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8/21 12:03:17
Name 손금불산입
File #1 gettyimages_524132620.jpg (16.9 KB), Download : 27
File #2 gettyimages_835534274.jpg (45.3 KB), Download : 7
Link #1 본문에
Subject [스포츠] [해축] 독일에서 가장 미움 받는 클럽: RB 라이프치히의 문제점 (수정됨)




원 출처: https://www.independent.co.uk/sport/football/european/rb-leipzig-uefa-champions-league-psg-semi-final-red-bull-ucl-a9672936.html
번역 출처: https://www.fmkorea.com/3042946015 에펨코리아 KYKM



지난 2015년 라이프치히의 극단적인 서포터 중 일부는 극우 단체인 레기다에 항의하는 현수막을 내걸려고 했다. 해당 서포터들의 레드불 아레나 입장이 금지되었고 몇몇은 보호관찰 조치를 받았다. 이것은 독일 축구 클럽의 핵심이라고 여겨지는 행동을 위한 것이었다. 분명히 RB 라이프치히가 의도하는 문화의 핵심 부분이 아니었다.

얼마뒤 클럽 회장인 올리버 민츨라프는 다음과 같이 발표 했다.

"우리 구단은 정치적 메세지가 담긴 현수막을 승인하지 않겠다. 경기장과 축구 경기는 그런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 발표의 두번째 문장은 민츨라프 회장이 생각한 것보다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을 것이다.

축구 경기가 정확히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레드불 프로젝트 전체와, 왜 화요일의 역사적인 챔피언스리그 준결승전을 앞두고 그것이 그렇게 논란이 되고 있는가 하는 가에 대한 핵심적인 질문이다. 그 경기는 단순히 RB 라이프치히와 파리 생제르망의 경기가 아니다. 축구가 주된 목적이 아닌 카타르와 레드불사의 사이드 프로젝트 대결이다. 국가 기업과 음료수 기업의 대결이다.

왜냐하면 그들 구단의 소유주가 구단을 그렇게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카타르의 PSG를 통한 스포츠 워싱은 이미 유명하다. 인디펜던트지가 들은 한 RB 라이프치히의 초기 회의 내용에 의하면, 레드불 오너 디트리히 마테시츠가 레드불 프로젝트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그는 "아, 그건 영리 기업이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걸 통해서 음료수 한 캔 더 팔려는 건 아니지만, 브랜드 인지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

'브랜드 인지도'같은 상업적인 단어는 축구팬들을 축구에 열광하게 하는 것이 아니다. 그 목적이 소프트 파워나 스포츠워싱만큼 중대한 사안은 아닌건 사실이지만, 미심쩍고 축구와 그 역할의 방향성에 대해 논쟁을 불러 일으킨다.

축구의 역할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RB 라이프치히를 둘러싼 핵심적인 논쟁점이다.

마테시츠 오너 같은 인물들은 축구를 상업의 수단이라고 보는 반면, 독일의 축구 문화는 축구를 하나의 경기 그 이상인, 지역 사회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들의 의지를 반영한 공동체 경험이라고 보고 있다. 이번주 독일 스포츠 잡지 11Freunde사가 화요일 있을 챔피언스리그 준결승전 취재를 거부한다고 발표한 것이 이 점을 가장 적극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RB 라이프치히는 축구 클럽이 아니라 흉내를 내고 있다. 축구만을 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독일 다른 클럽의 많은 서포터들은 레드불 아레나에서 열리는 원정 경기에 불참하며 오랫동안 같은 입장을 취해왔다. 하지만 4만명의 팬들이 정기적으로 그들의 축구를 보러 오고 있기 때문에 상황을 복잡하게 한다. 독일의 팬 문화 전문가인 로버트 클로스는 RB 라이프치히를 다양한 문제들의 거의 유일한 대표 사례로 보고 있다.

클로스는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팬 시위 문화는 30년간의 오랜 역사가 있다. 경찰의 폭력, 좌석, 사설 TV, 경기 날의 대립이 시위의 원인이라 볼 수 있는데 모든 것이 RB 라이프치히에 대한 논쟁에서 절정에 달한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오랜 전통이 없고, 팬들이 적고, 다른 클럽 팬들은 그들은 인공품이라고 부른다. 독일에서 RB 라이프치히만큼 심한 축구의 상업화와 규칙 위반을 상징하는 구단은 없다."

궁극적인 문제는 그들의 시작부터 연관되어 있었다. 레드불사는 당시 5부리그의 SVV 마르크란슈테트 구단을 사들여 팀을 통채로 갈아엎으면서 그들의 전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클럽은 비록 작았지만 거대한 홍보가 되었다.

몇몇 인기 축구 클럽들이 설립당시에 논란이 있었고 인위적이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리버풀은 에버튼과 임대료 분쟁을 벌이던 안필드 구장의 오너 존 홀딩이 그의 경기장에서 플레이할 축구단이 필요하여 창단되었다. 첼시는 풀럼이 스탬포드 브릿지 구장을 이용하고 싶어하지 않을때 그 경기장에서 수익을 창출하고자 설립됐다. 독일의 바이엘 레버쿠젠은 영리 기업과 연관된 몇 안되는 구단 중 하나였기에 오랫동안 외부인 취급을 받았다.

이런 논쟁들은 클럽이 지역사회의 일부로 인정받기 시작하고 애착이 생기면,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클로스는 이렇게 말했다 "RB 라이프치히도 10년이 지나면 그렇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내 생각엔 클럽이 더 많은 행동을 취해야할 것이다."

적어도 그 부분이 지역 사회가 허용하는 행동과 관련해서는 훨씬 더 복잡해지는 부분이다. 라이프치히는 서포터 회원들이 다수 의결권을 갖는 독일의 유명한 50+1 규정에 가입했지만, 그 빈틈을 이기적으로 이용해, '그 정신을 거스르고 있다' 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대부분 클럽의 회원료는 연간 100 유로 미만이지만 라이프치히는 1,000 유로부터 시작하며, 그럼에도 투표권이 주어지지 않는다. 오직 라이프치히 클럽의 19명만이 회장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 샬케와 같은 클럽들은 각각 10만명 이상의 유료 회원들이 있고, 티켓 가격에 따라 이슈에 대한 투표를 할 수 있다.

"라이프치히는 클럽에 대한 참여 가능성이 없다" 클로스는 말했다. "그건 독일 팬 문화에서 중요한 것이다. 응원에 관한 것만이 아니다. 참여에 관한 것도 있다."

그렇기 떄문에 RB 라이프치히의 문제는 그들이 구단을 마케팅용으로 쓴다는 사실을 넘어서는 것이고 축구 경기속에 구현된 또 다른 형태의 자본주의라고 쉽게 치부하게 되는 이유이다.

"젊은 팬들이 민주적인 경험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은 축구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이 된다." 라고 클로스는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많은 논의가 의사 참여가 부족한 영국 축구문화에서 이질적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RB 라이프치히는 독일 축구 클럽의 정체성을 위배하고 있다. 독일에서의 축구 클럽이란 지역사회의 핵심이고, 지역사회는 클럽의 핵심이 된다. 심지어 라이프치히의 기형적인 성장 과정에도 불구하고 그 슈퍼 클럽 또한 팬들로 인해 성장했다. 심지어 바이엘 레버쿠젠도 축구를 하고 싶어하던 직원들로부터 성장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구단주 맬컴 글레이저가 그들의 홈구장 올드 트래포드를 현금 인출기로 만드는 것보다 레드불이 청량 음료를 광고하는 것이 더 나쁜 것은 지역적 특수성 떄문이다. 만약 맨유, 맨시티, 첼시 중 어느 구단의 구단주가 떠나더라도, 거기엔 매우 확고한 정체성을 가진 자랑스러운 클럽이 남아있다. 라이프치히는 레드불이 떠난다면 모든 것이 흩어져 버릴 것이다.

그리고 그 잠재적인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든 독일의 많은 사람들은 RB 라이프치히의 더 큰 문제점은 그들이 클럽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을 바꾸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이 많은 사람들이 이 클럽의 성장 모델이 잘못됐다고 하는 부분이다. 필자의 다른 칼럼에서 축구계를 향한 초 거대 자본의 유입이 축구의 정체성 자체를 침식시키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 적이 있다. 이것이 바로 그런 상황이며 바이에른 뮌헨이 독일 시장 구조안에서 영향력을 행사해온 방식 때문에 실제로 축구에 대한 레드불 같은 영리 기업들의 관심은 피할 수 없게 됐다.

더구나 라이프치히는 상당히 혁신적인 방법으로 팀을 꾸려왔다. 그들 팀 전체 연봉은 네이마르의 절반도 안되고, 킬리앙 음바페의 절반보다 조금 더 많은 수준이다. 분데스리가에서 그랬듯이 챔피언스리그에서도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라이프치히가 축구계의 경쟁 균형을 개선시키긴 했지만, 문제는 그것 또한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늘리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필요한 재분배보다 기존의 축구 시장의 파이를 더 좁히고 자본주의를 더 가속시킨다. 전세계에도 더 큰 영향을 주는 기업 자본주의이다.

부정할 수 없는 한가지 사실은 라이프치히는 분데스리가 클럽의 지역적 분배를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그들의 연고지는 오랜 시간동안 상위 3개 리그에서 연고팀이 없는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였다. 라이프치히는 또한 많은 이들이 부유한 서부 독일을 선호하는 대세에서 벗어나 절실히 축구팀의 부흥이 필요한 구 동독지역을 선택했다.

알렉산더 초르니거는 하부리그에서 RB 라이프치히의 첫 승격을 달성한 감독으로 지역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는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라이프치히는 독일 연방이 세워진 곳으로, 역사적인 옛 축구 도시이지만 독일 축구 지도에서 사라졌었다." 라고 말했다. "4부리그에선 7,500명의 관중이 있었는데 월드컵 경기장이었기 떄문에 상당히 비어보였다. 하지만 3부리그에서 만5천명이 됐고, 분데스리가로 승격할 기회를 얻었을떄 4만석이 매진됐다. 그렇게 우리는 매년 예상 평균 관중을 거의 두배씩 늘렸다."

"라이프치히에선 우리의 클럽 컬러와 클럽 엠블렘을 볼 수 있다. 내 기억으로 처음에는 팬들이 클럽 컬러를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았다. 다른 클럽들이 있었고 그들의 눈치를 봤기 떄문이다."  

동독 지역에 대한 논쟁이 마지막 시사점이다. 라이프치히가 지역민들에게 환영 받는다고 생각하는 건 오만하다고 클로스가 생각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RB 라이프치히는 동독 역사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다. 간접적으로 그들이 이 지역에서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과 사회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다른 개념이다. 물론 그들은 다른 현대의 기업들이 그렇듯이 소규모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이 압도적으로 지역 구조나 지역 사회에 참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떄문에 RB 라이프치히를 사회 기관이라고 볼 수 없지만 라이프치히 지역에는 그런 사회적인 구단들도 있다. 4부리그에 있는 로코모티브와 BSG 케미이다."

그 클럽들의 팬들뿐만 아니라 구 동독 지역의 타 클럽 팬들도 바로 그런 이유로 RB 라이프치히에 대해 가장 적대적인 행동을 취해 왔다. 유니온 베를린은 이번 시즌 초 RB라이프치히와의 경기에서 라이프치히의 구단 구조에 대한 항의의 의미로 킥오프 시에 침묵을 지켰고, 디나모 드레스덴 서포터들은 3년전 잘린 황소 머리를 경기장 안에 던졌다. 그 드레스덴과의 경기에는 원정 경기에 3만 5천명의 팬들이 왔었고, 이는 이 지역의 축구 전통의 풍부함을 보여준다. 그것이 전통을 위배하는 것에 대해 실제로 반감을 표시하는 이유이다.

"첫 경기부터 미움을 받았었다. 특히 동독 지역 팬들로부터" 초르니거는 말했다. "할례셔를 상대한 첫 경기가 기억나는데, 그들은 우리 버스에 돌을 던졌었다. 가장 미움받는 클럽이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하지만 존중또한 있었다."

경기 안에서는 분명히 존중이 있었다. 그것은 축구에서 처음 시작하는 팀의 가치를 알려준다. 라이프치히는 아무런 부담도 없었고 그저 최선을 다 할 수 있었다.

유럽 전역의 여러 정상급 클럽에서 일해온 한 축구계 인물은 인디펜던트와의 인터뷰에서 "지금 클럽을 만든다면, 라이프치히를 벤치마킹해야할 것"이라고 한다.

"그들의 선수 영입 방식은 매우 우수하다. 그들은 수익을 재투자하기 전에 꾸준히 어린 나이의 선수들을 발굴해서 성장시킨다. 모든 구단이 그렇게 해야한다."

라이프치히는 또한 랄프 랑닉 단장이 정한 축구 철학으로 인해 어린 지도자들을 양성하는 꾸준히 모니터링되고 업데이트되는 효과적인 지도자 학교 역활도 하고 있다. 마르코 로제, 랄프 하센허틀, 대니 로흘과 율리안 나겔스만만 봐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여기에도 복잡한 문제가 있다. RB 라이프치히의 자체 유스팀은 아직 분데스리가에서 1분이라도 뛴 선수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신 그들의 유스 출신 선수들은 레드불 프랜차이즈 산하의 타 구단으로 보내진다. 현재 라이프치히에 소속된 다욧 우파메카노와 마르셀 자비쳐를 포함한 18명의 선수가 잘츠부르크에서 라이프치히로 왔다.

그리고 축구는 그 자체로 재미있고 현대적이기에 판매 전략의 다른 한 부분이다.

초르니거는 "레드불이라는 브랜드와 잘 어울린다" 라고 말한다. "날개도 달아주고 여러가지를 보여 준다. 축구를 보다 화장실에 갔는데 경기에서 재밌는 유일한 부분을 놓치면 즐겁지 않을 것이다. 그건 즐거운 축구가 아니다. 이 팀의 철학에서는 많은 걸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의문스러운 것은 그 철학의 다른 측면들이다. 한 소식통에 의하면 라이프치히 클럽은 축구 경기를 마케팅으로 포장된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립적인' 시각적 경험 이상으로 보지 않는다고 한다. "그건 말그대로 다른 독일 구단과는 대조적이다. 가능한 최대로 기업화되어 있다."

살아 있는 경험이란 개념과 반대되는 무익한 소모품으로서의 축구다.

클로스는 마지막으로 덧붙였다.

"RB 라이프치히가 독일 축구에서 유일한 자본가 구단이라고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건 말도 안되는 소리다. 하지만 지난 30년 동안의 모든 정치적 재정적 발전을 위기로 몰고가고 있다."

라이프치히는 축구의 정의에 대해 도전하고 있다.





어쩌면 대놓고 기업들의 참여와 엔터테인먼트의 수단으로 프로스포츠가 발전한 우리나라에서 스포츠를 접한 사람이라면 이런 독일의 문화가 잘 이해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네요. K리그의 부흥을 위해 더더욱 기업 스폰서를 강조하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도 나올 정도니... 읽다보며 느낀건데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니라 옆동네 잉글랜드와도 정서가 꽤 다르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다른건 몰라도 본문에서 언급된 의결권 문제가 라이프치히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칼럼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단순히 한두개의 주제로 반감이 생긴게 아니다보니 참 복잡한 문제기도 하네요. 본질, 가치관, 현상, 근본 등등등...

다음 시즌엔 황희찬이 이 팀 소속으로 뛰게 될텐데, 어떤 의미로든 독일에서 가장 핫한 클럽 중 하나에서 한국 선수가 뛰게 된다는 점도 꽤 흥미로운 일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0/08/21 12:13
수정 아이콘
잘 모르는 사안이지만 저는 솔직히 독일팬들 입장에 좀 더 공감이 됩니다. 무엇보다도 그들의 전통이 그런 거라는데 어쩌겠습니까. 개인적으론, 그 전통이 좋아 보이기도 해요. 근데 한편으론 라이프치히라는 클럽이 그래서 더 재밌는 것도 같습니다. 다른 존재 방식을 가진 "적"이 있다는 좋은 거라고 생각합니다. 좀 더 다양해지고 좀 더 풍성해진 그런 삘이 들어요. 앞으로 분데스리가를 더 자주 볼 이유가 생겼네요. 아 그러고 보니 황희찬 선수도 이제 라이프치히네요. 앞으로 분데스리가 더 자주 방송해줄 듯?
興盡悲來
20/08/21 12:16
수정 아이콘
축구를 단순히 하나의 사업으로 생각했을때.... 현재로서 가장 완성도 높은 팀이 라이프치히라고 봅니다.... 다만 총본산(?)이 하필 독일이라는게.... 차라리 EPL이었다면 이런 비판을 받을 필요가 없지 않았을까 싶은데 , 본사가 오스트리아라 어쩔 수 없지 싶기도 하고....
비오는월요일
20/08/21 12:22
수정 아이콘
솔직히 호펜하임한테 하는거보면 그냥 이익집단간 충돌로 생각해야지. 누가 선이고 악이고는 판단할 필요 없는거 같습니다.
약간 기업이랑 노조가 싸우는거 같다랄까요.
뻐꾸기둘
20/08/21 12:32
수정 아이콘
호펜하임 때도 한번 시끄러웠었죠. 다만 호펜하임은 1부 승격후엔 유망주를 육성해서 팔고 차익으로 선수 영입하는 전형적인 자생적 중위권 구단의 행보를 밟으면서 논쟁이 좀 사그러 들었고요.(여전히 분데스 내 팬들은 여전히 고깝게 보는지 올해 뮌헨전에서도 충돌이 있었지만)

초창기 호펜하임의 돌풍 이끌었던 랑닉, 호펜하임이 침체기에서 다시 부활하는데 크게 기여한 니겔스만이 라이프치히에서 비슷한 행보를 보이면서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선게 좀 흥미롭긴 하네요.
20/08/21 12:41
수정 아이콘
본문의 라이프치히에 대한 저 말들을 일부 농촌에서 이사온 외지인들에게 행하는 흔한 텃새로 바꿔도 위화감이 없네요
손금불산입
20/08/21 12:52
수정 아이콘
그렇긴한데, 연고지 이전 같은 것도 이사로 비유한다면 사람들이 그렇게 열낼 이유도 없는거죠.
20/08/21 12:45
수정 아이콘
독일이니까 문제되는거지 다른 리그에 비하면 글쎄요... 오일머니로 팀셋팅하는거보다 훨씬 안정적일수도 있다고 봅니다.
최소한 얘들은 시간들여서 주류에 편입하려고 노력은 하잖아요
손금불산입
20/08/21 12: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서 몇몇 부분은 칼럼에서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문제라는 뉘앙스가 있긴 합니다. 사실 생각해보면 그쪽 방면으로는 맨시티가 어마어마하게 모범사례죠. 지역 자체를 아예 개발하고 있는 수준이라... 10년 전에 맨시티 구장에 간 적이 있었는데 완전 허허벌판이었던게 기억나네요.
20/08/21 13:07
수정 아이콘
시티도 정말 오래되었고, 심지어 요샌 돈쓰는것도 '막 지르는' 수준은 아니니까요 처음처럼 질러댔으면 욕 먹었을턴데;
초창기 시티 개발하는거 막 올라왔을땐 우와 싶었는데, 저정도 해주면 지역에서 좋아하겠다 싶더라구요.
담배상품권
20/08/21 13:35
수정 아이콘
PSG, 레알, 바르샤가 큰거 한두장을 써서 그렇지 맨시티도 돈만 보면 거의 동등하게 씁니다.
히샬리송
20/08/21 14:38
수정 아이콘
지금도 막지르는 수준은 맞아요... 그냥 위상이 올라가서 예전처럼 이걸 이 돈 주고까지 사오네느낌의 슈퍼오버페이 할 일이 없는거지
기사조련가
20/08/21 12:45
수정 아이콘
크보 팬 입장에서 아주 이상적인 구단운용이네요
왜 싫다는거야 크크
할수있습니다
20/08/21 12:55
수정 아이콘
사실 우리가 모르는 스토리가 있을겁니다. 간단히 보자면 원래 지역팀은 BSG 케미 라이프치히가 원래 그 지역팀이랍니다.
근데 레드불이 인근지역팀을 구매해서 자본력을 바탕으로 커지니 뭐 여러가지 이야기 또는 시샘이 발생되겠죠. 거기다가 구 동독지역팀이라는 특성까지도
及時雨
20/08/21 13:00
수정 아이콘
한국에도 레드불 클럽 하나 생기면 좋겠다 호호
강가딘
20/08/21 13:48
수정 아이콘
그러기에는 솔직히 말하면 k리그가 투자할 가치가 없다고 봐야
투자할만 했으면 진작에 투자했겠죠
레드불말고 만수르의 시티풋볼그룹은 j리그 오코하마 F 마리노스의 2대주주입니다
외국자본이 30프로를 넘지 말아야 한다는 J리그 정책때문에 2대주주인거죠
及時雨
20/08/21 13:48
수정 아이콘
소원은 빌 수 있잖아요 힝 너무해
강가딘
20/08/21 13:50
수정 아이콘
너무 팩폭을... 죄송합니다..
及時雨
20/08/21 13:51
수정 아이콘
밀린 K리그 골 모음 글 써야되는데 의욕이 떨어지네요...
소셜미디어
20/08/21 13:16
수정 아이콘
삼성대 롯데 같은 말을 수십년째 스포츠 뉴스에서 보고 있는 우리는 넘무 이해하기 힘든 문제의식이에요..
느린발걸음
20/08/21 14:02
수정 아이콘
반면 K리그쪽은 스폰서에 대한 적대가 심했죠. 수원엠블럼에서 삼성을 빼라고 서포터들이 항의를 하기도 했고.
하피의깃털눈보라
20/08/21 13:51
수정 아이콘
아니 그래서 5부리그에 계속 있을거냐고~
DownTeamisDown
20/08/21 15:07
수정 아이콘
사실 글에서도 이야기가 나왔지만 동독지역에 좋은 전력을 가진팀이 없었다는것에서 지역균형적으로 보면 좋은측면도 있기는한데 반대로 지역 밀착에서는 거리가 멀어보이기도 하죠.
로피탈
20/08/21 15:21
수정 아이콘
그래서 뮌헨만 우승하는 거 계속 보고 싶냐고 묻고 싶네요...솔직히 지금 구조에서 뮌헨을 이길 수가 있나요?
raindraw
20/08/21 16:58
수정 아이콘
다른 구단들도 이미 엄청나게 거대하게 상업화된 구단들이라고 생각해서 황당하긴 합니다.
KBO 같은 경우에도 삼성이나 기아 이름 달고 있는 걸 보고 MLB 팬들이 문화충격이라고 놀라워 하던데
사실은 훨씬 더 거대한 규모의 상업화된 팀들을 가지고 있는 그들이고 이미 화이트삭스, 레드삭스 등의 이름은
상업적인 이유로 붙었음에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도 신기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425 [스포츠] 한신 고시엔 구장에 한국어 가사의 교가가 울려퍼진 날 [8] 烏鳳5895 21/03/24 5895 0
58359 [스포츠] 백신에 기대거는 MLB 토론토 사장 "홈구장 복귀 요청 계획" [2] 강가딘5171 21/03/22 5171 0
57864 [스포츠] [해축] 마드리드 더비 골장면 및 감상평.gfy [25] 손금불산입4196 21/03/08 4196 0
57306 [스포츠] 라이프치히 vs 리버풀 16강 1차전.gfy (용량주의) [18] SKY925500 21/02/17 5500 0
56758 [스포츠] [미식축구] 2020시즌 컨퍼런스 챔피언십 결과 [18] 담배상품권3269 21/01/25 3269 0
56558 [스포츠] [해축] 2년 만에 승격부터 챔스권까지.gfy [3] 손금불산입5696 21/01/16 5696 0
56185 [스포츠] [스포츠] 1년전 스토브리그 드라마. [7] 식스센스5925 21/01/01 5925 0
56102 [스포츠] 김하성이 뛰게 될 샌디에이고의 전력을 정말 대충 알아보자 [7] 죽력고5111 20/12/29 5111 0
55560 [스포츠] [해축] 레알 마드리드가 챔스 아닌 다른 유럽 대회를 뛰었던 마지막 경기 [13] 손금불산입5757 20/12/10 5757 0
55499 [스포츠] [K리그] 인천, ‘홈 구장 네이밍 라이츠’ 입찰 진행 [12] 及時雨4580 20/12/08 4580 0
55413 [스포츠] [nba]농알못이 보는 골든스테이트의 전망 그리고 응원... [18] 혈관4603 20/12/05 4603 0
55396 [스포츠] SSC 나폴리, 홈 구장 이름을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스타디움으로 변경 [5] 及時雨5735 20/12/05 5735 0
55370 [스포츠] [해축] 리그에서는 쭈구리, 유로파에선 깡패.gfy (6MB) [4] 손금불산입4770 20/12/04 4770 0
55181 [스포츠] [KBO] 모락모락 피어나오는 유력 FA 루머들 [73] 손금불산입8001 20/11/27 8001 0
54866 [스포츠] [해축] 호날두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적 비화 [8] 손금불산입6753 20/11/17 6753 0
54360 [스포츠] 1992년 잉글랜드 빅5는 어떻게 새롭게 프리미어리그를 탄생시켰는가 (1) [8] Yureka4627 20/10/30 4627 0
54197 [스포츠] [KBO/LG] 이천 트윈스 감상(장문 주의, 데이터 주의) [31] 무적LG오지환3750 20/10/25 3750 0
53821 [스포츠] [KBO/LG] 유능한 단장이 무능한 에이전트를 상대하면... [69] 무적LG오지환6094 20/10/12 6094 0
53812 [스포츠] [KBO/LG] 켈리와 아이들이 해냈다!(데이터 주의) [45] 무적LG오지환3908 20/10/11 3908 0
53804 [스포츠] [KBO]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는 삼성에게 불리하다 [23] 손금불산입5144 20/10/11 5144 0
53609 [스포츠] 타이거즈는 왜 잠실만 가면 고양이가 되는가 [5] 예루리4391 20/10/04 4391 0
53139 [스포츠] [MLB2019 류현진 VS 2020 류현진 [6] 세종대왕5233 20/09/20 5233 0
52885 [스포츠] MLB, 디비전시리즈부터 중립 지역에서 치를 듯 [1] 강가딘3871 20/09/13 38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