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12/21 08:31:20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2.07 MB), Download : 35
Link #1 이종격투기
Subject [스포츠] 한국 프로스포츠계 사상 최고의 레전드 13인.jpg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핸드볼:윤경신
배구:김연경
축구:박지성,손흥민,차범근,지소연
골프:박세리,박인비
야구:추신수,박찬호,류현진
E스포츠:이상혁
복싱:장정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0/12/21 08:36
수정 아이콘
밑에서 3번째는 누군가요?
아 순서가 섞여서 그런가 지소연선수인가보군요.
20/12/21 08:37
수정 아이콘
지소연 선수..?
츠라빈스카야
20/12/21 08:39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밑에 이름 목록에 페이커 위에 바로 야구선수들이라 누군가 했는데, 축구선수쪽에 이름이 있군요. 혼저 뚝떨어져 있어서..
인민 프로듀서
20/12/21 08:36
수정 아이콘
바둑이 없다니...
기동전사건담
20/12/21 08:39
수정 아이콘
김연아 없는게 말이 되나 했는데 프로스포츠계 군요.
몰겠어요
20/12/21 08:39
수정 아이콘
심권호도 없는게 말이 되나 했는데 프로스포츠계 군요.
츠라빈스카야
20/12/21 08:43
수정 아이콘
저중에서도 몇몇은 세계 정상급과 경쟁한을 넘어서 세계를 지배한 분들이군요..
츠라빈스카야
20/12/21 08:44
수정 아이콘
박주봉도 없는게 말이 되나 했는데 프로스포츠계 군요.
LeeDongGook
20/12/21 08:45
수정 아이콘
피겨, 레슬링은 프로스포츠가 아닌가요??
달달합니다
20/12/21 08:56
수정 아이콘
올림픽은 아마추어스포츠...
지금와서보면 이게 뭔개소린가 하겠지만요..
LeeDongGook
20/12/21 08:5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지금 우리
20/12/21 08:48
수정 아이콘
류현진이 선,최 뚫을 수준인가는 논외로하고
이상혁이 있는데 임요환이 없나....
20/12/21 08:49
수정 아이콘
류현진이 선,최는 이미 넘었다고 봅니다 저는 하하 많은 분들도 동의하시지 않을까요
지금 우리
20/12/21 08:52
수정 아이콘
기준이 최고의 선수, 능력치가 아니라
최고의 레전드니까요.
저는 류현진이 선동렬 최동원보다 위대한지는 모르겠네요
팬사인해달라면 도망가는 레전드??
AaronJudge99
20/12/21 11:31
수정 아이콘
옛저녁에 넘었죠...
20/12/21 08:55
수정 아이콘
나열된 선수들을 보면 아시겠지만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뚜렷한 족적을 남긴 선수들 기준이지요

임요환 선동렬도 레전드긴 하지만 결국 국내 한정인거고
20/12/21 09:19
수정 아이콘
임요환 WCG 2연패ㅠㅠ
멸천도
20/12/21 10:16
수정 아이콘
제목은 [한국 프로스포츠 계]인데 세계적인걸 기준으로 삼는 거라니..
스마스마
20/12/21 09:05
수정 아이콘
최경주가 없다니... 골프 쪽은 차라리 박인비가 빠지고 최경주가 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하네요.
프로선수로써의 업적은 박인비가 박세리 보다 윗급이 되었지만 상징적인 의미에서 제끼긴 어려울 듯 싶고...

최경주는 너무 과소평가 받는 거 같아요.
막말로 골프의 풀이, 여자가 전 세계적으로 1천명 정도 골프를 한다 치면 남자는 만명이 훌쩍 넘습니다.
한국이 좀 특이한 상황이고 어느 나라나 남자 골프가 압도적 우위에오.
게다가 최경주는 타이거 우즈 전성기 + 그에 못지 않은 굇수 필 미켈슨, 비제이 싱이 있던 시기에 8승이나 거둔 선수입니다.

비록 메이저 우승은 못했지만 그에 준하는 대회에서 우승한 바도 있고... 암튼 아쉬워서 써봅니다.
충분히 조명 받을 만한 선수인데 아쉽게 늘 뒷전인 거 같아 한번 적어 봤습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20/12/21 09:30
수정 아이콘
동감....

한국 프로 골프 남자.. 가 실제 노력이나 성과에 비해 저평가 ㅠㅜ.. 우리나라가 LPGA에서 국위선양하는 이유는 역설적이게도 LPGA가 PGA에 대해 매우매우 마이너하기 때문이죠....
평행선
20/12/22 00:08
수정 아이콘
최경주는 과소평가가 맞고 충분히 들어갈 수 있다고 보지만, 별개로 박인비가 그 커리어에도 종목의 시장성 때문에 빠져야 한다면 김연아 같은 마이너 종목의 선수는 아예 레전드 반열에 들어서도 안 됩니다..
태정태세비욘세
20/12/21 09:15
수정 아이콘
추는 여러면에서 빼야..
StayAway
20/12/21 09:19
수정 아이콘
추신수는 은퇴하고 나서야 재평가 받겠군요.
스카이다이빙
20/12/21 09:23
수정 아이콘
국내 인지도 보다는, 외국인 기준 두유노 클럽?에 들어갈 수 있는지가 기준인것 같네요.
아마를 넣는다면 당연히 김연아, 심권호 등이 들어가야겠고,

대부분 애국가 장면에 넣어도 위화감이 없을 만큼, 감동을 준 선수들이 많네요.
박찬호, 박세리는 설령 지금보다 업적이 적었어도, IMF 버프만 해도 뭐.....
손예진
20/12/21 09:49
수정 아이콘
진종오도 빠지면 안됩니다. 올림픽 3연패인데
한가인
20/12/21 09:36
수정 아이콘
김연아 ??
루카쿠
20/12/21 09:57
수정 아이콘
김연아 어딨나요..
포인트가드
20/12/21 09:57
수정 아이콘
핸드볼 goat는 윤경신 이전에 강재원이라고 하는 말도 많은데...유럽리그에 진출도 했었고
알파센타우리
20/12/21 10:02
수정 아이콘
그냥 이렇게도 생각하는구나 하고 보는거죠 저도 최소7명 정도는 ? 생각하지만 ....
보라괭이
20/12/21 10:07
수정 아이콘
한국 프로스포츠를 말하는데 이스포츠를 세우다시피한 임요환이 왜...?
20/12/21 10:08
수정 아이콘
한국 프로스포츠가 아니라
한국인 프로스포츠선수 네요
20/12/21 10:15
수정 아이콘
마이클 조단이 없네요
프로스포츠가 아니라 한국인 프로스포츠 선수 네요
종이고지서
20/12/21 10:16
수정 아이콘
이상혁이 있는데 왜 이창호는 없죠?
레드벨벳 아이린
20/12/21 10:16
수정 아이콘
추가 있는데 김병헌이 없네요. 한국 최초 월즈 반지 끼신분인데. 추와 류가 들어가려면 김병헌도 들어가야 하지 않나가 제 생각이네요.
한국화약주식회사
20/12/21 10:58
수정 아이콘
임팩트도르 vs 누적도르 대결인데 아시아 선수중에 추신수 누적 이길거는 이치로뿐이라 (...)
레드벨벳 아이린
20/12/21 12:31
수정 아이콘
누적으로 하면 추가 젤 오래 메이저에서 꾸준히 뛴 편이니 그렇긴 하네요. 그래도 전 메이저리거에선 아직까지 박찬호 다음으로 김병헌을 놓고 싶으네요. 류현진이 내년에도 랭킹 3위권 내에 오른다면 류현진을 더 높이 칠 수 있을것 같구요.
한국화약주식회사
20/12/21 12:32
수정 아이콘
근데 야구가 우승반지가 선수평가에 절대적이냐라면 그건 또 아니고... 법규형도 임팩트는 좋은게 그게 너무 단기라는게 아쉬워요. 보스턴 시절엔 본인 말마따나 그냥 얻어받은 반지고...
다니 세바요스
20/12/21 11:29
수정 아이콘
김연아가 없다구..?
AaronJudge99
20/12/21 11:30
수정 아이콘
프로스포츠니까 김연아 심권호 없는건 당연하지않나요
건이건이
20/12/21 13:28
수정 아이콘
바둑의 GOAT인 이창호가
유니언스
20/12/21 14:02
수정 아이콘
임요환 장재호도 없고
이창호 이세돌도 없고
미카엘
20/12/21 15:27
수정 아이콘
무릎도 없네요
20/12/21 16: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이승엽이 제일 억울할듯요 크크
시간이지나면
20/12/21 18:41
수정 아이콘
프로스포츠 기준이면 페이커도 빠져야 하는거 아닌가요? 프로리그가 열린다는 기준이면 다른분들 말처럼 바둑도 들어가야 할것 같고...
두 유 노우? 기준이면 장재호. 임요환도 이스포츠 쪽에 들어갈만 한 것 같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072 [스포츠] [해축] 안필드 저격 최적화 감독 빅샘.gfy [25] 손금불산입6561 20/12/28 6561 0
56071 [스포츠] [해축] 무리뉴 2년차의 분수령.gfy [30] 손금불산입7434 20/12/28 7434 0
56070 [스포츠] [NBA]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VS 시카고 불스 (골스 첫승) [20] 아르타니스6633 20/12/28 6633 0
56069 [스포츠] 심심해서 써보는 FA kbo투수 성적 비교 [39] 기승전정6919 20/12/28 6919 0
56068 [연예] 21년 1월 1일 SMTOWN 온라인콘서트 개최 [19] 발적화6535 20/12/28 6535 0
56067 [스포츠] 클리퍼스 근황 [11] 실제상황입니다8367 20/12/28 8367 0
56066 [스포츠] [해축] 지난 20년간 EPL 크리스마스 1위의 최종 순위 [10] 손금불산입6427 20/12/28 6427 0
56065 [연예] [(여자)아이들] 비주얼 필름 공개 [5] 피디빈6015 20/12/28 6015 0
56064 [연예] 2020년 12월 넷째주 D-차트 : BTS 'Dynamite' 10주 1위!!! 태연 4위 진입 [2] Davi4ever5650 20/12/27 5650 0
56063 [연예] 최양락이 깐죽거리지 않은 때 [10] 판을흔들어라13320 20/12/27 13320 0
56062 [연예] 오늘 데뷔 17주년을 맞은 남돌인 동방신기 [10] theboys05076511 20/12/27 6511 0
56061 [연예] 장규리- 'H.E.R - Best Part (Feat. Daniel Caesar)' [8] kien6364 20/12/27 6364 0
56060 [연예] 일본 대표 여성 패션잡지 논노(non-no)의 현재 3대 전속모델.jpgif(약 데이터) [12] 아라가키유이13229 20/12/27 13229 0
56059 [연예] 엄청난 파란을 일으켰던 영화 [30] 오송역이맞지13552 20/12/27 13552 0
56058 [연예] 이달소 츄한태 배신감 느낀다는 달리는 사이 언니들 [9] 강가딘7339 20/12/27 7339 0
56057 [스포츠] 샌안토니오 2연승이 실화로 벌어지다 vs 토론토 [11] SAS Tony Parker 4514 20/12/27 4514 0
56056 [연예] 역대 닛케이 발표 일본 라이브공연 관객동원 TOP50 [4] MBAPE6641 20/12/27 6641 0
56055 [스포츠] [NBA] 앨런 아이버슨 00-01 시즌 [8] 아라가키유이6118 20/12/27 6118 0
56054 [연예] 인스타에 사진 한장 올린 태연 [31] 발적화13800 20/12/27 13800 0
56053 [연예] K-POP 안무의 발전 역사.youtube [36] 메디락스7662 20/12/27 7662 0
56052 [스포츠] 한화 우승하면 결혼한다던 홍창화 응원단장 결혼 [26] 손금불산입9348 20/12/27 9348 0
56051 [스포츠]  남자들이 보면 환장하는 야짤.gif (2) [26] 제가la에있을때11098 20/12/27 11098 0
56050 [스포츠] 남자들이 보면 환장하는 야짤.gif [36] KOS-MOS8087 20/12/27 808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