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02/06 13:28:24
Name 빨간당근
File #1 1000만.jpg (53.9 KB), Download : 24
File #2 1000만_2.jpg (64.3 KB), Download : 3
Link #1 CJ엔터테인먼트 인스타그램
Subject [기타] [영화] 2019년 첫 1000만 영화 '극한직업' (수정됨)




https://www.instagram.com/p/BthrflVAiFR/

이병헌 감독의 영화 '극한직업'이 2019년 첫 1000만 영화가 됐습니다!
개인적으로 설 연휴에 들어가기 전 당초 700~800만 정도의 스코어를 예상했는데 이건 광풍 그 자체네요.

4일(월)에 비해 스크린수가 160개 줄고, 상영횟수가 800회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5일(설날 당일) 관객이 전날대비 14만명이 늘고 일일 113만명이라는 어마무시한 스코어를 찍어버렸네요. 이번 주말까지 이 기세가 쭈욱 이어질 것으로 보여서 10일(일)까지 1300만 정도는 가뿐히 찍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병헌 감독님 특유의 코믹작품을 앞으로도 계속 볼 수 있는 기반이 다져진거 같아서 개인적으로 기쁘네요.
첫 1000만 영화 축하드립니다!

+

더불어 '믿고 거르는 배우'라는 소리까지 들었던 류승룡 배우는 2019년 2월 영화배우 브랜드 평판 1위에 올랐네요;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1324083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메가네
19/02/06 13:30
수정 아이콘
극한직업은 그냥 생각없이 웃겨서 조았어요. 마지막에 팀원들이 힘숨찐 처럼 엄청 세지는게 살짝 불만은 있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코미디 영화로 재밌었어요
신불해
19/02/06 13:33
수정 아이콘
관객이 이번엔 행간을 잘 읽은듯..
불려온주모
19/02/06 13:34
수정 아이콘
영화 자체 만듦새 보다 대진운이 워낙 좋았다고 생각하지만 그 대진운을 자기걸로 하기 위한 만듦새는 되는 영화라고 봅니다. 코미디 영화가 은근히 잘만들기 어려운 영화라.. 웃기는게 쉬운거라면 개콘이 지금 이모양 이꼴이 아니겠죠.
야부리 나토
19/02/06 13:36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이런 치킨은 없었다..
눈물이뚝뚝
19/02/06 13:39
수정 아이콘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19/02/06 15:04
수정 아이콘
이것은 갈비인가 통닭인가
타노스
19/02/06 13:38
수정 아이콘
잘만든 오락 영화라 이번 흥행이 반갑네요 출현진들 연기도 좋았는데 개인적으로는 신하균이 참 인상 깊었습니다 어디서 본듯한 뻔한 싸이코 악역인데 적은 분량속에도 부담없이 그 느낌을 잘 살리더군요
19/02/06 13:38
수정 아이콘
오늘 밤에나 넘을줄알았는데 생각보다도 빠르네요
빨간당근
19/02/06 13:40
수정 아이콘
어제 저녁에 938만을 찍어서 오늘 점심 쯤해서 1000만이 예상됐었습니다;
19/02/06 13:39
수정 아이콘
대진운도 좋고, 시기(설날)도 좋고, 내용도 부담없이 볼 수 있어서 좋고.!

저도 이번에 부모님 모시고 다녀왔네요.
광개토태왕
19/02/06 13:40
수정 아이콘
어제 보고 왔습니다. 재밌던데요.
야부리 나코
19/02/06 13:40
수정 아이콘
천만 치킨인..
19/02/06 13:41
수정 아이콘
너무 재밌었어요. 어머니 모시고 영화관가면 항상 중간에 주무시는데 극한직업은 보시면서 살짝 부끄러울 정도로 혼잣말하시면서 “마약범들 잡아야지 저렇게 잘되면 어쩐다냐?” 등등... 아주 재밌게 보더라구요
킹이바
19/02/06 13:42
수정 아이콘
이 감독 본 건 작년 바람바람바람뿐인데 실망이었거든요.
그런데 바로 1년 만에 반등하네요. 계속 코미디만 파는 거 보면 장르에 대한 애착이 큰 듯
빨간당근
19/02/06 13:44
수정 아이콘
네~ 데뷔작인 스물부터 쭈욱 한장르만 파고 계신 감독님이죠;
19/02/06 14:09
수정 아이콘
스물은 정말 괜찮았습니다.
작별의온도
19/02/06 13:46
수정 아이콘
마땅한 경쟁작이 없다곤 하나 그 판을 받아먹는 것도 능력이라고 봐야.. 명절시즌에 딱 맞는 영화인듯.
거짓말처럼
19/02/06 13:47
수정 아이콘
역대급 빈집을 잘 받아먹은거죠 뭐. 스윙키즈가 지금 개봉했으면 달랐을거라고 보는데
다이어트
19/02/06 17:46
수정 아이콘
지금 개봉했으면 극한직업에 밀려서 더 망했을것 같네요...
19/02/06 13:49
수정 아이콘
받아먹는것도 능력이죠
추석때 안시성 명당 협상
연말에 마약왕,스윙키즈 생각하면;;
거짓말처럼
19/02/06 13:58
수정 아이콘
스윙키즈랑 마약왕이랑 같은 류는 아니죠. 마약왕은 영화가 구린거고 스윙키즈는 영화는 잘만들었는데 홍보랑 엑소팬들의 혐오스런 바이럴 마케팅이 역풍이었고
19/02/06 14:10
수정 아이콘
글세요 바이럴이든 뭐든 영화가 재밌으면

요즘은 성공하게 되있습니다.
스윙키즈는 재미가 없었던거구요
19/02/06 14:31
수정 아이콘
스윙키즈는 결국 재미가 부족했떤거죠 . 개인적으론 결말만 바꿨어도 더 됐을거라고 보지만
바이럴이고 뭐고 재밌으면 됩니다.
캬옹쉬바나
19/02/06 15:21
수정 아이콘
스윙키즈는 개봉 전에는 기대치가 높았다가 막상 뚜껑 열어보니 재미가 없어서 망한 케이스죠.
리콜한방
19/02/06 17:29
수정 아이콘
스윙키즈도 서사가 많이 별로였고 그때문에 실패한거라고 봐요
짱짱걸제시카
19/02/07 01:07
수정 아이콘
저도 스윙키즈가 마약왕이나 물맨이랑 시기적으로 안겹쳤으면 100~200만은 더 들었을거라 봅니다. 주연배우 네임벨류 때문에 일단 마약왕을 먼저 본 관객들이 많은데, 한국영화에 환멸을 느끼며 덩달아 스윙키즈까지 걸러버린 느낌.
강가딘
19/02/06 13:50
수정 아이콘
역시 한국인은 치킨...
중곡동교자만두
19/02/06 13:50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병헌씨 보시면 잼습니당...
ioi(아이오아이)
19/02/06 13:52
수정 아이콘
2018 영화 중에 빈집 받아먹을 영화가 과연 있었나요?

보헤이만 랩소디때도 빈집이었다. 극한직업때도 빈집이었다. 하면 즉 계속 빈집이었다는 소리죠
지구특공대
19/02/06 13:56
수정 아이콘
특유의 신파나 억지감동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코미디더군요.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캐릭터도 하나같이 다 좋았구요.
19/02/06 14:00
수정 아이콘
어제 봤는데, 부모님 모시고 같이 관람하기 딱 좋은 영화였습니다. (엄마+이모부+이모까지 세 분 모시고 갔음)

2시간 내내 관자놀이가 아플 정도로 신나게 웃었습니다 크크크크
19/02/06 14:03
수정 아이콘
영화는 안보고 대략 줄거리정도 소개된것 봤는데

줄거리만 봐도 웃기겠던데요 크크
혼다 히토미
19/02/06 14:10
수정 아이콘
엄청 빠르구만
스웨트
19/02/06 14:13
수정 아이콘
명절때 가족들이랑 보러 갔는데
아버지가 영화 재밌다고 하신적은 처음입니다
1987이고 택시운전사고 국제시장이고 무슨영화를 모시던 아빠 영화어때요? 하면 괜찮네 한마디만 하시는분이신데
이번엔 아빠 영화어때요? 하니까 어 재밌네 하시네요

전 아버지의 영화평은 괜찮다 안괜찮다 두가지만 있는줄 알았어요 지금까지
구로공단
19/02/06 16:15
수정 아이콘
크크크 우리 시대의 아버지... 저희 아버지도 이러셔서 크크
19/02/06 14:14
수정 아이콘
이번주 안으로 류승룡은 자기 최고작 뛰어 넘을 듯
공안9과
19/02/06 14:43
수정 아이콘
류승룡은 천칠백만의 명량에도 출연을...
19/02/06 15:07
수정 아이콘
아..일본군으로 나왔었죠.
나왔다는 거만 알고, 안본 영화라 각인이 안된...
캬옹쉬바나
19/02/06 15:22
수정 아이콘
심지어 대사도 거의 없었죠...크크
19/02/06 15:29
수정 아이콘
어제도 TV에서(무려 EBS) 명량 하던데 왜군이 가장 많이 하는 대사 중 하나가 "이슌신.."이었죠.
겨울삼각형
19/02/06 14:19
수정 아이콘
적어도 극한직업은 와이프님께서 아이 출산 후 처음으로 영화관 가자는 이야기를 할정도로 재미있어보였습니다.

빈집털이나 명절특수가 전부는 아닙니다.
손연재
19/02/06 14:21
수정 아이콘
극장에서 본 코미디 영화 중 관객들이 이렇게 크게 자주 웃는 영화는 처음이었습니다(저 포함 크크)
캐모마일
19/02/06 14:26
수정 아이콘
와우 설날에 막 그냥 몰아쳤네요 추카추카
치토스
19/02/06 14:33
수정 아이콘
스물 이라는 영화 보고 정말 센스있는 감독 이라고 생각했는데 결실을 맺는군요. 축하드립니다.
아이즈원_이채연
19/02/06 14:3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스크린 독점은 심한거 같아요.

영화는 재밌습니다.
19/02/06 14:36
수정 아이콘
오 류승룡 배우는 천만 관객 영화 두개를 보유하셨네요
장원영내꺼야
19/02/06 14:43
수정 아이콘
눼? 한 대여섯개 되지 않나요?
ioi(아이오아이)
19/02/06 14:49
수정 아이콘
명량, 7번방, 광해, 극한직업 까지 4개죠
장원영내꺼야
19/02/06 14:42
수정 아이콘
이병헌이란 배우가 참 대단하네요.
독수리의습격
19/02/06 15:16
수정 아이콘
여기서 이병헌은 감독 이병헌.....
시나브로
19/02/06 21:5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
forangel
19/02/06 14:43
수정 아이콘
오래전 단관시절 관객들 리액션이 최고일때에 비하면
한참 모자라지만 이정도로 관객들 웃은소리가 많던 영화는
오랫만이었네요.

쓸데없는 눈물샘 코드도 없고,
딱 보는 순간 천만각이다 싶더니 속도는 예상보다 더 빠르네요.
치열하게
19/02/06 14:53
수정 아이콘
그냥 웃기기만 해서 재밌었습니다.
남극소년
19/02/06 14:53
수정 아이콘
경쟁작이 없었다고는 하지만 영화자체가 갖고있는 힘이 없다면 이렇게 빨리 천만은 어려웠겠죠. 개인적으로는 너무 즐겁게 본 영화입니다. 오랫만에
한화이글스
19/02/06 14:55
수정 아이콘
무리하지 않는 코미디, 적절한 대진운, 한국 영화 필수의 눈물샘 자극 부재 가 잘 버무러진 영화라고 봅니다.
마지막 짱짱 쌔지는 부분에서 좀 허탈하긴 했는데 키스신 하나로 머리속에서 지워지네요.
은솔율
19/02/06 14:58
수정 아이콘
억지로 만들려고 하지 않고 웃기는데만 집중하는게 좋았습니다. 대진운 얘기를 하지만 같이 붙었던 작품들이 워낙..뭐..
목소리패티쉬
19/02/06 15:04
수정 아이콘
코믹과는 별개로 짜임새가 별로여서 개인취향은 아니였네요
20년전에 설경구의 공공의적이 오버랩되면서 차라리 좀 더 묵직했으면 싶었습니다
영화의 흥행이라는게 명작과는 하등 관련이 없다는걸 다시한번 느끼게 되네요
베네딕도
19/02/06 15:12
수정 아이콘
해리와 마브도 아니고 뭔 놈의 빈집 타령을 이렇게...
천만이 빈집으로 털어먹을 수 있는 수치도 아니고 걍 재밌으니까 사람들이 많이 본거예요
19/02/06 15:24
수정 아이콘
코메디 영화에 대한 평이 너무 낮아요. 극한직업이 클리세 덩어리 조폭형사코메디도 아니고..
19/02/06 15:25
수정 아이콘
간만에 취향 상관 없이 온 가족이 다 같이 볼 만한 영화 같아서 보고 왔는데 별 생각 없이 볼 수 있는 좋은 영화였습니다.
동갑 내기 과외 하기 이후로 온 가족이 영화를 같이 봤네요.
19/02/06 15:25
수정 아이콘
영화 자체가 가진 파워가 없으면 1000만 수치는 쉽게 나올 수가 없습니다.
코미디 영화는 코미디 그 자체로 봐야 한다고 보네요.
19/02/06 15:30
수정 아이콘
어제 그제 봤는데 웃다가 눈물 나는 일은 참 흔지 않은 경험이었네요. 영화 자체가 좋아요. 저번에 누가 이병헌 감독을 주성치에 비교하셨던데 중간중간 살짝 주성치 느낌도 나더라구요. 그래서 너무 좋았어요.
바카스
19/02/06 15:47
수정 아이콘
1500만은 넘겠고 최종 1600~1700 마무리 갈려나 크크
쿵광쿵쾅
19/02/06 15:58
수정 아이콘
설연휴에 빈집이 가능한가요?
아타락시아1
19/02/07 15:22
수정 아이콘
말이 되나요. 설연휴에 빈집이었다는 건 다른 영화들이 그냥 못만들어진거라는 거죠. 그냥 영화 자체가 준수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19/02/06 16:19
수정 아이콘
매 씬마다 웃음 포인트가 있었던 거 같아요. 후반부 10여분 정도가 지루하다는 것 빼면 흠 잡을 데 없는 코미디 영화입니다.
교훈이나 감동 같은 건 개뿔. 한국에서도 이런 코미디 영화가 많아지면 좋겠네요.
39년모솔탈출
19/02/06 16:55
수정 아이콘
퇴직하는 가장을 위로하는 신파!
위험속에서 꽃피는 로맨스!
다같이 잘되는 감동!
나쁜짓 하면 벌을 받는다는 교훈!
한국 영화의 모든게 들어있는 영화 아닙니까!!!
솔로14년차
19/02/06 17:25
수정 아이콘
대진운이 좋았던 건 당연하고, 잘 만든 것도 당연하고.
작년 전체 개봉작 중에서 더 나은 영화도 없었다고 보거든요. 한국영화 중에는.
그럼에도 대진운이 중요한 것이, 더 잘만든 영화가 아니더라도 화제작이 섞였으면 관객 스코어는 줄었겠죠. 특히 영화 스타일 상 관객스코어로 인해 화제가 되어서 더 관객이 늘어난 게 분명한 영화니까 더더욱이요.
이미 천만영화고 역대급 스코어를 기록할 것이기 때문에, 역대급 영화들과 비교될 수 밖에 없죠. 그러니 대진운 이야기는 당연히 나올 수 밖에 없고요. 대진운 나빠서 흥행에 실패한 사례로는 강철비가 있겠죠. 평이 나쁘지않았고, 초반 관객동원에도 성공했지만, 신과함께가 개봉하면서 관객동원력이 팍 꺾였고, 1987의 개봉이 다가오면서 그 전에 겨우겨우 손익분기점을 넘겼던 영화.
묘이 미나
19/02/06 17:32
수정 아이콘
대진운도 좋았고 이게 천만? 이런말 들을정도의 퀄도 아님.
충분히 웃기고 잼있습니다.
19/02/06 17:59
수정 아이콘
재밌긴합니다만 대진운 빈집털이도 사실이라고 생각합니다
PANDA X ReVeluv
19/02/06 18:05
수정 아이콘
중반부까지 연기가 조금만 더 과장됐거나 템포가 조금만 더 느렸어도 유치하다고 느껴졌을거 같은데, 유치함-유머 사이에서 아슬한 줄타기를 기가막히게 해내서 진짜 재밌게 봤습니다. 후반으로 가면서 좀 루즈해지긴 하던데, 중반부까지만으로도 '대진운 받아먹을 수 있을 최소한의 완성도'는 차고넘치게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천만관객은 시기 운이 따랐다고 생각하는데 그것도 능력이죠 흐흐
Chandler
19/02/06 18: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빈집털이도 팩트이긴한데

천만영화중에 진정한 천만영화 해운대도 있는거 생각하면 역대 천만중 시대보정받더라도 객관적으로 퀄이 높은편이죠.

뻔하게 재밌는데 이게 사실 진짜 어렵습니다. 거슬리지 않을정도로만 클리셰넣으면서 이정도 재미뽑는게 쉬운게 절대 아니죠.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기획의도인 뺑반이 어떤지만 봐도...코미디가 절대 쉬운장르가 아니에요.
표절작곡가
19/02/06 19:14
수정 아이콘
대진운만 좋은 영화 같았으면
500만에서 주춤주춤해야하지 않는가요??

천만 영화가 대진운 가지고만 되진 않을것 같습니다..
솔로14년차
19/02/06 19:34
수정 아이콘
그거야 일반적으로 당연한거고요. 반대로 어지간해서 대진운 없이 천만 갈 수 있는 영화는 거의 없죠.
마찬가지로 스코어가 500만에서 왔다갔다했다면 대진운같은 소리는 절대 안나왔을 영화죠.
대진운을 이야기한다고 해서 '대진운'만 이야기하는 건 아니죠.
19/02/06 19: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간을 내서 일부러 볼만큼 구매력을 가진거죠. 설 연휴라해서 의무적으로 영화관 가서 1개를 선택해서 보는것도 아니고 볼영화가 없으면 일부러 가지도 않거든요. 개인적으로 영화 자체로만 봐도 근 20년 이내에 넘버3. 주유소습격사건 이후에 이만한 한국 코미디 영화는 없었던것 같네요. 빈집털이 평은 너무 가혹하죠. 1천만 이라는 숫자는 사람들의 평때문에 일부러 영화관을 가는 사람이 많은 거고 그런 영화들 중에서 이 영화는 실망스럽지 않은 영화중 하나입니다.
19/02/06 20:17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봤으면 됐지, 천만이 넘고 안넘고 뭐 그게 크게 중요한가요. 내 영화도 아닌데..
굳이 의미부여를 해보자면 저도 이 감독님 전전작인 "스물"을 재미있게봐서, 앞으로 이런 스타일 코미디 영화 만들만한 기반은 조성된것 같아서 다행이라는 것. "바람바람바람" 때 좀 많이 불안했는데요 크크
19/02/06 20:32
수정 아이콘
뒷통수에 봉변 당하신분 안계신가요? 전 와이프가 커피마시다가 뿜어서 사과하느라 진땀 뺏네요... 마실거 드시면서 보지마시길 크크크크
짱짱걸제시카
19/02/07 00:59
수정 아이콘
실력 500만 대진운 500만 정도?
Good Day
19/02/07 01:14
수정 아이콘
코미디가 진짜 쉽지 않은 장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정도 퀄이면 천만 찍을만하다고 생각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416 [기타] [프듀48] 아이즈원 멤버 중심으로 다시 본 11화-8(스압+데이터) [14] 나와 같다면5096 19/03/07 5096 0
34369 [기타] [영화] 박스오피스 압도적 1위 [16] 빨간당근6751 19/03/07 6751 0
34368 [기타] 클럽박스가 날아가면서 일본아이돌 파는사람들도 대단한 곤란을 겪게 되었습니다 [16] Gunners7889 19/03/06 7889 0
34312 [기타] 매시업 : FISHER + 청하 니나노나3040 19/03/06 3040 0
34308 [기타] [영화] 오늘부터 마블천하! [26] 빨간당근7178 19/03/06 7178 0
34196 [기타] [드라마] '킹덤' 시즌2 스틸컷 공개 [19] 빨간당근5287 19/03/04 5287 0
34182 [기타] [영화] '극한직업' 1600만 돌파 + 역대극장매출액 1위! [20] 빨간당근6132 19/03/04 6132 0
34148 [기타] [영화] 강철비2(가제)가 만들어지네요! [32] 빨간당근7917 19/03/03 7917 0
34138 [기타] [영화] '항거: 유관순 이야기', '증인' 손익분기점 돌파! [33] 빨간당근5337 19/03/03 5337 0
34098 [기타] [영화] 3.1절 특수는 이 영화가 가져갔네요! [15] 빨간당근8811 19/03/02 8811 0
34024 [기타] [EPIK HIGH] 새 앨범 참여 아티스트진 공개 [8] 타케우치 미유3649 19/02/28 3649 0
33891 [기타] 밴드 PIA가 해체를 발표했습니다. [16] empty8156 19/02/25 8156 0
33739 [기타] 자전차왕 엄복동, 골든에그 지수(?!) [52] 빨간당근9273 19/02/21 9273 0
33718 [기타] 이영호 유투브 공식입장 [68] 읍읍10839 19/02/20 10839 0
33710 [기타] 오늘 이영호 입장 발표 [74] FRONTIER SETTER8656 19/02/20 8656 0
33694 [기타] 류지혜 사과문 [66] FRONTIER SETTER13092 19/02/20 13092 0
33680 [기타] 음악예능 <보컬플레이>를 추천합니다. [10] 본좌4019 19/02/20 4019 0
33648 [기타] 한번도 안들어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들어본 사람은 없다. 4 [10] 스테비아5600 19/02/19 5600 0
33578 [기타] [영화] '극한직업' 역대흥행순위 2위 등극! [20] 빨간당근6929 19/02/18 6929 0
33248 [기타] [영화] '극한직업' 역대흥행순위 7위 등극! [30] 빨간당근6027 19/02/11 6027 0
33241 [기타] [영화] 자전거도둑(?!) 엄복동 [24] 빨간당근8829 19/02/10 8829 0
33203 [기타] 내추럴이 확실한 몸매의 최고봉 [27] The Special One11048 19/02/10 11048 0
33073 [기타] [영화] 1000만 문턱에서 주저앉은 영화 [10] 빨간당근7296 19/02/07 729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