
Link #1 유튜브
Subject [스포츠] 내년 고교야구에 '로봇 심판' 도입 추진



아무래도 아이들 입시와 직결된거다 보니 판정의 공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입하려나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17 09:02
수정 아이콘
진짜 아마야구 특히 고교야구에 심판들 장난질 엄청나다고 하죠
(중계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보니)
닉네임바꿔야지
22/12/17 09:04
수정 아이콘
역시 입시... 입시가 걸리니까 이런 게 빠르게 도입되네요. 심판들 많이 아쉽겠네요.
22/12/17 09:19
수정 아이콘
공정함이라는 스포츠의 대전제 아래에선 다 부차적인 얘기죠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는 말은 과거의 말이 되겠죠(현실적으로 어쩔수없으니 감수하자는 의견이 헛소리가 될 테니)
ridewitme
22/12/17 09:19
수정 아이콘
로봇심판이라는 말은 모호하고 기계판독이라는 말을 쓰기로 했는데
김하성MLB20홈런
22/12/17 09:20
수정 아이콘
그런데 고교야구는 원활한 경기 진행을 위해서 존이 태평양이다라는게 정설이라서 스트존을 FM대로 보면 학생들 어깨 갈릴텐데요...
22/12/17 13:24
수정 아이콘
넓게 잡겠죠...

고교용스트/프로용스트 비율 (양궁으로 치면 텐/엑스텐 처럼) 같은것도 나중에 제공되는건 아닌가 모르겠네요? 흐흐
츠라빈스카야
22/12/17 15:08
수정 아이콘
모두에게 넓은 건 문제가 안되니 판정 범위만 통일하면 넓게 잡아도 상관없죠...
달밝을랑
22/12/18 03:57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존크기가 문제가 아니라 일관성이죠
22/12/17 09:31
수정 아이콘
근데 고교야구는 칼같이 스트존하면
볼이 너무 많이 나와서 진행이 안될텐데.. 그거는 어찌

야구는 투수가 못하면 게임이 안끝나는 종목이라서
22/12/17 09:32
수정 아이콘
아마 야구니까 아무래도 설정 존을 좀 넓게 주겠죠. 너무 칼같이는 못할테고.
동년배
22/12/17 10:55
수정 아이콘
저는 로봇심판이 너무 칼같이 봐서 존을 걸치는 변화구가 유리하기 때문에
오히려 어린 슨슈들이 성장기에 너무 변화구에 의존할까봐 걱정되기는 합니다.
22/12/17 11:22
수정 아이콘
반대로 타자 입장에선 꼰대 심판들의 장난질에 당하지 않는 선구안을 기를 수 있겠죠
겟타 엠페러
22/12/17 09:40
수정 아이콘
제발 프로야구에도 좀...
22/12/17 09:40
수정 아이콘
프로의 인생은 심판놀음
고딩의 인생은 로봇으로
닉네임을바꾸다
22/12/17 10:15
수정 아이콘
뭐 겸사겸사 테스트도 될테니...
22/12/17 11:03
수정 아이콘
좋은 결정이네요
qwerasdfzxcv
22/12/17 12:31
수정 아이콘
매일 경기 + 많은 사람이 보는 생중계라는 점에서 아직 프로 게임에는 기계 판독 전면 사용으로 인한 지연 시간 디메리트가 메리트보다 크다고 보지만 고교야구에는 딱 맞다고 봐서 좋아 보입니다
나이도프
22/12/17 13:08
수정 아이콘
로봇존 도입시에 기존에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던 스트존과는 꽤 차이가 있을텐데 잘 적용되기를 바랍니다
탑클라우드
22/12/17 14:09
수정 아이콘
장단이 있겠지만,
한가지는 확실하죠. 어느 경기든 스트라이크 존은 일정하고, 외부 의지가 승부에 개입할 여지는 분명히 줄어들 겁니다.
스포츠에서는 그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멀면 벙커링
22/12/17 14:33
수정 아이콘
역시 입시 앞에선 그깟 심판 기득권이 돼 버리네요.
아영기사
22/12/17 19:29
수정 아이콘
그런데 프로야구에서 적용이 안되면 고교 선수들은 육망성 존을 만나고 멘붕이 올 수도 있겠군요
펠릭스
22/12/17 21:31
수정 아이콘
사스갓 대한민국. 입시와 관련되기만 하면 온갖 적폐들이 그냥 날아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066 [월드컵] 브라질에게 진짜 빡쳤던 로이킨....'춤은 아르헨티나처럼 춰야한다' [64] OneCircleEast14489 22/12/19 14489 0
73065 [월드컵] 그래도 아직은 브라질... [17] 우주전쟁10049 22/12/19 10049 0
73064 [스포츠] (해축) 앞으로 축구 지존들의 평가는? [76] 국수말은나라11562 22/12/19 11562 0
73063 [기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오펜하이머] 공식 티저 예고편 [13] SAS Tony Parker 9102 22/12/19 9102 0
73062 [월드컵] 강화성공 [12] 어강됴리11809 22/12/19 11809 0
73061 [월드컵] 반박할 수 없는 메시가 최고가 아닌 점.gfy [54] 손금불산입13804 22/12/19 13804 0
73060 [월드컵] 조규성 보그 코리아 표지 [15] 어강됴리10358 22/12/19 10358 0
73059 [연예] 디스패치 단독 "권리일까, 갑질일까"…츄, '이달소' 사태의 전말 [155] 18947 22/12/19 18947 0
73058 [스포츠] 월드컵 토너먼트에서 역대급 평점을 찍은 리오넬 메시.JPG [10] 실제상황입니다11609 22/12/19 11609 0
73057 [스포츠] 디마리아 보고 결승전의 사나이라고 부르는 이유.TXT [18] insane8903 22/12/19 8903 0
73056 [스포츠] 특별히 좋아하는 메시 스페셜 영상 (Overall 2015) [9] 시나브로7377 22/12/19 7377 0
73055 [월드컵] 카타르 월드컵 결승에서 쓰여진 기록들 (데이터) [18] 손금불산입7606 22/12/19 7606 0
73054 [연예] [갤럽] 올해를 빛낸 가수와 가요 [41] 위르겐클롭10114 22/12/19 10114 0
73053 [월드컵] 앞으로 음바페가 달성할 가능성이 높은 기록... [39] 우주전쟁9786 22/12/19 9786 0
73052 [월드컵] 결승전 개인적인 단상들 [33] 안아주기8949 22/12/19 8949 0
73051 [월드컵] KBS는 4년전과 비교해서 시청률이 얼마나 떨어진걸까? [31] Leeka11243 22/12/19 11243 0
73050 [월드컵] [월드컵] 카타르 월드컵 결승전 시청률 16.8% [26] 강가딘10601 22/12/19 10601 0
73049 [스포츠] 메시 : 대표팀 은퇴없다. [70] 어강됴리13391 22/12/19 13391 0
73048 [월드컵] KBS, 스포츠 국장 보직해임... 월드컵 중계방송 전쟁 참패 탓 [95] Davi4ever14456 22/12/19 14456 0
73047 [월드컵] 결승전 주심 후보에 엔서니 태일러도 있었나네요 [6] 강가딘9363 22/12/19 9363 0
73046 [스포츠] 역대급 재미의 월드컵 [35] 짱구11038 22/12/19 11038 0
73045 [월드컵] 재평가되는 국가 [14] TheZone10628 22/12/19 10628 0
73044 [연예] 2회분만 남겨놓은 <재벌집 막내아들> 시청률 근황 [32] 아롱이다롱이11166 22/12/19 1116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