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10/06 14:55:11
Name 손금불산입
File #1 20221003105001918.png (33.6 KB), Download : 57
Link #1 스포츠춘추
Subject [스포츠] [KBO] 평균 144.2km/h, KBO도 구속 혁명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29&aid=0000064133
리그 투수 평균이 '144.2km/h'…구속 혁명, KBO리그 상륙

30년이 지난 지금 140km/h는 더이상 강속구 투수의 기준이 되지 못한다. 시즌 막바지를 향해가는 10월 3일 현재 KBO리그 투수들의 포심 평균구속은 144.2km/h에 달한다. 슬라이더 평균 구속도 함께 올라 2015년 130km/h에서 133.1km/h가 됐다.

20221003105001979.png

리그 전반적인 투수들의 공이 빨라진 것도 사실이다.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규정이닝 국내투수 가운데 평균 145km/h를 던진 투수는 한 명도 없었다. 2019년 단 2명이 나온 뒤 2020년 0명, 지난해 1명에 그쳤다. 그러나 올해는 무려 6명이 평균 145km/h 이상을 기록했다.

50이닝으로 범위를 넓혀도 강속구 투수의 증가가 눈에 띈다. 2015년 9명이었던 145km/h 이상 투수가 2018년 15명, 2019년 16명, 지난해 19명을 거쳐 올해는 무려 27명으로 증가했다.



신체조건 향상 + 프로 구단의 관리 기술 발달 + 최신식 훈련 프로그램 도입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네요.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730

세계 야구는 ‘구속 혁명’ 시대다. 시작은 메이저리그였다. 야구 통계 사이트 팬그래프는 2002년부터 메이저리그 패스트볼 구속을 집계해왔다. 첫해 평균 구속은 시속 143.2㎞였다. 2004년 시속 145㎞를 돌파했고, 2011년엔 시속 147.2㎞였다. 2017년 149.3㎞로 올라가더니 마침내 지난 시즌에 시속 150㎞ 벽을 무너뜨렸다. 올해 6월7일 현재 기록은 시속 150.4㎞다. 20년 만에 시속 7.2㎞가 빨라졌다.

미국발 ‘구속 혁명’은 동아시아 프로야구에도 전파됐다. 2014년 일본 프로야구(NPB) 퍼시픽리그 포심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시속 141.2㎞였다. 올해는 시속 146.2㎞로 시속 5.0㎞ 향상됐다. 센트럴리그는 같은 기간 시속 3.9㎞ 향상이 이뤄졌다. KBO리그도 2014년 시속 141.0㎞에서 2022년 시속 144.0㎞로 시속 3.0㎞ 빨라졌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시속 1.1㎞ 증가했다. 2014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다.



그래도 다행히 크보가 트렌드를 아주 놓치지는 않고 따라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러면 투수들의 팔에 부담이 더 가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ronx Bombers
22/10/06 14:57
수정 아이콘
이미 토미 존은 한미일 모두 투수 인생의 기로가 아니라 통과 의례정도로 취급받고 있죠. '투수면 누구나 지퍼 하나씩은 갖고 있잖아요' 느낌? 워낙 팔꿈치 다치는 투수도 많고 기술의 발달로 재활기간이 짧아지다보니 요즘은 다치면 다쳤나보다 쉬다 와라~ 수준이 되버림.
윤석열
22/10/06 14:57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갈갈하는게 있겠죠 . 근데 또 그만큼 휴식이나 관리차원의 기술도 발전해서 마냥 몸에 더 무리주는 방향으로 가는건 아닐거라 봅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2/10/06 14:57
수정 아이콘
메이져도 구속이 빨라지면서 부상의 증가 + 이닝소화력의 감소는 어쩔수 없었죠. 신체 개조수준이 아닌 이상 몸에 무리가 가는건 당연할테고...
MegaDrive
22/10/06 14:58
수정 아이콘
강하게 던지면 던질수록 강해지니 안심!
류수정
22/10/06 14:59
수정 아이콘
과연 유희관의 은퇴는 몇km나 영향을 미쳤는가
이른취침
22/10/06 15:53
수정 아이콘
이거죠!
22/10/06 15:5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최근 영건들이 유독 구속이 좋구용
담배상품권
22/10/06 14:59
수정 아이콘
갈려도 프로에서 갈려야지, 고등학교건 세계대회건 어린 선수들 팔좀 아꼈으면 좋겠습니다.
제3지대
22/10/06 15:02
수정 아이콘
그래? 그러면 누구나 최동원처럼 한국시리즈 4승 투수가 가능하겠군!
이런 결론에 도달해서 투수들 마구 굴리는 일이 벌어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근데 진짜로 그럴거 같다는 불길한 예감이 드는건 왜 일까..
땅콩만두
22/10/06 15:03
수정 아이콘
오늘자 팬그래프기준 메이저리그 2022년 190 이닝 이상 던진 투수가 14명 입니다.
2002년에는 59명, 2012년에는 48명. 굵고 짧게 던지는 쪽으로 변하고 있죠.
네이버후드
22/10/06 15:13
수정 아이콘
이거죠 그 상황에 집중
22/10/06 15:39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짧고 굵게 던지면서 분업화가 점점 강해지고 있습니다. 완투가 거의 없습니다. 역대 완투순위를 보면 1980~90년대 선수들이더라구요. 그리고 이번에 신인 드래프트 보니까 고교 선수들도 140km 중반~150km대까지 던지던데 여기에도 위에 언급된 원인들이 크게 반영된 것 같습니다.
동년배
22/10/06 15:06
수정 아이콘
구속 증가와 (등판) 혹사는 다른 거죠. 구속 증가는 애초 잠재력을 더 끌어내는거고 데미지는 아무래도 쌓이겠지만 포심 구속 안되서 슬라이더 포크볼 비중 높이는 것보다는 더 나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22/10/06 15:07
수정 아이콘
한경기를 7이닝 이하로 줄인다면 투수들 이닝도 줄어들고, 경기 시간도 줄어들고 장점이 많을 것 같네요. 야구 2.0이 필요하달까..
22/10/06 16:45
수정 아이콘
입장료는 유지하고 7이닝으로 줄여드립니다....
로즈엘
22/10/06 15:37
수정 아이콘
타자의 기술향상에 따라 투수들은 구속 증가로 맞서왔고 투수의 구속 증가는 투수의 부상을 필연적으로 가져오게 되는데, 이러한 점으로 인한 투수의 부속 현상은 메이저리그에선 선수풀로 대응이 되는데, 크보에선 어려울 것이라고 어디선가 본거 같은데.
이닝을 먹어주는 선발이 더 중요해질지. 아니면 선발 투수에게도 다른 요소가 강점이 될지 궁금하네요.
AaronJudge99
22/10/06 17:38
수정 아이콘
메이저는 쓰다가 어 고장났네 해도 마이너 투수로 대체가 되는데
한국은 음
태정태세비욘세
22/10/06 15:47
수정 아이콘
원래 상승은 맞지만 메쟈 일본 상승율 대비 꽤 낮았던거 같은데
올해는 유의미한 상승이네요
그의 은퇴때문인지...
이정재
22/10/06 17:59
수정 아이콘
율로 따지면 일본보다 한국이 높죠
시작이 낮아서...
22/10/06 15:48
수정 아이콘
저는 그것도 그건데 베이징 세대가 속속 프로 무대에 들어오면서 질적 향상이 이루어진 것도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월드컵 세대도 같은 시대에 훈련했는데 드라마틱한 구속 변화가 많지는 않죠.
22/10/06 15:51
수정 아이콘
신체조건 좋은 어린 선수들이 늘어나면서 구속이 빨라진게 크죠. 안우진은 190이닝을 던지면서 패스트볼 평균 구속이 153.4이고, 곽빈이나 문동주 같이 떠오르는 강속구 선수들도 있구요
22/10/06 15:51
수정 아이콘
크보도 타자들이 발사각 이론을 적용하는 스윙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이에 대한 투수들의 가장 좋은 대처방안은 구속과 구위로 찍어누르는(배트에 안맞춰주는) 것이라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합니다.

다만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결국 투수 인재풀이 넓어야 투수들이 버텨내는데 크보는 인구 감소로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김유라
22/10/06 15:51
수정 아이콘
마이애미의 샌디 알칸타라가 이 흐름을 역행하는 완투형 기교파 투수죠. 직구와 싱킹 패스트볼 섞어서 땅볼 유도를 해내는... 물론 이 선수도 구속 끌어올릴때는 98마일까지 나오는게 함정이지만요.

향후 이 선수의 평가가 궁금해지긴 합니다. 지금 통산 ERA 와 FIP 의 갭이 0.6 까지 벌어졌고, 그 가치를 이닝 이터로써 대체하고 있는데 과연... 당장 이번 사이 영 때 결정나겠지만요.
wish buRn
22/10/06 16:07
수정 아이콘
2010년까지만 해도 리그 최강의 이닝이터는 250이닝쯤 던졌는데,이것도 10%가까이 감소했네요.
22/10/06 15:53
수정 아이콘
이 글과 댓글들을 보고 드는 의문은 100마일 직구 꽂아대면서 40후반까지 5386이닝을 던진 놀란 라이언은 인간이 맞는건가 하는 거군요.
해바라기
22/10/06 16:54
수정 아이콘
사자?
구마라습
22/10/06 17:4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름도 놀라서 놀란 아니겠습니까?
한국화약주식회사
22/10/06 17:47
수정 아이콘
심지어 부상도 없음... 그냥 신이 주신 몸이죠..
김하성MLB20홈런
22/10/06 16:08
수정 아이콘
구속 증가는 당연히 신체 부하를 불러오는거라서 결국 크보도 불펜투수들 부품화가 일어날텐데 과연 한국 야구 풀의 뎁스로 충당 가능할지에 대해선 회의적이네요. 한동안 골짜기 세대여서 검증이 필요한데 이제 슬슬 베이징 키즈들이 1군에 모습을 내미는 시기라 이제부터가 시작이겠죠.
대전제인 최소한의 제구력을 제외하고 얘기하면 크보에서 투수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구속보다는 확실한 킬링샷이 되어줄 세컨피치의 완성도가 더 성공과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안우진도 작년보다 포심 평속 늘었지만 구사율은 10%나 줄였습니다. 슬라이더 제구력이 잡힌게 큰데, 그래서 개인적으로 기본기 잡힌 유망주들은 포심은 구속 외에도 디셉션이나 릴리스포인트/익스텐션이나 RPM/회전축 등으로도 보완할 수 있으니까 너무 구속에 집착말고 손에 맞는 세컨피치를 최대한 빨리 찾았으면 합니다.
D.레오
22/10/06 16:38
수정 아이콘
반면에 부상이 늘어난것도 사실이죠..
이닝수가 오히려 줄어들었는데 불구하고
이정재
22/10/06 17:56
수정 아이콘
통계가 있나요?
VictoryFood
22/10/06 18:06
수정 아이콘
웨이팅과 타격 기술의 발달을 투수들이 감당할 수 없으니 몸을 갈아넣고 있는 거죠.
그래서 MLB 로스터도 투수가 모잘라서 더 늘어났구요.

점점 이닝에 대한 가치가 더 높아져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시애틀의 Marco Gonzales 가 183 이닝을 던지고 WAR가 0 인데 이 선수가 대체선수 대비 가치가 전혀 없느냐? 라고 하면 절대 그렇지 않으니까요.
지니팅커벨여행
22/10/06 19:26
수정 아이콘
부상이나 혹사는 구속 올라가서 오는 게 아니고 많이 자주 던지거나 변화구 던질 때 폼이 몸에 무리가 가서 오는 게 대부분이죠.
구속 오른다고 내구성 떨어질 걱정은 할 필요가 별로 없습니다.
StayAway
22/10/07 09:26
수정 아이콘
100완투는 더더욱 견고한 기록이 되겠군요..
마르키아르
22/10/07 19:16
수정 아이콘
구속이 다는 아니지만

우리나라 현재 평균구속이 2002년도 메이저리그 평균 구속보다 높다는건 놀랍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312 [스포츠] [해축] 엔소 페르난데스 이적료 130m 오퍼 외 [18] 손금불산입6616 22/12/28 6616 0
73104 [스포츠] NC, WS 우승 외인 투수 에릭 페디 영입…총액 100만 달러 [7] SAS Tony Parker 6078 22/12/20 6078 0
72888 [스포츠] [여자농구] 오늘 역대급 경기 나왔네요. [31] TheZone7892 22/12/12 7892 0
72737 [스포츠] 인스타로 팀닥터들 저격했던 손흥민 전담 트레이너 vs 국대 의료팀 상황 요약.txt [105] insane14402 22/12/07 14402 0
72716 [스포츠] [PL] 존 테리, 케인은 토트넘 떠나 '더 큰팀'으로 가야한다.gisa [19] 낭천8660 22/12/06 8660 0
72200 [스포츠] 6년 90억 채은성 통산성적및 잠실 VS 비잠실 통산성적.JPG [31] insane7667 22/11/22 7667 0
71914 [스포츠] [KBO] KIA 한승혁.장지수 - 한화 변우혁 트레이드 [87] 한국화약주식회사9161 22/11/10 9161 0
71880 [스포츠] [해축] 사우스게이트 매디슨 왜 안씀? (데이터) [11] 손금불산입7691 22/11/09 7691 0
71879 [스포츠] [KBO] 최근 10년째 이어지고 있는 징크스 [21] 무도사9144 22/11/08 9144 0
71790 [스포츠] [야구] 역대 한국시리즈 우승장면 [10] Croove7355 22/11/05 7355 0
71774 [스포츠] MLB 저스틴 벌랜더 커리어 월드시리즈 첫 승.gfy (용량주의) [14] SKY929642 22/11/04 9642 0
71729 [스포츠] 엘지 트윈스 차기 감독 염경엽 내정 (오보) [56] 지대호11783 22/11/02 11783 0
71725 [스포츠] [KBO] 키움, 한국시리즈 1차전 승리 및 코시 6연패 탈출 [54] TheZone9932 22/11/01 9932 0
71645 [스포츠] [KBO] 키움, 2019년이후 3년만에 코시 진출! [172] TheZone10857 22/10/28 10857 0
71593 [스포츠] [KBO] 켈리 징크스가 있는 LG [24] TheZone8684 22/10/26 8684 0
71560 [스포츠] MLB 2022년 월드 시리즈는 필라델피아 필리스 VS 휴스턴 애스트로스 [30] SKY928862 22/10/24 8862 0
71543 [스포츠] 양키스팬들은 왜 62홈런의 저지에게 야유를 퍼부었는가 [32] 핑크솔져12519 22/10/23 12519 0
71423 [스포츠] [NBA] 제발 한국인이라면 클리퍼스 좀 응원합시다 [17] 그10번8019 22/10/18 8019 0
71386 [스포츠] [해축] 250m보다 빛나는 첼시의 진짜 재능.gfy [7] 손금불산입8627 22/10/17 8627 0
71350 [스포츠] MLB 16년만에 홈에서 관중과 함께했던 샌디에이고의 포스트시즌 [7] SKY929036 22/10/15 9036 0
71312 [스포츠] MLB 샌디에이고 vs LA 다저스 NLDS 2차전.gfy (용량주의) [6] SKY927743 22/10/13 7743 0
71230 [스포츠] MLB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년만에 디비전 시리즈 진출.gfy (용량주의) [22] SKY929046 22/10/10 9046 0
71135 [스포츠] [KBO] 평균 144.2km/h, KBO도 구속 혁명 [35] 손금불산입10374 22/10/06 1037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