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1/01/20 15:42:57
Name 벌레퇴치
File #1 i13502351820.jpg (387.1 KB), Download : 38
Link #1 mlb
Subject [스포츠] 만루에서 고의사구로 내보낸다고?


상대가 배리본즈라면 인정이죠.
그 다음타자 제프켄트도 MVP출신의 거포.
당시 배리본즈는 누상에 주자가 있으면 어지간하면 걍 내보내는 수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타마노코시
21/01/20 15:45
수정 아이콘
다른 타자라면 저상황에서 고의4구 지시한 덕아웃 욕을 박았겠지만, 저 상황에서 본즈의 기대값이 1점 이상이었으니 인정이죠.
지금만나러갑니다
21/01/20 15:45
수정 아이콘
약물 논외로 하고,
인류 역사상 최고 타자의 위용을 보여주는 순간 아닌가 싶습니다.
스토리북
21/01/20 15:46
수정 아이콘
맞는 판단이란 게 너무 웃기네요 크크
오클랜드에이스
21/01/20 15:51
수정 아이콘
자존심이고 뭐고 없죠.

약즈 약 한창하던 시절에 에인절스 마무리 트로이 퍼시벌이 월드시리즈에서 본즈 타석에 승부하다가 홈런 후드러맞고 그 뒤로 도망치기 바빳던 일화도 있으니...

https://www.youtube.com/watch?v=Ol2_UkJS6kw
홈런 맞는 장면
비밀....
21/01/20 15:55
수정 아이콘
저게 98년이라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야기하는 약즈 이전이죠.
그때도 이미 MVP 3번 수상한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 타자이긴 했지만.
Bukayo Saka_7
21/01/20 17:29
수정 아이콘
그시절의 트라웃..
21/01/20 15:57
수정 아이콘
뒷타자가 좌타자라서 제프 켄트일리가 없고......찾아보니 1998년 5월 28일 경기인데 이날 경기에서 본즈는 뭔 이유였는지 암튼 빠져있다가 7회에 대타로 투입되어 9회는 두번째 타석이었군요. 다음 타자는 브렌트 메인이라는 타자였고요.

그날 경기 박스스코어 및 경기진행 https://www.baseball-reference.com/boxes/SFN/SFN199805280.shtml
더치커피
21/01/20 16:46
수정 아이콘
진짜 제프켄트가 저런 상황이었다면 혈압올라 돌아가시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가뜩이나 본즈랑 사이도 안좋았는데..
21/01/20 16: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진지빨고 이야기 하자면 맞는 판단은 아니죠.
세이버가 대중화 되고 전력 분석팀이 팀을 장악한 지금도 본즈를 거를거 같긴 합니다만.
21/01/20 17:40
수정 아이콘
진지빨고 이야기 하자면 맞는 판단인 것 같은데요.
본즈가 대타로 들어와서 바로 다음 타자가 8번타자 포수라.
21/01/20 19:51
수정 아이콘
위의 수식에 따라 당시 승률을 계산해보면 .179 + .009 × 7.0 = .242이다. 즉, 배리 본즈가 타석에 섰을 때 자이언츠의 승률은 24.2%이었다.

그럼 이번에는 배리 본즈를 고의사구로 거르고, 브랜트 메인을 상대했을 때의 승률을 다시 계산해보자. 동일하게 9회말 2아웃 주자 만루의 상황이지만, 스코어는 8:7로 바뀌었다. 이 때의 기대 승률은 .272이며, LI는 무려 10.9로 상승한다. 브랜트 메인은 ’98년에 .060이라는 평균적인 WPA/LI를 기록했다. 타석당으로 환산하면 .000이며, 거의 평균 수준의 타자인 셈이다. 따라서 기대 승률은 .272 + .000 × 10.9 = .272로 계산된다. 결국 배리 본즈가 타석에 있을 때보다 기대 승률이 +3.0% 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따라서 애리조나 입장에서 배리 본즈를 고의사구로 출루시킨 것은 그리 합리적인 선택이었다고 볼 수는 없겠다. 결과적으로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그런데 만약 동일한 상황에서 ’98년 본즈가 아니라, 2000년대 본즈였다면 어땠을까? 본즈는 2001년 13.04의 WPA/LI를 기록했으며, 이는 타석당 .020에 해당한다. 동일하게 기대 승률을 계산하면 .179 + .020 × 7.0 = .319이다. 승률이 무려 31.9%가 되므로, 고의사구로 출루시키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
한 6년전에 직접 계산하신 분이 계십니다.
21/01/20 18:01
수정 아이콘
뭐 만루 투아웃에 기대 득점이 0.76인데 이건 일반적인 상황이니까.. 그대로 갖다가 붙이기엔 어려울것 같아요. 본즈는 예외처리하고 1점차에서 다음 타자가 점수 낼 기대치가 1이 안된다고 생각한다면, 현대 야구에서도 오히려 나올수 있는 일일것 같네요
21/01/20 16:07
수정 아이콘
세이버고 나발이고 투수가 멘탈적으로 못 버틸거 같아요.
아이폰텐
21/01/20 16:10
수정 아이콘
투수멘탈을 세이버는 고려하지 않으니까요
요슈아
21/01/20 16:11
수정 아이콘
세이버고 나발이고 약본즈 전성기면 누구라도 저 판단 할 겁니다.
21/01/20 20:14
수정 아이콘
약본즈도 아니고 5툴 본즈 시절..
21/01/20 16:16
수정 아이콘
얼굴이나 화질 보면 약본즈 시절이 아닌거 같은데..
약본즈 시절이면 해설자든 본인이든 크게 당황할 일이 아니죠
21/01/20 16:20
수정 아이콘
박병호 성남고 시절 비슷한 상황이 있었다고 들었어요.
세이버랑 별개로 상황은 이해가 가네요
이자크
21/01/20 16:24
수정 아이콘
아마추어에는 종종 있는 상황이라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저번에 손아섭선수도 그렇다고 하던데 자기자랑이었던건지 크크
55만루홈런
21/01/20 16:28
수정 아이콘
아마는 잘치는 타자는 본즈놀이가능하니깐요 크크
곰그릇
21/01/20 16:31
수정 아이콘
대학야구에서 강혁이 비슷하게 2사 만루에서 고의사구당한 일화로 유명하죠
21/01/20 16:50
수정 아이콘
손아섭, 정의윤, 추신수는 무사만루에서 고의사구 받은적도 있어요.
이자크
21/01/20 16:51
수정 아이콘
아 네 저도 이얘기를 들었는데 프로에서는 사실 거의없는 얘기잖아요 그래서 혹시나해서 여쭤봤어요 아마추어 야구는 안봐서 몰랐거든요 크크
더치커피
21/01/20 16:52
수정 아이콘
중간에 함정이 한명 있는거 같군요 크크
21/01/20 16:56
수정 아이콘
고교 때 포스는 정의윤>손아섭이었던걸로 압니다.
더치커피
21/01/20 16:58
수정 아이콘
예 알고 있습니다 ㅠㅠ
무적LG오지환
21/01/21 00:20
수정 아이콘
그 포스를 본 당시 LG 감독은 원래 뽑으려던 선수를 제끼고 뽑자고 스카우트팀과 기싸움에 들어가기 시작하는데...
지니팅커벨여행
21/01/20 17:30
수정 아이콘
이대진도 고교 시절에 당했다고 하죠
한량기질
21/01/20 16:54
수정 아이콘
다들 말씀해 주셨지만 저 때는 약 빨고 신이 되기 전입니다.
약즈였으면 대부분 고의사구를 택했을 듯,..
닉네임을바꾸다
21/01/20 17:00
수정 아이콘
매덕스는 약먹기전 본즈보다 약먹은 본즈 상대로 성적이 더 좋다던데 크크
김재규열사
21/01/20 17:17
수정 아이콘
자이언츠...네요
노피어
21/01/20 17:18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 보다 궁금해졌는데 요즘도 크보 2군에서 잘하면 2군본즈라고 하나요?
밤공기
21/01/20 18:03
수정 아이콘
8대7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Lahmpard
21/01/20 18:07
수정 아이콘
근데 8대6에 9회말2사만루면

배리본즈가 아니라 KBO이대호 정도만 되도 고의사구감아닌가요...?
21/01/20 20:16
수정 아이콘
06 07 이대호면 거르고 10 11 이대호면 승부 봅니다..
우에스기 타즈야
21/01/20 18:54
수정 아이콘
사진상의 몸만 보면 약본즈 전인거 같네요.
Prilliance
21/01/20 19:04
수정 아이콘
김기태가 생각나네요. 2점차로 리드하고 있는 경기에서 1사 주자없는 상황에 채태인이 타석에 들어섰는데 고의사구를 지시했죠. 진짜 이런 또라이가 세상에 있을까 싶었습니다.
21/01/20 20:43
수정 아이콘
??????? 실화입니까?
Prilliance
21/01/20 22:49
수정 아이콘
사실 말로도 황당한 얘기인데 직접 경기에서 보니 정말 믿기지가 않더라구요. 원래 각종 기행으로 유명한 김기태지만, 경기운영측면의 기행중 가장 이게 가장 최악의 기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랄드
21/01/20 19:17
수정 아이콘
저는 비운의 천재 강혁이 생각나네요.

강혁 한양대 시절 연세대와의 경기 때 5:2로 지고 있고 2사 만루 상황(9회는 아니었음)
연세대 투수는 대학 최고의 투수 임선동
그런데 고의사구로 거름(=밀어내기)
아무리 그래도 고의사구는 너무한 거 아니냐? 라고 생각
그런데 다음 타석 때 홈런 때림
... 그럴만 했네
스웨트
21/01/20 21:09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도 태균이 혼자 야구할때 한화 김태균 고의사구로 1점주고 다음타자 막아서 이긴적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726 [스포츠] [당구] PBA계 콩라인 형성 [3] Croove5208 21/01/23 5208 0
56725 [연예] 유부남들이 눈물 흘렸다는 오늘자 유재석 상황극.swf [6] TWICE쯔위10902 21/01/23 10902 0
56724 [스포츠] [해축] 즐라탄의 23년 커리어 비주얼 변화.jpg [27] 손금불산입7395 21/01/23 7395 0
56723 [연예] 한국에서 안정환 골든골을 아쉬워한 유일한 사람.jpg [14] 손금불산입10980 21/01/23 10980 0
56722 [연예] [여자아이들] 미연.jpgif(약 데이터) [23] 아라가키유이8393 21/01/23 8393 0
56721 [스포츠] 하승진이 인터뷰하는 농구선수 하은주 [5] 及時雨7720 21/01/23 7720 0
56720 [스포츠] [NBA] LA 클리퍼스 VS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외 2경기 [6] 아르타니스4057 21/01/23 4057 0
56719 [스포츠] 김보름, 평생 후회할 것 같다며 소송 결심” 노선영과 무슨 일 있었나 [52] insane10886 21/01/23 10886 0
56718 [스포츠] [NBA] 브루클린 넷츠 vs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외 7경기 [26] 아르타니스4632 21/01/23 4632 0
56717 [스포츠] [해축] 클롭 '센터백 영입 필요하지만...' [11] 아케이드5838 21/01/23 5838 0
56716 [스포츠] [해축] 우베 젤러의 뒤를 이은 홀란드.gfy [12] 손금불산입4535 21/01/23 4535 0
56715 [연예] 나혼자산다에 나온 미친듯이 귀여운 골댕이.jpgif [8] insane9155 21/01/23 9155 0
56714 [스포츠] 쿠보선수가 프리메라리가 역사상 7번째로 빨리 50경기에 도달했습니다. [17] MBAPE6855 21/01/23 6855 0
56713 [연예] 싱어게인 안봤는데, 17호 이분은 진짜 잘생겼네요. [19] 1029580 21/01/23 9580 0
56712 [스포츠] [해축] PL 최근 6경기 폼 [34] 아케이드4605 21/01/23 4605 0
56711 [스포츠] [해축] 피파21 올해의 팀 선정결과 [14] 아케이드4014 21/01/23 4014 0
56710 [연예] [러블리즈] 배텐 합류 6개월을 돌파하신 꼰묘지기 유지애 [7] 나의 연인5301 21/01/23 5301 0
56709 [연예] [나의 아저씨] 피지알러들이 가장 좋아하는 나저씨 에피소드는? [45] GiveLove6424 21/01/23 6424 0
56708 [스포츠] [MLB] 통산 홈런 755개의 행크 아론 선수가 86세로 별세 [10] VictoryFood5150 21/01/23 5150 0
56707 [연예] 로켓펀치(Rocket Punch) - 첫눈 COVER (원곡: 러블리즈) [4] 자두삶아4099 21/01/23 4099 0
56706 [연예] [아이즈원] 아케이드2 EP.18 + 샄낰히의 부적만들기 외 [22] 광배맛혜원5037 21/01/22 5037 0
56705 [연예] 올해 미스틱 걸그룹으로 데뷔할 일본인 연습생 후쿠토미 츠키.jpg [11] MBAPE7489 21/01/22 7489 0
56704 [연예] [(여자)아이들] 뮤직뱅크 앵콜 직캠 (+무대 영상) [1] Davi4ever4457 21/01/22 44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