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8/09/30 18:57:21
Name 손금불산입
Link #1 직접 작성
Subject [스포츠] [해축] 어느 나라 리그까지가 빅리그인가? (수정됨)
주말을 맞이해 잉여력을 발휘해서 재미있는 해외축구 글을 써보려고 데이터를 찾아보던 찰나에 사전 작업으로 과연 빅리그 구분을 어떻게 해야하는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본격 본론보다 서론이 더 복잡한 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네요. 이 글은 그 결과물입니다.

제가 구분을 위해 사용할 도구는 UEFA 포인트와 ELO 레이팅입니다.



먼저 UEFA 포인트입니다.

https://www.uefa.com/memberassociations/uefarankings/country/#/yr/2018

시즌 도중에 쌓아올린 포인트는 별 의미가 없다고 보고 시즌이 종료한 시점 기준으로 포인트를 비교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당해 벌게된 포인트는 편차가 심할 뿐더러 UEFA에서도 별도로 단일 기간 포인트로 뭔가를 반영하거나 하지는 않으니 과거 5년 누적 포인트로 순위를 계산하는 방식을 그대로 차용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연도 표시의 간소화를 위해서 2000-2001시즌 시작 직전을 2000년도로 표기하고 이후 연도도 동일하게 표시하였습니다.

2018-UEFA-Country-Ranking.jpg

해서 나온게 위의 그래프. 원데이터 숫자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옮겨 쓴거라 오타나 오차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스페인, 잉글랜드,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는 특정 시점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기간에서 상위 리그 위치를 놓치지 않았기에 이들로 그래프를 그려봤고, 6위 리그는 네덜란드, 그리스, 포르투갈, 러시아가 번갈아가면서 차지하였지만 참고를 위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적용하여 6위 리그 그룹을 따로 표시해 보았습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6위 그룹이 프랑스를 뛰어넘어서 5위를 차지한 기간도 있습니다. 그것도 비교적 최근.



그리고 이번엔 ELO 레이팅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clubelo.com/

ELO 레이팅에서도 각 팀 순위를 계산하고 그것을 토대로 리그 전체의 레이팅도 계산을 합니다. 그게 단순 평균인건지 또 별도의 계산식을 두고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UEFA 포인트가 유럽 대항전에 나가는 상위 팀들에게만 편중된 특성을 보이기에 리그 전체 팀들의 레이팅을 반영하는 ELO 레이팅은 좋은 보완수단이 될 수 있을겁니다.

2018-ELO-Ratings.jpg

원래 레이팅 점수는 1600점~1800점의 분포이지만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십단위로 줄여서 표시했습니다. UEFA 점수에 비해서는 좀 격동적인 변화를 보이는게 특징이네요. 확실히 UEFA 점수와는 다른 포인트가 여러가지 보입니다.



몇가지 포인트를 집어보자면,

1. 칼치오폴리가 2006년입니다. UEFA 포인트 그래프를 보면 그 직후에 EPL이 치고나가는 것과 맞물려 2위 그룹과 차이가 크게 벌어졌고... 어느정도 회복하는데 딱 10년 걸렸네요. 반면 ELO 레이팅으로 해석하자면 칼치오폴리보다도 양 밀란의 몰락이 리그 수준에 더 악영향을 끼친듯.

2. 프리미어리그가 챔피언스리그 4강에 3팀을 올려놓은건 2006-07시즌부터 2008-2009시즌까지 3시즌입니다. UEFA 포인트로는 프리미어리그가 라 리가를 추월한 적이 있지만, ELO 레이팅에 의하면 라 리가가 타 리그에 추월당한 적은 21세기 이후로 단 한 번도 없습니다.

3. 클롭의 도르트문트 부임이 2008년. 묘하게도 분데스리가 상승세의 타이밍과 겹칩니다. 바이언과 도르트문트의 챔스 결승 맞대결은 2012-2013 시즌.

4. 호날두의 첫 발롱도르가 2008년. 이 때부터는 확실한 메날두의 시대라고 봐도 무방할 듯 싶습니다. 호날두의 레알 이적은 2009년. 2009년부터 라 리가는 UEFA 포인트 천상계행 열차를..

9e11789ea27d71071c31411867ace7d1.jpg

물론 스페인이 천상계로 날아오른건 이러한 결과의 영향도 큽니다만...

5. 올림피크 리옹의 리그 앙 7연패는 2001-2002시즌부터 2007-2008시즌입니다.



사실 살을 많이 붙여서 쓰다가 과감하게 다 짤라버리고 간략하게 줄여버렸습니다. 생각보다 확실한 결론을 내기 어렵더군요. 더 많은 논의는 여러분들에게 맡기는 걸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웨트
18/09/30 19:00
수정 아이콘
일단 epl 라리가 분데스리가 셋은 확정이고
세리에는 그래도 끼어줘야지 싶은데 리그1은 psg 말곤 애매...
토야마 나오
18/09/30 19:02
수정 아이콘
라리가 epl 세리에 분데스 이렇게 빅4라고 봐야죠
손금불산입
18/09/30 19:07
수정 아이콘
2010년도 이후 세리에 침체는 그러려니하는데, ELO 레이팅에 따르면 정작 그 직전에도 리그앙과 별 차이가 없다고 나타나는 것이 참 의아합니다. 제 기억에 2000년대 중반 세리에 빅클럽의 경쟁력은 꽤 훌륭했거든요. 물론 이젠 챔스 본선 티켓수도 그렇고 당분간 빅4 체제로 굳어질 것 같다는 것에는 동의합니다.
토야마 나오
18/09/30 19:10
수정 아이콘
세리에 유로파권 팀들이 유로파에서 삽질을 정말 많이했었죠.... 챔스 말고는 2000년대 유로파보면 몇몇년도 제외하면 시원찮을겁니다.
18/09/30 19:15
수정 아이콘
psg 리옹 마르세유가 몰락(?)하기 전이고 모나코의 분전이 있어서 가능했나 싶긴 하네요... 그래도 신기하긴하네요 양밀란 유베 건제하던 시긴데..
달걀먹고빵구빵
18/09/30 19:10
수정 아이콘
리그로 따지자면 빅리그는 스페인 잉글랜드 독일이고 이탈리아랑 프랑스는 빅클럽이 존재하는 리그정도 되는것같습니다.
등산매니아
18/09/30 19:13
수정 아이콘
세리에는 빅으로 치기엔 걍한팀만 쎈거 아닌가요?
손금불산입
18/09/30 19:15
수정 아이콘
사실 2010년 이후로 지난 시즌 전까지는 그런말 들어도 별로 반박할 말이 없는 편이죠. 그 강한팀도 유벤투스 빼면 그닥이었고... 그리고 지금 분데스리가가 딱 그 꼴나기 직전의 상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네이버후드
18/09/30 20:17
수정 아이콘
그건 분데스도 다를게 없죠
마이어소티스
18/09/30 19: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 보수적으로 잡으면 이피엘,라리가,분데스 관대하게 잡으면 세리에,리그앙으로 보고 시점에 따라서 이피엘 라리가만 빅리그라 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리그앙이 안된다고 하면 세리에가 확실히 빅리그라 할정도로 리그앙하고 차이난다고 말하기 애매하고 그렇다고 세리에까지 빅리그 아닌거로 하면 분데스 돌아가는 꼴이 딱 세리에,리그앙 따라가는 중이라 또 애매한거 같아요. 이피엘과 라리가는 금전적 규모랑 성과라는 각각 확실한 무기가 있으니...
18/09/30 19:31
수정 아이콘
세리에를 빅리그로 안끼워넣기에는 근 몇년간 라리가-EPL차이나 EPL-세리에 차이나 도찐개찐같아서..
리비요
18/09/30 19:31
수정 아이콘
세리에가 분데스 다시 잡기 일보직전이니 분데스 세리에는 엎치락뒤치락 같음...
손금불산입
18/09/30 19:35
수정 아이콘
세리에가 반등하는 것도 있지만 그보다 분데스의 몰락 폭이 큰 것 같긴 합니다. 저번 시즌은 최악이었고 이번 시즌도 그닥..
18/09/30 19:34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챔스 진출 티켓 가지고 4대리그 하는게 속편하더라구요...
손금불산입
18/09/30 19:37
수정 아이콘
사실 챔피언스리그 티켓이 4대 리그를 구분하는 건 이번 시즌이 처음입니다. 지난 시즌까지는 상위 3팀이 4장, 4위 리그부터 3장이었으니 3대 리그 체제였죠. 그래서 세리에 A가 리그 포인트에 열을 올리기도 했고.
18/09/30 19:50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바뀌는 바람에 이제 고민하지 않고 그냥 챔스 티켓으로 크크
18/09/30 19:57
수정 아이콘
좋은 분석 잘 봤습니다.

다만 빅뭐시기 할때의 기준은, 성적과 자본 규모를 동시에 봐야할 듯 싶어요. 아시다시피, 전통적으로 좋은 성적을 내왔으니 자본이 모이고, 자본이 모이니 더 좋은 성적을 내는 게 빅리그죠.
멍청이
18/09/30 21:43
수정 아이콘
5대까지는 저렇게 굳을 것 같고, 그 다음 서열은 포르투칼 프리메이라 리가인가요? 에레디비지에는 떡락이라던데.
손금불산입
18/09/30 23:43
수정 아이콘
도토리 키재기이긴 한데, 00년대 이후로는 말씀하신대로 프리메이라 리가가 제일 나은듯 싶네요. 5대 리그를 제외하면 UEFA 포인트로 10년 가까이 선두였고, 리그 앙을 아예 제친 기간도 꽤 깁니다.
18/10/01 12:37
수정 아이콘
epl 라리가 세리에 분데스 리그앙
전 5개
young026
18/10/01 22:29
수정 아이콘
4+1로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810 [스포츠] [해외축구] BBC 풋볼 가쉽 + 트윗터 찌라시 [8] v.Serum3302 19/01/12 3302 0
31639 [스포츠] [해외축구] 리버풀은 울브스전에 베스트11로 나왔어야 합니다. [72] v.Serum4287 19/01/08 4287 0
31613 [스포츠] [해축] 빅 6 상대전적 우위, EPL의 자이언트 킬러.gfy (4MB) [31] 손금불산입4464 19/01/08 4464 0
31581 [스포츠] [축구] 개인적인 지난 아시안컵 한국 최고의 골.gfy (4MB) [21] 손금불산입4615 19/01/07 4615 0
31447 [스포츠] [해축] EPL 빅 6 경기 득점 선두 아구에로 (feat. 바디) [18] 손금불산입2728 19/01/04 2728 0
31388 [스포츠] [해축] 펩시티의 대 클롭 상대전적 단 1승.gfy [13] 손금불산입3662 19/01/03 3662 0
31175 [스포츠] [해외축구] 분노가 느껴지는 아스날 전담 기자의 vs 리버풀 평점 [10] 아라가키유이5352 18/12/30 5352 0
31108 [스포츠] [해외축구] 알베르토 모레노 : 내가 받고있는 대우는 부당함. [19] v.Serum4335 18/12/28 4335 0
30767 [스포츠] [해축] 장기집권 중인 빅클럽 감독 Top 5 [14] 손금불산입4718 18/12/20 4718 0
30342 [스포츠] [해축] 유럽 5대 리그 무패팀 현황.txt [2] 손금불산입2647 18/12/12 2647 0
30228 [스포츠] EPL 감독들 표정묘사하는 유튜버 [10] swear3282 18/12/10 3282 0
30220 [스포츠] [해축] 아스날 미슐린타트와의 심층인터뷰 [8] 손금불산입3145 18/12/10 3145 0
30064 [스포츠] [해축] 2018 ESPN FC BEST 100 (포지션별, 감독 베스트 10) [17] swear2636 18/12/07 2636 0
29831 [스포츠] 클롭 감독이 미쳐 날뛰고 있습니다.gif [11] 살인자들의섬8166 18/12/03 8166 0
26901 [스포츠] [해외축구] 경기 후 대화 나누는 펩과 클롭.gif (약 데이터) [7] 아라가키유이4654 18/10/11 4654 0
26888 [스포츠] [해외축구] 리버풀과 루머가 나는 선수들, [14] v.Serum4365 18/10/11 4365 0
26809 [스포츠] [해축] 클롭의 3년간 리그 성적 변화.txt (그리고 로페테기) [14] 손금불산입3131 18/10/09 3131 0
26607 [스포츠] [해외축구] 예겐 클롭 vs 맨시티 경기전 컨퍼런스. [6] v.Serum2351 18/10/06 2351 0
26600 [스포츠] [해외축구] 펩 과르디올라 vs 리버풀 경기전 컨퍼런스 [11] 아라가키유이3378 18/10/06 3378 0
26487 [스포츠] [해외축구] 금일 챔스 결과 [16] 아라가키유이5201 18/10/04 5201 0
26293 [스포츠] [해축] 어느 나라 리그까지가 빅리그인가? [21] 손금불산입4463 18/09/30 4463 0
26260 [스포츠] [해외축구] 첼시 vs 리버풀 한 짤 요약.gif [25] 아라가키유이6492 18/09/30 6492 0
23732 [스포츠] [해외축구] 위르겐 클롭: 외질에 대한 비판은 위선적이다. [9] 아라가키유이4314 18/08/23 431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