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12/04 19:13:17
Name Yureka
Link #1 https://www.goal.com/en/news/football-wasnt-invented-in-1992-but-today-its-a-whole-new/w70lgvhzd8r91r9jz8m1dfikm
Link #2 https://arsenalsway.blogspot.com/2020/12/1992.html
Subject [스포츠]  축구를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현대축구'는 1992년에 탄생했다.
누가 언제 발로 공을 차는 운동을 시작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고 이에 대해서 여러말이 많다.


코로나빼고 다 자기꺼라고 우기는 중국도 축구의 시작은 자기라고 얘기하고 우리나라도 신라시대때 공을 발로 차고 기록이 존재한다.


그래도 현재의 축구에 가까운 기틀을 세운건 영국이라고 생각하고 많은 사람들이 영국을 종주국으로 인정해주는 편이다. 그러나 그때의 축구는 굉장히 원시적이었다. 케임브릿지 룰이라는 최초의 축구 규칙을 만들었던 사람들, 즉 축구의 아버지들은 상대 정강이를 걷어차는 '기술'인 해킹을 합법이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금지해야할지를 두고 다퉜다.


그렇다 상대 정강이를 까는 것도 초기 원시축구에서는 기술이었다; 아직까지 상남자 상대 발모가지 분질러야 성이 풀리는 뻥글랜드 다운 모습이었다.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아는 축구는 언제 탄생했을까 그건 1990년대 초중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그럴까?



0. 1992년 프리미어리그가 탄생했다.


요건 내가 유튜브 영상으로도 만들었고 칼럼도 세편이나 썼죠  이건 일단 패스하겠습니다.



1. 오프사이드 규칙의 변화



축구는 항상 인기와 상업성을 고민했기에 수비축구가 대세되는걸 언제나 경계해왔다.



그러나 시대가 발전하면서 수비전술이 언제나 공격전술보다 빠르게 발전했고 축구협회는 이에대해 골머리를 썩었다.


1954년 월드컵의 평균 득점률은 5.4였으나 1986년 월드컵의 경기당 평균득점은 2.4였다. 30년 기간 절반이나 줄어들은 것이다.


절정은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이다. 86년 월드컵때 유행하기 시작한 3-5-2 시스템은 이탈리아 월드컵때도 유행했고 대다수의 팀들은 수비적으로 내려앉아서 플레이했다.



1990년 결승 아르헨티나vs서독은 둘다 3-5-2의 대결이었고 서독 다음으로 그 대회 최고의 팀이었다고 뽑히는 이탈리아 역시 조나미스타와 3-5-2의 절충형 포메이션이었고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전까지 엄청난 무실점을 기록하관 했다.



엄청난 전술과 시스템들의 대결이었지만 피파는 이를 지긋지긋하게 여겼고 규칙을 손대기 시작했고 시작은 오프사이드였다.


오랜 원시축구가 있던 시절 모든 공격수들은 상대 골문앞에 옹기종기 모여서 뻥차고 그안에서 헤딩거나 슈팅할 생각만 가득했다. 축구협회는 이런 말도안되는 짓을 없애기 위해 오프사이드 규칙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규칙은 점점 발전하고 정교해지면서 최종수비수 우리팀 공격수가 상대 최종수비수 두명보다 앞서있으면 오프사이드를 선언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동일선상 규칙을 1990년 월드컵 직후 피파는 도입했다.


동일선상이라는 규칙이 생기기전까지, 대부분의 공격수들은 상대수비보다 한발짝 늦게 침투해야했다. 그랬기에 대부분 팀들은 빠른 발로서 라인을 깨면서 상대 후방을 꿰뚫고 침투하는 선수들보다는 키 큰선수들이 공을 받아주거나 혹은 드리블도 갖춘선수가 아예 미리 볼을 받고 드리블로 제치는 걸 선호했다.


그러나 동일 선상이 생긴 이후로 상대의 스루패스를 받을 준비하고 뒷공간을 허무는 공격수들이 탄생했다.


이 사소한 규칙의 변화는 수비수들로 하여금 오프사이드라인에 더 섬세하게 신경쓰게 만들었고 수비들에게 많은 부담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동시에 또다른 규칙역시 등장했으니 백패스 규칙이었다.



3. 백패스 규칙


1992년 이전까지 골키퍼는 우리팀 선수가 발로 패스해주는 공을 쉽게 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92년 이 규칙이 사라지면서 키퍼는 우발적으로 넘겨준 패스나 머리로 넘겨준 패스 이외의 우리팀 공을 잡을 수 없게 되었다.


어찌보면 사소한 이 규칙은 그야말로 큰 변화를 만들었다.

유로 92는 유로 역사 두번의 큰 이변중 하나로 알려져있다. 하나는 04 그리스의 우승이고 또하나는 92 덴마크의 우승이었다.

덴마크에는 슈마이켈과 라우드럽형제라는 3명의 슈퍼스타가 있었지만 우리가 알던 그 '미카엘 라우드럽'은 이 대회를 나오지못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덴마크가 우승할 수 있었을까.


그들은 물론 엄청난 조직력을 바탕으로 멋진 공격력도 보여줬고 수비도 탄탄했다. 슈마이켈역시 미친듯한 선방으로 이시기 넘버원 골키퍼로서 이름을 알리게 되었지만 그들의 전술중 하나는 키퍼에게 볼돌리기였다.




좀 위험하다싶으면 냅다 키퍼로 백패스해서 키퍼가 볼을 잡게했던 이 전술은,



마티아스 잠머, 에펜베르크, 브레메,클린스만이 뛰던 독일을 무너뜨리고, 굴멘,반바스텐,쿠만,레이카르트의 네덜란드 역시 덴마크앞에 무너뜨리게 만들었다.



그리고 1990년 월드컵 역시 이러한 전술의 영향을 받았다. 3백의 일원들은 후방에서 편하게 플레이할 수 있었기에 더더욱 소극적으로 플레이했다.


이러한 수비위주의 전술을 폐지하고 루즈해지는 경기를 바꾸기 위해 피파는 이 백패스 규칙을 적용했다.



그리고 축구는 그날부로 바뀌었다.



어떻게냐면 바로 압박축구가 축구계의 화두가 되어버린 것이다.



아리고 사키와, 요한크루이프의 등장으로 80년대 후반 축구는 압박이라는 컨셉이 부상했다. 아리고 사키의 ac밀란과 요한크루이프의 바르셀로나는 상대를 70년대 토탈사커를 이상향으로 삼으며 상대를 최전방에서부터 압박하고 볼을 빼앗은 다음 거기서 공격하려고 했다.


이둘은 지긋지긋한 수비축구를 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면서, 라만차라는 풍차에 돌진하는 돈키호테들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압박축구는 아직 시기가 이른 축구였다. 상대팀들은 압박이 들어오면 그저 키퍼에게 패스하면 그만이었다. 오히려 상대를 전방압박하기 위해 선수단이 전진된 상황에서 키퍼가 롱패스를 날리며 후방을 공격하면 뒷공간을 쉽게 노출해버리고 마는 것이었다.



그러나 백패스 규칙이 등장하며 상대 수비를 압박한상황에서, 수비가 키퍼에게 패스해도 키퍼가 그 볼을 잡을 수가 없고 키퍼역시 발로 처리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압박은 아주 효율적인 전술이 되어버린것이다. 그렇게 되면서 많은 팀들이 전진한 압박이라는 전술을 머리에 염두에 둘 수밖에 없게 되었다.


오프사이드 규칙과 함께 연계되면서 공격축구의 시대가 등장한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1995년에는 오프사이드시 선수가 이득을 얻는 위치에 있으면 오프사이드에 걸린다라는 세부규칙까지 들어갔고



이따금 이렇게 볼상황과 상관없는 선수까지 오프사이드에 걸리는 일이 적어지면서 더더욱 수비들은 그전에 비해 약해졌다.





4. 승점 3점의 등장


그리고 이러한 공격 축구에 한번더 불을 붙인것은 승점 3점의 등장이다.



과거 축구는 이기면 승점 2점 무승부는 1점이었다. 2무는 1승과 같은 가치로 지니고 있었다. 그렇기에 많은 팀들이 이기는 축구보다는 지지 않는 축구에 좀 더 포커스를 두었다.



이를 타개할 방법을 고민하던 영국축구협회는 승점 3점룰을 도입하려고 했다. 81년도에 떠오른 이 아이디어는 그러나 축구계에 바로 적용되지않았다.



그러나 수비축구에 고심하던 피파눈에 들어왔고 1994년 월드컵에 적용되었다.



1994년 미국월드컵은 앞서 바뀐 축구내 규칙과 승점 3점규정이 만나면서 조별예선부터 화끈한 득점들이 줄을 이었고, 공격축구의 시대를 연 월드컵으로 평가받았다. 이를 본 다른 리그들 역시 적극적으로 승점 3점규칙을 적용했다.




5. EU체제와 함께 보스만룰


1990년대 유럽축구 상징하는 또하나의 문구는 냉전붕괴에 따른 eu체제의 도입 자유경제의 도입이다. 그전까지 축구선수들은 계약기간이 끝나도 구단시 선수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고 있었다. 마치 현재 k리그가 fa된 선수라 할지라도 팀이 이적시키면 보상금을 받아야했던 상황이 당시 유럽에도 벌어지고 있던 것이다.



그러나 벨기에 리그의 장마르크 보스만이 유럽사법재판소에 계약끝나면 자유롭게 이적해달라는 문제로 재판을 신청했고 그가 이겼다.



길고긴 보스만 룰에 대한 설명이 있지만 결론은 간단하다. 선수는 계약기간이 끝나면 어디든지 자유롭게 이적가능하고 같은 eu국가들 사이에는 외국인 쿼터제를 도입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bosman-jean-marc-bosman-rule_3388444.jpg

* 가운데가 장 마르크 보스만




이 판결은 유럽축구의 판도를 바꿨다. 당시 유럽의 거인으로 챔스를 호령하던 아약스는 이 보스만룰로 인해서 선수단이 여기저기 해외로 이적하는 결과를 나오면서 그뒤로 유럽대항전에서 다시 두각을 나타내기까지 긴 기간이 걸렸다.



이외에도 수많은 이른바 변방리그라고 말하는 리그들은 선수유출을 막을 수가 없었고 빅리그 심화가 점점 심해졌다. 이러한 상황에 가장 크게 이득본리그는 세리에a였다. 이피엘은 헤이젤참사이후로 계속 회복해나가는 단계였고 세리에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최고라는 리그 입지를 통해서 유럽의 재능들을 긁어왔고 90년대 세리에7공주가 등장하기 까지했다.



물론 그뒤로 여러 시간이 지났지만 보스만룰은 그야말로 유럽축구의 이적형태를 바꿔버리고 말았다.




6. 기타 등등



이외에도 수많은 일들이 90년대 초에 일어났다.




유로피언컵이 챔피언스리그로 바뀌었다. 바뀌게 된 계기는 바로 마라도나의 나폴리였다. 이탈리아 챔피언인 마라도나의 나폴리가 유러피언컵에서 1라운드에서 탈락한 것은 유럽 빅리그 강팀들에게는 공포와 같았다. 이는 유에파측도 마찬가지였다. 텔레비전 중계권이 급속도로 올라가는 시기에 유에파가 가진 최고의 상품인 마라도나를 유럽대항전에서 볼 수 없다는 것은 그야말로 재앙이었다.



그들은 더 많은 강팀들이 더 많은 경기수를 뛰어서 돈을 벌고싶었다. 이러한 유에파의 생각은 다른 빅리그 강팀들과 이해관계가 일치했고 유로피언컵-컵위너스컵-유에파컵 체제는 챔피언스리그-유에파컵 체제로 개편되었다.



거기다 스포츠 사이언스까지 도입되면서 식단에 다들 신경쓰고 보스만룰 해체와 함께 수많은 스카우터들이 각팀에 도입되고 94미국월드컵에 영향으로 미국 스포츠 비즈니스 방법 역시 유럽스포츠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과거와 현재 축구는 공을 발로 다루는 스포츠라는 의미에서는 변함이 없지만 90년대 초반과 그 이전 축구는 완전다르고 우리가 아는 '현대축구'는 그시기에 새로 탄생했다.


-----------------

https://www.goal.com/en/news/football-wasnt-invented-in-1992-but-today-its-a-whole-new/w70lgvhzd8r91r9jz8m1dfikm

요거 기본에다가 제가 썼던 글들 몇개 섞어서 걍 요약 섞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린어린이
20/12/04 19:2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축구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 그냥 지엽적인 변화죠.
리그출범이나 오프사이드 모두요.
20/12/04 19:53
수정 아이콘
흠 그 길고긴 예술의 역사도

모던아트 컨템포러리 아트 등등 나누는 마당에 짧은 축구역사도 이정도면 나눌만 하지않을까 시포요
20/12/04 19:29
수정 아이콘
별로 공감은 안 가네요.
프랑켄~~
20/12/04 19: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축구를 그냥 그때부터 보신거 아닌가 싶네요.
압박축구나 나열한 변화도 시간 지나면 언젠가는 바뀌는 거대한 흐름의 하나일뿐이죠. 솔직히 저런변화로 현대축구를 다르게 정의할만큼 이전 축구와 엄청 다른것도 아니고..
현재 내가 보는 축구 중심으로 축구를 바라보는 자기중심적인 시선의 글이라는 느낌이네요..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가 그 전 시대에 비해 엄청 새로워보이고, 발전되어 보이지만.. 조금만 시야를 넓게 보면, 지금 내가 보는것과 내가 아는것들이 사실은 거대한 흐름속에 있는 부분 일 뿐이죠..
20/12/04 19:50
수정 아이콘
흠 전영향받은 원글이 골닷컴 치프 라이터의 기사였는데 재미있게 봐서 옮겼는데

아니라는 생각이 강하게 드시나보네요 흠

90년대 초반의 있었던 드라마틱한 변화는 축구사적으로 정말 큰변화였다고 전 생각해용
프랑켄~~
20/12/04 20:16
수정 아이콘
우리는 역사도 고대-중세-근세-근대-현대로 분류하고.. 뭔가 시대구분을 좋아하는 거 같아요.. 실제로 모든 현상은 흐름이 있고, 명확히 구분되는건 아니거든요.. 압박축구도 80년대부터 있어왔고, 실제로 꽃피운건 90년대가 아니라 2000년대거든요.(90년대 월드컵 우승국이 브라질, 프랑스 2002년까지 브라질이었는데, 압박축구 구사하던 팀들 아니었잖아요.) 오프사이드 룰과 백패스 룰 개정과 압박축구를 연결지어 90년대로 해버리니 90년대 기점으로 뭔가 변화했다라고 말할 정도로 그럴싸해보이지만; 승점 3점제도 80년대부터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있었어요.. 그걸 상징적으로 크게 터뜨린게 94월드컵이었을뿐이지.. 또한, 여기에 언급은 안됐지만, 심판들이 선수 보호를 시작하면서 공격축구에 더 힘이 실린것도 있고..(90년대 후반 백태클 규정이 상징적이지만, 그것도 예전부터 변해오던게 그 때 상징적으로 룰을 만든거죠)
이처럼 변화는 조금씩 일어나는거지, 어느 한시대에 팡하고 생기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따라서 축구는 조금씩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고, 그걸 억지로 시대를 구분지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보고 있는 '현대 축구'에 너무 많은 의미를 두고, 거기에 맞춰서 생각하는건 경계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20/12/04 20:21
수정 아이콘
'현대축구'라는 말이 이렇게까지 문제가 될줄은 몰랐군요. 문구는 조심해야겠습니다.

시대적 구분을 저도 딱딱하게 하는편 아닙니다. 걍 흥미위주로 90년대 초반 다양한 변화가 시작되었고 그때 쌓인 기틀이 지금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라고 쓴건데 이게 굉장히 댓글 초반 쓰신분들 뇌리에 강하게 들어갔나보군요.

아리고 사키도 당연히 80년대고 크루이프도 80년대죠. 압박축구스타트도 , 동유럽의 로바노프스키와 네덜란드의 미헬스 등등이 등장했던 70년대부터 당연히 시작이고요.

축구는 디지털이 아니라 당연히 아날로그죠 끊임없는 연결고리가 서로에게 끝임없이 영향주고 있죠. jonathan wilson이 inverted pyramid라고 해서 축구 전술의 발전사는 2-3-5 피라미드 전술에서 4-4-2, 4-3-3으로 뒤집히고 있다고 하지만

최근 다시 2-3-5를 클롭이나 펩 콘테 등등이 다시꺼내고 있는게 축구의 흐름이죠. 크크

댓 위에 썻듯이 흥미위주의 글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아용
프랑켄~~
20/12/04 20:33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아는 축구는 언제 탄생했을까' 이 문구때문에 좀 흥분했네요.. 바로 앞에는 원시축구운운하면서 그 문구를 넣어버리니, 90년대 이전 축구는 뭐지? 축구가 아니었나?라는 생각이 들었네요. 내가 좋아하던 축구가 부정당하는 느낌? 글쓰신 분이 그럴의도는 아니었겠지만요..
파르릇
20/12/04 19:39
수정 아이콘
92년 이면 현재 10대 애들은 너마먼 옛날이라 느껴
그럴만 하다 생각할지도 모르겠는데

아재사이트이서는 ??? 찍힐듯..
20/12/04 19:46
수정 아이콘
당혹스럽군요 크크 세리에매니아나 사커라인같은 아재사이트에서는 공감받고 재미있게 본 글이 이렇게 아예 부정당하다니
파르릇
20/12/04 19:55
수정 아이콘
축구의 시작은 잘 모르겠는데
상업적인 축구의 면으로 봤을 땐 92년이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라는 생각은 드네요
20/12/04 19:57
수정 아이콘
크루이프와 아리고사키라는 큰축이 현대축구전술의 큰틀이고 뿌리인데

저당시 등장하면서 90년대 규칙변화가 얽혀지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그들의 후예가 여기저기 축구계를 흔들고 있다고 생각해서

전 현대축구는 저시기부터라고 생각해용.
위르겐클롭
20/12/04 19:41
수정 아이콘
오프사이드 없이 축구했다니 지금생각하면 놀랍네요
20/12/04 19:51
수정 아이콘
오프사이드는 아예 너무 초창기에 도입된 룰이긴한데

그때는 포메이션이 그래서 532같은 극단적인 포메이션이 있었죠 크크
HuntCook
20/12/05 02:45
수정 아이콘
오프사이드는 풋볼의 시작부터 있었습니다 심지어 럭비랑 갈라지기 이전부터요
패트와매트
20/12/04 19:42
수정 아이콘
윗댓글들이 너무 비판적인데 본문만큼의 근거를 제시하지도 않고 까는 느낌이네요. 저는 글 내용에 공감하는 편입니다.
20/12/04 19:51
수정 아이콘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Chandler
20/12/04 19:47
수정 아이콘
뭐 이런건 정의하기 나름인거라....그 근거자체는 충분한거 같아요. 어쨋든 논지는 오프사이드로 인한 전술 변경/리그제도 정착/빅리그 집중화가 현대축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크다 이거는 정확한 분석같아요. 그걸 현대축구의 탄생같은 타이틀을 달아줄 정도의 비중이냐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20/12/04 19:48
수정 아이콘
90년대 초반에 드라마틱하게 축구내 변화가 컸고 그때 일어난 변화가 지금까지 영향이크다는 얘기 였는데 현대축구라는 말이 굉장히 반발이 큰가보네요 크크
ComeAgain
20/12/04 19:58
수정 아이콘
스타로 치면 1.08 같은 거죠..
20/12/04 20:14
수정 아이콘
오 괜찮은 비유군요
20/12/05 00:11
수정 아이콘
천재
친절겸손미소
20/12/04 19:58
수정 아이콘
백패스는 진짜...크크크
20/12/04 20:14
수정 아이콘
축구의 본질과 저 전술이 가까운지 먼지에 대해서는 분명 논쟁의 요소는 있지만

재미있는 축구와는 정말 거리가 먼 전술이었죠.
친절겸손미소
20/12/04 21:00
수정 아이콘
최악이에요 침대보다 더 심하네
20/12/04 20:02
수정 아이콘
압박축구 그니까 사키이즘 이후로 현대축구로 구분짓던 걸 생각하면 맞는 얘긴거 같은데요.
근데 뭔가 그 전 축구를 뭐라 불러야 할지 애매하네요.
그니까 시대구분이 잘 안되는 점은 있어요.

nba같은 경우엔 매직 버드 시대 이전의 농구를 뭉뜽그려서 고대로 칭하고 그시절 선수들을 고대괴수라고 칭하죠.
근데 축구 같은 경우엔 마라도나를 고대괴수라고 칭하기엔 너무 가까운 느낌이라... 펠레도 그렇고요. 2차대전 이전의 선수들에게 고대 괴수라고 부른건 보긴했습니다.
20/12/04 20:13
수정 아이콘
70년대 축구까지만해도 굉장히 멀게 느껴지긴 하죠. 80년대는 그전축구와 90년대 이후 축구의 사이기간이라고 전 보는편입니다.

각자 발전하던 남미 축구와 유럽축구가 80년대부터 서로 적극적으로 영향받고 교류하기 시작했고

유럽내에서도 80년후반부터 조날마킹(지역수비)가 등장하고 이걸 퍼져나가는 과정이 90년대의 축구였으니깐요.
20/12/04 20:06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악플에는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20/12/04 20:16
수정 아이콘
제가 공감가지 못하게 썼을 수도 있고

이게 뭐 축구라는게 딱 정설 학설이 있는게 아니라 비공감하는 분들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휀 라디언트
20/12/04 20:07
수정 아이콘
지금 이시점에 우리가 보는 현대축구로 제한하면 맞는 말이긴 해요.
오프사이드랑 백패스 금지로 수비에 전술이란 개념이 생기기시작했고 빌드업이란 개념도 생기고했으니까요. 여기에 3점제도 무승부가 결코 이득이 아님을 각인시켰구요.
제는 여기에 태클에 대한 규정 강화도 포함되었으면 합니다. 90년대에 계속적으로 태클 관련 규정을 강화하면서 더이상 이전같은 몸을 던지는 태클이 불가능해졌고, 그래서 수비전술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이 시작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더하여수비수들에게도 스킬이 요구되기 시작했구요.
20/12/04 20:25
수정 아이콘
태클 규정하면 하석주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 확실히 90년대는 드라마틱하게 변화하긴 했습니다.
비포선셋
20/12/04 20:08
수정 아이콘
일단 아니라고 비꼬는 댓글들 보니까 참 마음이 안좋네요.
클로로 루실후르
20/12/05 08:50
수정 아이콘
합격목걸이 아니겠습니까
20/12/04 20:11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20/12/04 20:16
수정 아이콘
무슨 근거로 아니라는지 이유라도 적어야 피드백이 오고갈텐데 그냥 아니라고 하면..

좋은 글 잘 봤습니다.
20/12/04 20:20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었습니다
20/12/04 20: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1992년! 여기서부터 현대축구 시작! 이라는게 공감을 받지 못 하는 경우가 생긴 원인이 아닐까 하네요.
본문에 언급한 요소들로 인해 큰 변화가 이루어진건 맞는데
결국 현재의 형태가 완성된 바탕은 80년대 초반~90년대 후반까지 이어진 흐름이라고 보거든요.
저 역시 처음 읽고서는 본문은 공감되고 내용도 좋았는데 제목으로 인해 "어? 그건 아닌거 같은데?"라는 반응을 했네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20/12/04 20:37
수정 아이콘
골닷컴 원기사제목이 저내용 비스무리해서 더 재미있게 따왔는데 큰 반발이 왔네요 크크

사실 저기사 끝에는

So, while it may not be true that football was invented in 1992, it’s fair to say that it was reinvented around that time.

What we see today may well be the same game, but it’s a completely different sport.

이렇게 탈출구를 만들었는데 전 안만들어서 그런가봅니다.
서쪽으로가자
20/12/04 20:45
수정 아이콘
제목에 “1992”라고 적으신 부분이랑 프리미어리그 출범이 맨앞에 나온거 빼면 많은 부분에서 공감합니다.

백패스 부분은 약간은 의문스럽기는 합니다. 중요한 룰인 것은 맞는데 말씀하시는 상황이랑 정말로 그렇게 연결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0/12/04 20:47
수정 아이콘
프리미어리그 출범 맨앞에 둔것은 과거 여기 올렸던 글인데 뒷부분에 쓰기 싫어서 걍 재미로 맨앞에 둔 것입니다 크

백패스 부분은 어떤점이 잘 이해가 안되는지 알려주시면 제가 한번 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댓글로 설명 추가해보겠습니다.
서쪽으로가자
20/12/04 20:52
수정 아이콘
제가 축구의 흐름까지 이해하고 있지는 않지만,
백패스 금지(라기보단 손으로 잡는 것 금지지만)이더라도 백패스-롱볼인 경우는 여전히 꽤 있기는 해서요 (패러다임이 이미 바뀌고 적응한 이후에야 축구를 제대로 봐서 당연하다 생각하는 것 같지만...)

백패스 금지가 패러다임을 바꿀만큼이었는지는 의문스럽다는 느낌입니다 (아니다!라는 얘기는 아니고 잘 모르겠다! 입니다)
김연아
20/12/04 21:05
수정 아이콘
전 패러다임을 바꿀만한 규칙변화라고 생각합니다

수비라인을 올리게 되는 결정적인 규칙변화라고 봐요
20/12/04 21:16
수정 아이콘
앗 그냥 내용을 설명하면 될 것 같았는데 어렵군요;

백패스 규칙의 변화는 골키퍼들도 손이 아니라 발을 사용하게 만들었습니다. 그전까지 골키퍼는 필드플레이어가 아닌 손으로 잡는 예외선수였기에 발다루는 경우는 롱킥을 찰때말고는 신경안썼으나 저때이후로 완전히 바꼈습니다.

0. 압박축구가 등장했다.

1. 압박축구는 센터백이 백패스로 볼주면 키퍼가 볼잡아서 땡이다.

2. 더이상 손으로 못잡으니 키퍼가 발 잘다뤄야한다.

3. 센터백도 이제 백패스하고 장땡이 아니니간 압박에 대처하기 위해 볼을 잘다뤄야한다.

요런 타임라인으로 이해하시면 될거같습니다.

빌드업을 잘하는 키퍼들, 아약스 시스템이 탄생시킨 반데사르를 시작으로 현재 노이어까지 이런 축구흐름의 일환으로 빌드업에 가담하는 키퍼들이 증가하던게 저 규칙의 영향이죠.

또한 센터백 볼잘다루는것도 중요하게 된게. 3백시에는 두명은 수비만 전담하고 한명은 빌드업을 전담하는 선수였습니다. 저때는 한명이 그래도 볼을 잘다루니 그선수에게 주면 후방빌드업이 이뤄졌죠.

그러나 문제는 4백으로 바뀌어나가는 과정에서 한명의 빌드업 전담 센터백을 두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기존 다른 탈압박 방법인 키퍼에게 백패스하는 방법 역시 없어진겁니다. 이런 과정에서 빌드업도 잘하고 수비도 잘하는 센터백들을 만들어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 과정이 되는거였죠.

뭐 과거에도 탑클래스 센터백들은 둘다 당연시 잘했지만, 과거에는 수비만 잘하는 스페셜리스트도 대접받고 높게 평가받았는데. 요새는 아무래도 수비만 잘하는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대접이 점점 줄어들어나가는 모습을 생각하면 충분히 패러다임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지않을까 싶습니다.
서쪽으로가자
20/12/05 07:3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많은 영향이 있어 보이네요, 특히 키퍼에게 발기술이 요구된 변화 등등...
정성스런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LG우승
20/12/04 20:46
수정 아이콘
저 백패스 지금의 이란과 만나면...
김연아
20/12/04 21: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대라는게 의미가 넘 모호하니까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 같아요

전 재밌게 잘 봤습니다

전 게임흐름 변화를 보면 1차 토탈사커, 2차 아리고 사키(,+크루이프)

그 다음에 현재와 비슷한 축구틀이 갖춰진 건 대략 90년대 후반경부터인 것 같은데

뚜렷한 패러다임의 변화보다는 점점 디테일하게 바뀌는 과정이라고 봅니다

90년 월드컵에도 가장 많이 나왔던 말이 압박축구였고, 독일이 압박축구로 우승했다고 했어요
20/12/04 21:38
수정 아이콘
사실 in 1992 modern football 요 말은 외국 축구사이트나 언론들에서 흔하게 나오는 말이죠.



자주 쓰이는 관용어구라서 크게 문제될꺼라 생각안했는데 pgr에서 이리 크게 반향이 될줄 몰랐네요.

보통은 1992년 요한크루이프의 드림팀이 챔스에서 우승하는 그날 그경기를 현대축구가 탄생하는날로 많이 지칭하거든요.

89년도 아리고사키 밀란의 우승은 이제 올드풋볼과 모던풋볼로 분리되려는 시기로 보고요.

그전년도나 그이후년도들도 중요하지만 걍 92년 이라고 퉁쳐버리는경우가 많긴 합니더 크크
루카와
20/12/04 21:13
수정 아이콘
역시 첫댓글의 중요성이... 크크크 전 재밌게봤습니다. 상당히 공감가는 내용도 많았구요
1절만해야지
20/12/04 21:39
수정 아이콘
와 백패스 진짜 토나오네요 ㅡㅡ
20/12/04 21:41
수정 아이콘
이 모든 변화의 시발점 : 마라도나의 출현
곰성병기
20/12/04 21:46
수정 아이콘
피지알은 축구친화적인 사이트가 아니라서 그래요. 전 재밌게 봤습니다. 백패스는 진짜 침대축구급이라고 봐도 무방할듯
Prilliance
20/12/04 21:48
수정 아이콘
골키퍼는 백패스를 손으로 잡을 수 없다는 규칙이 생각보다 최근에 생긴 거였군요. 반대로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어도 공에 관여하지 않는다면 오프사이드로 보지 않는다는 규칙은 좀 더 최근에 생긴 규칙일줄 알았는데 제 생각보다 더 예전에 생긴 규칙이네요. 신기합니다.
Enterprise
20/12/04 22:10
수정 아이콘
442 유입 뉴비라서 잘 읽고(?) 갑니다
20/12/04 22:41
수정 아이콘
글쓴이의 말마따나 1992 모던 풋볼은 외국 축구계에서는 그냥 정설처럼 쓰이는 말입니다. 너무 당연하다고 해야되나.
pnqkxlzks
20/12/04 23:27
수정 아이콘
오프사이드, 백패스 이 두 개가 정말 크죠. 이거 없었으면 지금같은 압박 못하니까요. 골키퍼랑 수비수 빌드업도 지금만큼 강조되지는 않았을 거구요. 큰 전환점 맞는 거 같습니다.
20/12/05 00:25
수정 아이콘
재밌게 봤습니다 크크 본문에 공감하고 가요
20/12/05 01:42
수정 아이콘
저도 잘 읽었어요. 저도 주워듣기로 92년 이후로 현대축구가 완성되었다 뭐 이렇게 알고 있어서 본문보면서 끄덕끄덕하다가 댓글 초반부 보고 응? 했다가 댓글 다 읽고서는 다시 잘 납득하고 갑니다.
프라이드랜드21
20/12/05 01:57
수정 아이콘
마치 난 80년대 70년대 축구의 팬인데 어딜 92년에 섯을 긋냐는듯한 언동들이 보이는데, 그정도면 이미 반세기가 지나갑니다... 한 나라의 역사도 아니고 삼국시대 축국 아테네 올림피아부터 셀 것도 아니고, 고작 백년이 조금 더 되는 쿠베르탱 이후의 스포츠의 짧은 역사에서 반세기정도면 현대 아닌게 맞아요
에이치블루
20/12/05 02:11
수정 아이콘
저도 86월드컵부터 본 사람으로서 너무 공감하며 봤습니다. 백패스 정말 재미없었지만 막상 없어지니 우리팀이 약팀일때는 조마조마하기도 했죠 하하
20/12/05 02:23
수정 아이콘
내용은 좋은데 제목이 어그로네요.

링크해주신 기사의 원제는 "축구가 1992년에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그때 변했다" 입니다.
20/12/05 02: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저 기사가 기본틀이지만 제가 그전에 쓰면서 참조했던 다른 글들도 가져와서 그렇게 되었습니다.

그글 참조글들이 아래 칼럼들인데.

https://the-inside-forward.com/2020/05/23/the-beginnings-of-modern-football-1989-1992/

https://taleoftwohalves.uk/columnist/1992-european-cup-final-game-defined-modern-day-football

https://www.espn.in/football/english-premier-league/23/blog/post/3175840/premier-league-chaos-when-backpass-law-invented-in-1992

이기사들은 1992년을 현대축구로 지칭하거든요. 어그로로 볼수도 있지만 그렇게 보는 관점들이 있어서 넣어봤습니다.
20/12/05 02:26
수정 아이콘
OFF-SIDE, BACK PASS의 재정립
이후 발밑 기술, 전술 다변화, 공간개념 확립, 다시 강한 압박.
반복 또는 재평가로 돌고 돌고 맞물리는 시대가 현재라 봅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너의색으로물들어
20/12/05 10:3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추천버튼이 없어서 아쉽네요
WhiteBerry
20/12/05 10:52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느린발걸음
20/12/05 11:41
수정 아이콘
파편적으로 알고있던 지식들의 이글을 읽고 통합되는 느낌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20/12/05 17:0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나이가 나이인지라 저때 축구가 다 기억나는건 아니지만 후반 80분 지나면 백패스 때문에 굉장히 루즈해지던게 기억나네요. 중요한 경기들에서는 더 심했구요. 개정된 뒤에 친구들과 축구하면서 백패스룰 적용한다고 맨날 싸우기도 했구요.
그래서인지 94년 월드컵이 공격적인 축구로 흥행하기도 했을거에요. 아마 그 당시엔 축구 메타는 뭐니뭐니해도 월드컵이었으니까요. 지금이야 유럽 챔스가 전술적으로 살짝 더 우위라 봅니다만.
*물론 94년 월컵에서도 조별예선에서 관중을 거의 우롱할 정도로 백패스만 해대던 경기들이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저런 룰 변화가 있었기에 선수들에게 더 많은 체력을 요구하고, 현대적인 압박으로 진화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정말 중앙에 공간이 없으니까요.
그렇기에 개인적으로 소소한 변화는 계속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입니다.
과거 토탈사커 영상들을 지금 보면 헛웃음이 날 정도로 웃긴데 그 당시엔 마땅한 이유가 있었고, 그 전술을 잘 훈련해서 세계를 재패했으니 멋진 축구였고, 앞으로도 새로운 메타가 나오길 기대하구요.
어쩌면 지금 메타인 공격수들의 게겐 프레스와 수비수들의 후방 빌드업 싸움이 수십년 뒤에는 굉장히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될 수도 있겠죠.
'저땐 저렇게 축구했네 힘들어서 어떻게 했대?' 뭐 이런 식으로요
구밀복검
20/12/06 07:31
수정 아이콘
백패스 이전과 이후로 축구 나뉘는 것 맞습니다. 저 이후 세리에A와 월드컵의 평균 득점 자체가 0.5골 이상 올라갔어요. 0.5골 이러면 별 거 아닌 거 같아 보이지만 2.1의 극단적인 빈공 축구가 2.6 이상의 화력 축구가 된 겁니다. 그냥 91년 정도 경기와 94년 정도의 경기를 놓고 보면 고작 3년 사이에 경기 양상 자체가 완전히 달라졌어요. 본문 내용은 축구를 통시적으로 아는 사람은 다 동의하는 명제입니다.

그리고 저런 일련의 변화들과 맞물려서 '유럽 클럽 축구 시장'이 비대화 된 것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일례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90년대 중반에서 1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고작 20년여의 기간 동안 팀 매출 규모가 20배가량 뛰었죠. 다른 팀들도 비슷한 변화를 거쳤고 그러면서 축구판의 재능들이 이 대륙 저 대륙 저 나라 그 나라에 분산되던 시기가 끝나고 유럽 빅리그로 헤쳐모이게 된 겁니다. 90년대에 남미 축구에 대한 유럽 축구의 독점적 승리가 확고해진 게 그런 이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442 [스포츠] EPL 개편한 1992-93시즌이후 빅6 우승 자료 [16] Heretic3170 22/06/04 3170 0
59458 [스포츠] 1992년, 슈퍼리그는 어떻게 챔피언스리그를 탄생시켰는가. [9] Yureka6087 21/04/24 6087 0
56384 [스포츠] 1992-93 All NBA 팀.jpg [3] 김치찌개4267 21/01/09 4267 0
55379 [스포츠]  축구를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지만 '현대축구'는 1992년에 탄생했다. [67] Yureka8902 20/12/04 8902 0
54468 [스포츠]  1992년 잉글랜드 빅5는 어떻게 새롭게 프리미어리그를 탄생시켰는가 (완) [3] Yureka4288 20/11/02 4288 0
54415 [스포츠] 1992년 잉글랜드 빅5는 어떻게 새롭게 프리미어리그를 만들었는가?(2) [10] Yureka5026 20/10/31 5026 0
54360 [스포츠] 1992년 잉글랜드 빅5는 어떻게 새롭게 프리미어리그를 탄생시켰는가 (1) [8] Yureka4633 20/10/30 4633 0
12250 [연예] 1992년 데뷔한 가요계 대표 미남 둘 [16] possible5567 17/10/23 55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