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11/23 18:46:51
Name MBAPE
Link #1 구글
Subject [연예] 한국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아이돌그룹이라 생각되는 10팀. (수정됨)
S.E.S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S.E.S(1997년 데뷔)

음반판매량 : 약 357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4위)

음악방송 1위횟수 : 32회

대표곡 : 아임 유어 걸, 드림스컴트루, 러브, 꿈을 모아서 등

주요 수상 경력

1998년 골든디스크 신인상
1998년 KMTV 가요대전 인기상
1998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8년 SBS 가요대전 10대가수상
1998년 KBS 가요대상 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
1999년 KMTV 가요대전 본상
1999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9년 KBS가요대상 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
2001년 골든디스크 인기상
2001년 KMTV 가요대전 본상
2001년 SBS 가요대전 본상
2001년 KBS 가요대상 청소년 부문 올해의 가수상
2002년 MKMF 여자그룹 부문 최우수 뮤직비디오상

핑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핑클(1998년 데뷔)

통산 음반판매량 : 215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5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30회

대표곡 : 내 남자친구에게, 루비, 영원한 사랑, 나우 등

주요 수상 경력

1998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8년 SBS 가요대전 본상
1998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1998년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신인상
1998년 KMTV 가요대전 인기상
1998년 KMTV 가요대전 신인상
1999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1999년 서울가요대상 대상
1999년 SBS 가요대전 본상
1999년 SBS 가요대전 대상
1999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1999년 골든디스크 본상
1999년 KMTV 가요대전 최우수 여자그룹상
2000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00년 대한민국 영상음반대상 본상
2000년 KMTV 가요대전 본상
2000년 MKMF 여자그룹 부문 최우수 뮤직비디오상
2001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01년 SBS 가요대전 본상
2001년 SBS 가요대전 인기상
2001년 KBS 가요대상 올해의 가수상
2001년 KMTV 가요대전 본상

원더걸스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원더걸스(2007년 데뷔)

통산 음반판매량 : 약 37만장

음악방송 1위 횟수 : 41회

대표곡 : 텔미, 쏘 핫, 노바디, 비 마이 베이비, 와이 쏘 론리 등

주요 수상 경력

2007년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2007년 MKMF 신인상
2007년 골든디스크 본상
2007년 골든디스크 인기상
2008년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2008년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2008년 MKMF 여자그룹상
2008년 MKMF 올해의 노래상
2008년 골든디스크 본상
2009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09년 서울가요대상 대상

카라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카라(2007년 데뷔)

통산 음반판매량 : 약 384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3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27회

대표곡 : 프리티걸, 미스터, 루팡, 점핑, 스텝 등

주요 수상 경력

2009년 MAMA 댄스음악상
2009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0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1년 일본 골든디스크대상 신인상
2011년 일본 레코드 대상 우수작품상
2012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2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2년 서울가요대상 한류특별상
2012년 일본 골든디스크대상 올해의 다운로드
2012년 MAMA 베스트 글로벌여성그룹상
2013년 일본 골든디스크 대상 베스트 아시안 아티스트상
2013년 골든디스크 본상

소녀시대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소녀시대(2007년 데뷔)

음반판매량 : 약 584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2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127회

대표곡 : 다시만난세계, 소녀시대, 키싱유, Gee, Oh, 훗, 더 보이즈, 아이 갓 어 보이, 라이언하트 등

주요 수상 경력

2007년 골든디스크 인기상
2008년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2009년 골든디스크 본상
2009년 골든디스크 음원대상
2009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09년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2009년 멜론뮤직어워드 베스트송상
2010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0년 서울가요대상 대상
2010년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노래상
2010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0년 골든디스크 인기상
2010년 골든디스크 음반대상
2010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0년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2011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1년 서울가요대상 대상
2011년 MAMA 여자그룹상
2011년 MAMA 올해의 가수상
2011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표창
2011년 멜론뮤직어워드 글로벌아티스트상
2012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2년 골든디스크 음원대상
2012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2년 서울가요대상 인기상
2013년 MAMA 여자그룹상
2013년 유튜브 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상
2014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4년 골든디스크 인기상
201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5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5년 골든디스크 인기상
2015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5년 MAMA 여자그룹상
2016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7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7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8년 골든디스크 본상

2ne1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2NE1(2009년 데뷔)

통산 음반판매량 : 약 80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10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38회

대표곡 : 파이어, 아이 돈 케어, 캔트 노바디, 내가 제일 잘나가 등

주요 수상 경력

2009년 MAMA 뮤직비디오상
2009년 MAMA 신인상
2009년 MAMA 올해의 노래상
2009년 멜론뮤직어워드 신인상
2009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0년 MAMA 뮤직비디오상
2010년 MAMA 여자그룹상
2010년 MAMA 올해의 가수상
2010년 MAMA 올해의 앨범상
2010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0년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2011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1년 멜론뮤직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2011년 MAMA 올해의 노래상
2012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표창
2013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4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4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에이핑크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에이핑크(2011년 데뷔)

통산 음반판매량 : 약 107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9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43회

대표곡 : 노노노, 미스터 츄, 러브, 리멤버, 파이브, 1도 없어 등

주요 수상 경력

2011년 MAMA 신인상
2012년 골든디스크 신인상
2012년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2014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4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4년 멜론뮤직어워드 댄스상
2015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5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5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6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8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레드벨벳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레드벨벳(2014년 데뷔)

통산 음반판매량 : 약 140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6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64회

대표곡 : 아이스크림케이크, 덤덤, 러시안룰렛, 루키, 빨간맛, 피카부, 파워업 등

주요 수상 경력

2015년 골든디스크 신인상
2015년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2015년 멜론뮤직어워드 댄스상
2015년 MAMA 베스트댄스퍼포먼스상
2016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6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뮤직비디오상
2017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7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7년 MAMA 여자그룹상
2018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8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8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문화관광부장관 표창
2019년 소리바다 케이뮤직 어워드 올해의 스테이지상

트와이스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트와이스(2015년 데뷔)

음반판매량 : 약 737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1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97회

대표곡 : 우아하게, 치얼업, TT, 낰낰, 시그널, 라이키, 왓 이즈 러브, 댄스더나잇어웨이, 예스올예스 등

주요 수상 경력

2015년 MAMA 신인상
2016년 골든디스크 신인상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베스트송상
2016년 MAMA 여자그룹상
2016년 MAMA 올해의 노래상
2017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7년 골든디스크 음원대상
2017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7년 서울가요대상 디지털음원상
2017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문화관광부장관표창
2017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7년 MAMA 베스트댄스퍼포먼스상
2017년 MAMA 올해의 노래상
2018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8년 일본 골든디스크 대상 아시아부문 다운로드상
2018년 소리바다 케이뮤직 어워드 대상
2018년 엠비씨 지니뮤직어워드 올해의 베스트셀링 아티스트상
2018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8년 MAMA 베스트댄스퍼포먼스상
2018년 MAMA 여자그룹상
2018년 MAMA 올해의 노래상
2018년 KPMA 음원상
2019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9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9년 MGMA 베스트셀링 아티스트상
2019년 소리바다 케이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상

블랙핑크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블랙핑크(2016년 데뷔)

음반판매량 : 약 77만장(역대 여성그룹 판매량 11위)

음악방송 1위 횟수 : 21회

대표곡 : 휘파람, 붐바야, 불장난, 마지막처럼, 뚜두뚜두, 킬 디스 러브 등

주요 수상 경력

2016년 AAA 신인상
2016년 MAMA 베스트 뮤직비디오상
2016년 멜론뮤직어워드 신인상
2017년 골든디스크 신인상
2017년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2017년 가온차트 어워드 신인상
2018년 서울가요대상 본상
2018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8년 멜론뮤직어워드 TOP10
2018년 멜론뮤직어워드 댄스상
2018년 MAMA 월드와이드 초이스 TOP10
2018년 빌보드 HOT100 진입
2019년 골든디스크 본상
2019년 Soompi어워즈 최우수 여자그룹상
2019년 피플스초이스어워드 올해의 그룹상
2019년 피플스초이스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상
2019년 피플스초이스어워드 올해의 콘서트투어상
2019년 빌보드 HOT100 2회연속 진입
2019년 K-POP 그룹 최초로 유튜브 조회수 10억뷰 달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하영
19/11/23 18:50
수정 아이콘
핑순이들 더 오래하자
55만루홈런
19/11/23 18:51
수정 아이콘
임팩트만 따지만 티아라도 들어갈만한데 음원 연간 1위찍고 대상도 받아본... 아 근데 씨스타도 있네요 그렇게 따지면 크크
라붐팬임
19/11/23 18:59
수정 아이콘
진짜 투애니원 임팩트하나는 최연성급이었는데
독수리의습격
19/11/23 19:02
수정 아이콘
누구 하나 뺄 거 없이 다 들어갈만한 그룹인거 같고, 개인적으로는 f(x)가 아쉽습니다. SM이 좀 전폭적으로 밀어줬으면 충분히 여기 낄 수 있는 그룹인데.
19/11/23 19:04
수정 아이콘
2ne1 박봄이랑 민지 너무 이상하게 나왔...
지금만나러갑니다
19/11/23 19:12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가 티아라, 씨스타, f(x) 보다 우위인가봐요?
19/11/23 19:49
수정 아이콘
fx는 워낙 활동을 안 시켜서 누적에서 무리이고...
씨스타랑 비교해야 하는데, 음방 1위 횟수는 둘이 같은데 (43회, 나무위키 피셜. 씨스타 19까지 끼면 얘기가 달라지는 데 이때는 또 정은지 솔로활동도 넣어야 해서..)
에이핑크가 현재진행형으로 꾸준히 활동하고 있고 앨범판매 등에서 앞선다면 앞서겠죠.
음원은 씨스타가 약우위일까 생각들기 합니다만..
저는 에이핑크가 누적이 더 좋다고 생각해서 에이핑크가 난 거 같아요.

라고 쓰는데 왜 PGR에서는 아이돌 서열 놀이 금지하는지 알 거 같...
theboys0507
19/11/23 21:11
수정 아이콘
콘서트까지 포함하면 씨스타, 티아라가 비비기는 어려운데다가 에이핑크는 지금도 꾸준히 활동하고있다는게 크죠. '강한 자가 살아남는다가 아니라 살아남는자가 강한 것이다'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VictoryFood
19/11/23 19:17
수정 아이콘
씨스타가 들어가야죠.
국내한정으로는 ses/핑클/원걸/소시/트와 빼고는 씨스타보다 우위인 팀이 없을 겁니다.
19/11/23 19:19
수정 아이콘
레드벨벳이 쫌 약해보이네요
저그우승!!
19/11/23 19:27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도 훌륭한 그룹이지만 저 사이에 있으니 좀 약해보이는 건 사실이네요..
회전목마
19/11/23 19:30
수정 아이콘
개인적 의견으로는 여자친구,씨스타 는 들어갈만해보이네요
다비치는 안되려나 흐흐흐
19/11/23 20:52
수정 아이콘
여자친구는 힘들어보이네요
본문에있는팀들은 물론이고 시스타나 티아라 브아걸등에도 많이밀려서
회전목마
19/11/23 20:55
수정 아이콘
하긴 생각해보니 AOA 마마무 걸스데이 등등도 있으니 어렵겠네요
엔터프라이즈
19/11/24 00:07
수정 아이콘
2015년 (1회)
11월 7일 제7회 《멜론 뮤직 어워드》 여자 신인상
2016년 (10회)
1월 14일 제25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1월 20일 제30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디지털 음원 부문 신인상
2월 17일 제5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신인상
3월 18일 제28회 《한국PD대상》 출연자상 가수 부문
4월 10일 중국 《Yinyuetai The 4th VChart Awards》 Top New Artist - Korea
7월 21일 2016 《MTN 방송광고페스티벌》 CF 모델 부문 여자 스타상
11월 19일 제8회 《멜론 뮤직 어워드》 TOP10
11월 19일 제8회 《멜론 뮤직 어워드》 뮤직 스타일 댄스 부문 여자
11월 30일 제24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K-POP 최우수상
12월 2일 제18회 《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베스트 댄스 퍼포먼스 여자 그룹
2017년 (6회)
1월 13일 제31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디지털 음원 부문 본상
1월 19일 제26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2월 22일 제6회 《가온 차트 K-POP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1월 음원 부문
9월 20일 제1회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본상
11월 13일 2017 《MTV 유럽 뮤직 어워드》 베스트 코리아 액트 상
12월 2일 제9회 《멜론 뮤직 어워드》 1theK 퍼포먼스상
2018년 (5회)
1월 10일 제32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베스트 여자 그룹상
1월 23일 《2018 V LIVE AWARD》 글로벌 아티스트 TOP 10
4월 17일 제13회 《숨피 어워즈》 베스트 여자 그룹 상
5월 6일 《아시아 모델 어워즈》 인기스타 상
12월 1일 제10회 《멜론 뮤직 어워드》 뮤직비디오상
2019년 (2회)
1월 5일 제33회 《골든 디스크 어워즈》 베스트 여자 그룹상
1월 15일 제2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댄스퍼포먼스상

가요 프로그램 1위 수상 내역 총 59회

멜론 연간 2위의 시간을 달려서

뭐하나 부족한게 없네요 빠르고 간편하게 위키에서 긁어왔습니다 크크크크크크크
19/11/24 01:26
수정 아이콘
긁어온걸봐도 딱히....
본문에서 대신할만한 팀이안보이죠
여긴없는 티아라도 연간1위에 히트곡이 훨씬많고
시스타는 음원파워에서 여친이랑 비교불가수준이라
엔터프라이즈
19/11/24 02:12
수정 아이콘
눈물을 머금고 그렇게 생각하고싶은신 마음 잘 알겠습니다
무리수가 좀쎄지만요 크크크크크크크
19/11/24 02:29
수정 아이콘
팩트라
반박이 안되시긴할거에요
본문에서 누구빼고 여친집어넣겠다고하면 좀 쎈 무리수긴하겠네요
엔터프라이즈
19/11/24 03:03
수정 아이콘
눈물을 머금고 그렇게 생각하고싶은신 마음 잘 알겠습니다
팩트라 반박이 안되시긴할거에요
무리수가 좀쎄지만요 크크크크크크크
19/11/24 03:35
수정 아이콘
댓글이 좀 슬퍼보이네요
엔터프라이즈
19/11/24 15:06
수정 아이콘
너무 무리해서 애쓰시는 모습 안쓰럽 크크크크크
19/11/24 15:59
수정 아이콘
엔터프라이즈 님//
올해는 연간차트조차 곡하나 못들어가던데 역대탑텐이라

여자친구화이팅입니다
及時雨
19/11/23 19:41
수정 아이콘
흑흑 우리 카라
루데온배틀마스터
19/11/23 19:42
수정 아이콘
이 글에는 해당사항이 없지만 얼마전 레인보우 10주년 기념+지숙이 말했던 걸 정리한 글이 생각나서..11번째로 끼워넣고 싶네요
19/11/23 19:43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는 좀 많이 약한거 아닌가 싶은데..
마바라
19/11/23 19:45
수정 아이콘
베이비복스 무시하나요!!
루카와
19/11/23 19:48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랑 레벨빼고 시스타,티아라 들어가면 린정
19/11/23 20:16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끄덕끄덕하다가 에핑,레벨에서 ???
건강한삶
19/11/23 20:13
수정 아이콘
크크 서열놀이하면 젠가가 빠질수 없지!
남돌도 탑 5하면 꽤 말나오던데 여돌은 탑5는 별소리없는편이지만 오히려 10으로 늘리니 더 까다로워지네요
미소속의슬픔
19/11/23 20:20
수정 아이콘
굳이 줄세워서 분란을 만드시는 이유가...
vallalla
19/11/23 20:21
수정 아이콘
씨스타티아라 음판이 약해서. 그리고 티아라는 단기임팩트지 누적으로따지면 10위안에 들긴무리죠
vallalla
19/11/23 20: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블랙핑크도 아직 누적이 많이 모자라다고 봅니다
더치커피
19/11/23 20:3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본문의 탑10 인정합니다
19/11/23 20:41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면 충분히 들어갈만하다고봅니다 음원 음반 양쪽으로 밸런스좋고
전성기엔 음원연간탑텐에 2년연속으로 들어가고 며칠있으면 10주년으로 롱런하고있고

시간이지나면 자연스럽게 바뀌겠지만 아직은 레벨 블핑보단 시스타 티아라가 더 적당한거같음
독수리의습격
19/11/23 20:49
수정 아이콘
약국 소속이라 블핑에 딱히 호감은 없지만그래도 해외(특히 북미)에서 성과가 상당한 수준이라 들어갈만하다 봅니다. 게다가 블핑도 국내 음원 성적은 킬디스럽때 약간 삐끗했지만 여전히 최정상급이고 연간 1위가 없다뿐이지 탑텐정도는 있으니. 아마 말석에 에이핑크냐 씨스타냐 티아라냐로 의견이 갈릴 듯듯 하네요.

음원으로 본다면 씨스타가 셋 중 가장 앞서겠지만 여긴 코어팬층이 좀 많이 아쉽고 티아라는 임팩트는 쩔었지만 커리어의 절반이 중국이 주무대인 상태였으니. 아마 저처럼 에이핑크를 위로 놓는 사람은 음원/코어팬/활동기간이 세 그룹 중 가장 밸런스 있게 잡힌걸 높게 평가할 겁니다.
19/11/23 20:55
수정 아이콘
체급 차이가 꽤 나는것 같은데 굳이 에이핑크 레드벨벳 넣어서 top10 넣지 말고 걍 top8만 해도 될 듯
솔직한거짓말쟁이
19/11/23 21:00
수정 아이콘
에핑복-원소카티-트레여마블 이 공식인것만 압니다
theboys0507
19/11/23 21:05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는 꾸준히 콘서트를 개최해왔고 마의 7년을 극복하고 지상파 1위를 한 데다가(심지어 걸그룹으로 따져도 쥬얼리, 원더걸스, 소녀시대만 달성했는데 그나마도 쥬얼리, 원더걸스는 해체) 유일하게 지상파 3주올킬(뮤직뱅크/음악중심/인기가요 각각 3주)을 달성했죠. 심지어 지상파 3주올킬은 남돌 다 포함시켜도 엑소, 방탄(방탄은 무려 2번.)밖에 없는....
무적LG오지환
19/11/23 22:08
수정 아이콘
러브가 12월에 나와 음원 연간 순위에서 손해 본 대신 음악 방송을 싹쓸이한 덕분에 3주 올킬 기록 가질 수 있게 됐죠 크크
D.레오
19/11/23 21: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아이돌은 음판이 중요하다고 보는지라 위의견에 동의
진산월(陳山月)
19/11/23 22:50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는 중소걸그룹으로선 대단한 업적을 이룬게 분명한데 체급운운 하다니...
무적LG오지환
19/11/23 23:56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저 정도 평가는 양반인 편입니다(...)
다른 곳은 2군이라고 평가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크크
진산월(陳山月)
19/11/24 00:46
수정 아이콘
저는 대형기획사 버프가 훨씬 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지노(콩 아님) 밑에서 이 정도 했으면 엄청난거 아닌가요...
무적LG오지환
19/11/24 01:13
수정 아이콘
대형 기획사 연습생으로 들어가서 데뷔하는 것도 본인 능력인 것도 사실, 대형 기획사 버프 받으면 출발선이 다른 것도 사실이죠.
그리고 지노는 노래 고르는거 말고는 다 최악이라는 것도 사실이고(...)
그나마도 러브로 정점 찍고 나서는 히트곡 고르는 감각마저 떨어져버렸죠.
애초에 러브 다음에 지노 체제에서 몇번 컴백도 안 했다는게 함정이긴 합니다만(...)
아직도 내설수 들을 때마다 이게 지금의 갓카오처럼 지원 빵빵할 때 나왔어야하는데라는 생각이 머릿 속에서 떠나지를 않습니다 크크

저도 진짜 한창 전성기때는 저평가만 보면 키배 열심히 했는데...
지금이야 뭐, '그래서 지금까지 그룹 덕질 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지?'라고 혼자 속으로 생각하고 넘어가시면 마음이 편하실겁니다 크크
요즘은 팬덤 장사 경향이 더 심해져서 콘서트가 조금은 대수롭지 않게(?)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핑순이들 첫 콘서트하던 14년 1월만 해도 '소녀시대급도 아닌데 걸그룹이 콘서트 하네' 소리 나왔었죠 크크크
그런거 다 뚫고 일본에서도 홀투어도 돌아보고 지금도 아시아권 투어 돌고 국내에서도 콘서트하면 회차당 5000명은 모을 수 있는 걸로 핑순이들의 위엄을 잘 설명할 수 있지 않나 싶어요.

그리고 성적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생각보다 씨스타랑 음원 성적 크게 차이 안 납니다 크크크크크크
진산월(陳山月)
19/11/24 01:37
수정 아이콘
키배 생각하면 참 할말이 많네요. 결국 참고 말지만... 크크크

콘서트도 팬덤이 없으면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요즘과 저 때를 비교하면 참... 까는 사람들이 팩트를 중요하게 생각하나요.

콘서트, 지금까진 지방이라 시간을 내긴 힘들었지만 격주로 주말 3일을 쉴 수 있게 되어서 언제든 에이핑크 콘서트든 팬미팅이든 시간만 맞으면 이제는 가볼 생각입니다. 구석에서라도 응원봉을 흔들고 싶네요. 흐흐~

책장 한 구석을 차지하던 앨범과 굿즈들이 점차 범위를 넓혀가네요.
19/11/23 22:59
수정 아이콘
1세대 3대장인 베이비복스와 주얼리는 있을줄 알았어요~ 근데 공감 다 갑니다 :)
Lovelius
19/11/23 23:40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가 절대 이런 취급 당할 그룹은 아닌 것 같은데..
19/11/23 23:46
수정 아이콘
핑클 - 소녀시대 데뷔차이가
소녀시대 - 블랙핑크 데뷔차이랑 비슷하다니

체감이 안되네요 덜덜
키노모토 사쿠라
19/11/23 23:56
수정 아이콘
오늘은 레벨 콘서트를 보고 왔으므로 오늘만큼은 레드벨벳이 원탑.. 아이린은 정말 이쁘더군요.
모나크모나크
19/11/24 00:01
수정 아이콘
에핑이 있는데 베복도 좀 넣어주세요~ 에이핑크가 애프터스쿨보다 더 낫나용?
19/11/24 00:04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가 대중성이 약간 모자라서 그렇지 애프터스쿨에 비할바가 아닙니다.. 베이비복스는 1세대 유명그룹이라 쳐주는거지 지금 인기로 따지면 여자친구보다 못하구요
모나크모나크
19/11/24 00:07
수정 아이콘
헉.. 베복은 진짜 추억보정인가봐요. 에이핑크 노래는 잘 모르겠는데 앺스 노래는 기억나는 게 몇 개 있어서... 오히려 아브라카다브라의 브아걸도 성적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여긴 아이돌이라긴 좀 그런가요 흐흐
19/11/24 00:21
수정 아이콘
아이돌이란게 큰 히트곡 하나로 순위가 오른다기보다는 애매한 노래를 내도 흥행할 수 있는 팬덤과 네임밸류가 중요하다보니..그나마 최근에 아실만한 뿜뿜으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모모랜드가요즘 걸그룹 2군에도 끝자락인게 아이돌판이라.. 그들만의 세상입니다..
19/11/24 00: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베이비복스가 무슨 여자친구보다 못해요. 웃고갑니다. 멤버 개개인이 꽤 인지도가 높았고 킬러부터 나어떡해까지는 쭉 히트쳤는데요. 그리고 팬덤장사만으로 굴러가는 그들만의 리그가 된 건 진짜 최근 일입니다.
LOLULOLU
19/11/24 00:49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가 대중성이 약간 모자란다는건;;
19/11/24 00:02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한거랑 거의 일치하네요. 걸그룹이 대중성으로 먹고산다지만코어팬층이 없다시피한 씨스타/큰 구설수로 전성기 이후 해외활동 위주인 티아라보다는 에이핑크가 위죠.
19/11/24 00: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에이핑크는 충분한 것 같은데 레드벨벳 대신에 베이비복스
LOLULOLU
19/11/24 00:48
수정 아이콘
항상 이런거 보면 에이핑크 저평가와 레드벨벳 고평가가 많네요.
19/11/24 01:36
수정 아이콘
코어팬이 중요한 이유.
코어팬이 없으면 지나가면서 한 마디씩 거드는 정도로 XXX을 넣어야 한다는 정도는 나올 수 있지만 코어팬은 XXX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를 최대한 많이 찾아서 XXX를 응원해준다.

그래서, 김건모가 외모좋고 키가 더 컸으면 90년대 가요계를 평가하는 지형자체가 바꼈을 거라고 봅니다.
위원장
19/11/24 02:00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 레드벨벳 빼고 8그룹하면 되겠네요
가라니다1
19/11/24 02:24
수정 아이콘
에이핑크는 2년연속 걸그룹음원1위, 골든디스크음반본상2번,단독콘서트도 잠실실내에서 열고 벨런스좋았던 그룹이죠
19/11/24 04:10
수정 아이콘
레드벨벳 제대로 아는 노래는 러시안룰렛밖에없는데 저기 끼어도 되나 싶었습니다만 1위 횟수가 어마어마하네요. 내가 시대에 뒤쳐진 것이었구나
인생을사세요제발
19/11/24 11:40
수정 아이콘
모르시나본데 피지알 서열놀이 금지입니다
LinearAlgebra
19/11/24 11:48
수정 아이콘
이 인간은 피드백 한 번 없는 인간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718 [연예] 2019년 오리콘차트 한국가수 DVD 판매량 순위. [2] MBAPE4936 19/12/04 4936 0
46689 [연예] 야후재팬 11월 트위터 월간 버즈량 케이팝 가수 [1] MBAPE4892 19/12/03 4892 0
46686 [연예] 2010년대 일본 라이브공연 관객동원순위 TOP30. [7] MBAPE4819 19/12/03 4819 0
46652 [연예] 지금부터 딱 10년전 연간 인기곡 TOP10 [11] MBAPE6104 19/12/02 6104 0
46648 [연예] 김나영 측, 음원 사재기 의혹에 "상상도 못할 일" 강경 대응 예고 [42] MBAPE9684 19/12/02 9684 0
46643 [스포츠] 2010년대 유럽 시즌 베스트11 선정 기록 [16] MBAPE4633 19/12/02 4633 0
46620 [연예] 절대로 떳떳하지 않은 행동은 하지 않았다고 한 브랜뉴뮤직 [69] MBAPE13450 19/12/02 13450 0
46599 [연예] 2010년대 오리콘차트 아티스트 싱글 판매량 TOP20. [4] MBAPE3959 19/12/01 3959 0
46541 [스포츠] 2010년대 분데스리가 외국인선수 공격포인트 TOP20. [5] MBAPE3433 19/11/29 3433 0
46529 [스포츠] 2010년대 EPL 외국인선수 공격포인트 TOP20. [14] MBAPE4483 19/11/29 4483 0
46505 [스포츠] 역대 분데스리가 외국인선수 키커지 시즌 베스트 11 선정 횟수. [11] MBAPE6075 19/11/28 6075 0
46436 [연예] 역대 아이돌 음악방송 1위 횟수. [5] MBAPE6653 19/11/27 6653 0
46394 [연예] 실제로 음원사재기를 했는지 검증을 받겠다는 송하예의 소속사 [44] MBAPE11817 19/11/25 11817 0
46387 [연예] 음원사재기 의혹에 관해 윤민수 인스타그램 댓글. [88] MBAPE13254 19/11/25 13254 0
46385 [연예] 음원사재기 의혹에 휩싸인 바이브의 소속사 메이저나인 트위터 [31] MBAPE9366 19/11/25 9366 0
46343 [스포츠] (주관적)AFC 역사상 역대 베스트11. [11] MBAPE5215 19/11/24 5215 0
46310 [연예] 후배 아이돌가수들에게 분노한 가수 비. [34] MBAPE13988 19/11/23 13988 0
46305 [연예] 한국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아이돌그룹이라 생각되는 10팀. [64] MBAPE10457 19/11/23 10457 0
46291 [연예] 한국 역사상 가장 성공한 남성아이돌그룹이라 생각되는 10팀. [52] MBAPE10164 19/11/23 10164 0
46256 [스포츠] AFC 역사상 가장 성공한 선수 TOP5라 생각되는 선수. [22] MBAPE6829 19/11/21 6829 0
46174 [스포츠] 역대 아시안 플레이어 유럽 공격포인트 TOP10. [14] MBAPE4836 19/11/19 4836 0
46156 [스포츠] 역대 EPL에서 성공한 아시아인 플레이어 TOP10. [22] MBAPE9103 19/11/18 9103 0
46155 [스포츠] 역대 분데스리가에서 성공한 아시안 플레이어 TOP10. [5] MBAPE6674 19/11/18 667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