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6/08/28 20:42:28
Name 호수청년
Subject 프라이드와 스타리그
프라이드와 스타리그. 이 둘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두가지입니다. 가장 원시적인 스포츠와
가장 스포츠같지 않은 스포츠. 이 녀석들이 재밌으면서 또 비교하게 됩니다.





스타리그(스타크래프트를 통한 모든 리그를 말합니다)를 99년부터 봐왔습니다. 활동한지 2~3년된 게이머들에겐 좋으정 나쁜정 뭐 끝없이 쌓였죠. 홍진호선수만해도 콩(빠)로 시작해서 한때는
콩(까)였다가 지금은 우승 한번은 꼭 했으면 하는 게이머 정도의 관심으로 지켜보고있습니다.

프라이드를 본 것은 2004년 봄 핑거글러브를 끼고 있는 그들을 처음 알았습니다. 첫번째로 본 경기는 사쿠라바 카즈시와 헨조그레이시의
경기였을겁니다. K-1 도 몰랐었던 저에게 제법 충격으로 다가왔었죠. 경기가 끝났을 무렵제 흥분을 가라앉혀준것은
다름아닌 '1999년 경기' 라는 자막이었습니다.... 그렇죠. 5년전 치뤄진 경기를 보며 전 주먹을 불끈쥐며 지금은 전성기를 훌쩍 넘어버린
나이 많은 일본인 파이터에게 감정이입을 했던 겁니다.

이고르 보브찬친 이라는 파이터가 있습니다. 30대 후반의 이 조그만 러시아 전사는 과거엔 꽤 잘나갔나 봅니다.
하이라이트 동영상을 보면 꼭 볼 수 있거든요. 지금은 체구에서, 나이에서 정상급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며
분위기 띄우는 경기의 매치업만 나오고 있습니다. 제가 본 이고르는 작고 약하고 빨리 끝나길 바라는,
크로캅과 효드르의 등장에 관중들의 함성을 높이기 위한 선수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요즘 어린(젊은이 아닙니다)친구들이 임요환,홍진호,최인규,김정민 뭐 이런 게이머들을 어떤 시선으로 볼까요?

준우승 제조기 임요환?
여성프로게이머조차 힘들게 이기는 홍진호?
최인규?? 얜 누군데?
김정민? 팀플만 꽤작거리던 그녀석?

(이기석,김태목,국기봉 뭐 이런 선수들에 대한 기억 혹은 추억은 기대도 안합니다....;)

이고르를 바라보는 저의 시선이나, 임요환을 바라보는 어린친구들의 시선이나...

'올드'한 게이머들은 PC방에서 라면먹으며 빵먹으며 게임했다네요. PC방대회부터 광안리까지
함께한 그런 게이머들입니다. 게임이든 인터뷰든 '덜' 비난받았으면 좋겠습니다.
(가끔은 제가 현실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 채 과거에 빠져사는 지나버린 시간을 다시 찾고싶은,
그들이 과거의 전성기로 돌아온다면 제가 다시 꿈 많던 그 시절로 돌아갈 것 같은 착각에 빠져 사는것은 아닌지
라는 약간은 비관적인 질문을 던져 봅니다.)





일본의 후지티비는 높은 보급률을 가지고 있는 케이블방송국이랍니다. 그리고 프라이드는후지티비를 통해 방송되었고요.
근데 최근에 프라이드와 후지티비가 결별을 했습니다. 앞으로 후지티비를 통해 프라이드를 볼 수 없게되자
일부에선 프라이드 존폐여부의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중계방송국과의 계약해지가 이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걸 보니,
이것의 뿌리가 생각보다 깊지가 않나 봅니다.

얼마전 이병민선수가 스펀지에 나왔던 일이 화두에 올랐었죠.

너무 짧게 나왔다, 왜 우리 뱅미만 인터뷰가 없냐? 지금 우리 완소뱅 무시하나요?

KBS게시판은 비난의 글로 도배가 되고 결국 KBS에선 사과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공중파에 프로게이머가 출연한것이 화제가 되는것이 이판의 현 실정입니다. 재미가 없으니 편집을 당했겠죠.
KBS는 늘 그랬다는 분들. KBS만큼 프로게이머가 자주 출연한 방송국이 어디있습니까?
연예인들보다 재치가 없으니, 카메라에 적게 잡히는것은 어쩔수 없는 노릇일테고, 파워인터뷰같은 좋은 이미지를 심어준 적도 있잖습니까.
PGR과 파이터포럼, 디씨 그리고 온게임넷과 엠비씨게임등을 제외한 곳에서의 스타리그에 대한 관심이란
그리 크지 않습니다. 점차 깊어지고 점점 튼튼 있는것은 사실입니다만...
게임으로 돈을 벌고, 다른이가 하는 게임을 보며 재미를 찾는 '우리' 들에 대한 인식이
머리가 없는 이들로 형성되진 않을까 걱정됩니다.





현 프라이드 헤비급 챔피언은 효도르입니다. 엄청난 밸런스와 얼음주먹이라는 별명을 안겨준 파운딩.
60억분의 1인 답게 강하고 멋집니다. 하지만 효도르보다 강하진 않지만 이보다 인기많은 파이터가 있습니다.
하이킥 한방으로 상대를 넉다운 시키며 챔피언보다 더 많은 대전료를 받는 미르코 크로캅.
승부의 세계에서 챔피언보다 도전자의 파이트머니가 많다는게...
0.1초만에 승부를 결정짓는 하이킥이 얼마나 멋진지 아시겠죠.

지금 스타리그엔 재미있는 경기, 재미없는 경기로 글들이 올라옵니다.
전상욱, 마재윤의 치열한 1위쟁탈전(-_-;)이 열리고 있죠. 이 둘은 매 경기마다 똑같다는 겁니다.
도박보단 안정성있는 빌드를 보이며 그리고 수비적이라고 재미가 없다네요.
하지만 꼭 이 둘만의 양상은 아닌것 같습니다. 본진자원의 한계를 느끼며 무조건 앞마당을 먹으며 전개되는 게임들.
멀티는 언제나 최악의 선택은 아니다 라는 김동준해설의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최악의 선택은 피하며
승부를 결정짓는 선택은 뒤로, 뒤로 미루는것이 현재의 게임흐름입니다. 치고받고, 난전이 나오며 옵저버도
시청자도 정신없는 경기를 봐오던, 그리고 보고싶은 사람들에겐 조금은 아니 많이 따분하고 지루한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어쩌겠습니까. 이것이 승부의 세계인것인데요. 그리고 이러니 박성준선수가 인기가 많은거고요.
요컨대 안정적이든 멋지든 도박적이든, 승부로 삶은 사는 그들에게 승부를 결정짓는 방법까진 강요하는건 무리입니다.

효드르에게 하이킥을, 크로캅에게 태클을 바랄 순 없을테니요.





하고 싶었던 이야기 세가지를 했습니다.

올드게이머들에 대한 이야기 하나,
스타리그의 현위치에 대한 이야기 둘,
그리고 재미없는게임에 대한 이야기 셋.

다른 생각을 가진분도 많은것을 압니다. 하지만 속은 시원하네요~
* homy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8-31 15:4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쏙11111
06/08/28 21:45
수정 아이콘
디씨인사이드 격겔대문 사진을 보면...
효도르가 크로캅에게 하이킥을 선사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크로캅도 자신보다 더 타격이 강한 k-1출신의 선수가 프라이드로 진출하여 바로 상대한다면 태클을 사용할수도 있구요^^
암튼 결론은 데니스강선수 화이팅이라는...
풍운재기
06/08/28 23:22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강가딘
06/08/29 08:09
수정 아이콘
후지티비는 지상파 방송으로 알고 있늕데요?.
SwordDancer
06/08/29 17:31
수정 아이콘
이고르 아직 30대 후반은 아녜요...ㅠ.ㅠ
sway with me
06/08/31 16:12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이고르는 73년 생으로 알고 있습니다. 크로캅이 74년 생이니 그다지 늙은 선수는 아닙니다. 효도르가 각광을 받기 이전 시절에 '러시안 훅'으로 불리며 강한 펀치로 프라이드 무대에서 러시아 격투기를 대표하던 선수입니다.
지금이야 효도르는 물론 세르게이 선수 등이 러시아 격투기를 대표하고 있지만 말입니다.
클레오빡돌아
06/09/01 00:46
수정 아이콘
딴지는 아닙니다만..

효도르도 하이킥 합니다 ^^;; 크로캅과의 경기에서도 하이킥은 오히려 효도르가 날렸죠..
손승현
06/09/07 22:26
수정 아이콘
프라이드를 잘 모르셔서 그런거 같아서 몇개 틀리신점이 보이는데 일본 후지티비는 지상파 방송국이고요 스카이 뭐라는곳이 프라이드 ppv로 생중계하는곳입니다 후지티비는 지연녹화방송이었고요 그리고 크로캅이 효도르보다 많이 받는다는건 프라이드 파이트머니과 과대하게 부풀려지면서 나왔던 설입니다. 정확하게 확인되지도 않았고요 크로캅의 파이트머니가 한 2억정도가 아니라 약 4~5억정도로 멋대로 추정했을때의 이야기입니다
생머리지단
06/09/30 02:29
수정 아이콘
죄송하지만 이고르 보브찬친 우크라이나 파이터 아닌가요?
러시안훅으로 한떄 큰인기를 끌었던선수...
무차별그랑프리를 통해 완성형으로 거듭나고있는 크로캅.
크로캅에게 하이킥 떡실신안습...
어쨋든 12월 효도르와 크로캅의 대결 기대하고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10 뉴욕타임스 6.24. 일자 기사 번역(지하 미생물은 지구를 변화시킨다.) [7] 오후2시2448 24/07/28 2448
3909 내가 알고싶지 않은 바보들의 소식까지 알아야되는 세상 [30] 고무닦이2523 24/07/26 2523
3908 영어 원서를 읽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몇가지 팁 [45] 마구스2376 24/07/23 2376
3907 양극성 장애(조울증)을 치료하며 위로가 되었던 노래들 - 上편 [14] 욱상이2337 24/07/22 2337
3906 안락사에 대하여(부제: 요양원 방문 진료를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64] 아기호랑이2299 24/07/20 2299
3905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서울에 200명도 안살던 시절 [12] 식별15789 24/07/16 15789
3904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6] Schol15635 24/07/14 15635
3903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14759 24/07/10 14759
3902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14535 24/07/04 14535
3901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82] 사람되고싶다16618 24/06/16 16618
3900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9] 두괴즐17007 24/07/03 17007
3899 전통주 회사 전직자의 주관적인 전통주 추천 [69] Fig.117296 24/06/11 17296
3898 공군의 F-4E 팬텀 퇴역식을 담아봤습니다. [17] 한국화약주식회사16708 24/06/07 16708
3897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25] 식별18282 24/06/19 18282
3896 2024년 방콕 중심지 지도 업데이트 [30] 쿠릭16627 24/06/18 16627
3895 구직을 마무리하며 - 많은 분들에게 감사했던 시간 [33] Kaestro12639 24/06/06 12639
3894 돈과 시간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57] 모찌피치모찌피치12171 24/06/01 12171
3893 [역사] ChatGPT가 탄생하기까지 / 인공지능(딥러닝)의 역사 [20] Fig.111930 24/05/28 11930
3892 [장르론] '한국풍'이라고 말할 수 있는 세계관의 방향 [17] meson10594 24/05/26 10594
3891 나는 어떤 얘기들을 들을 수 있었을까 [5] 바이올렛파파10173 24/05/26 10173
3890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후기 [19] GogoGo15620 24/05/24 15620
3889 [잡담] 새로 생긴 로또 판매점 [26] 언뜻 유재석14603 24/05/22 14603
3888 조직 안의 나르시시스트들 [68] 글곰14573 24/05/22 145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