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06/04/26 21:55:34 |
Name |
Timeless |
Subject |
칭찬합시다 |
#1 댓글 100개짜리 글
PgR에 거부감을 느끼는 분들이 지적하시는 부분이 '비판', '논쟁' 에 관한 것입니다.
'비판', '논쟁'의 순기능은 제가 굳이 여기에 언급하지 않아도 대부분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100개짜리 글'로 대표되는 댓글 논쟁에서 보면,
말 한 마디만 잘못해도 많은 분들의 지적이 쏟아지고,
자신의 생각과 다를 경우 상대의 말투나 단어 하나 하나까지도 지적하며 결국 감정 대립까지 하게 되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토론, 논쟁 한다기 보다는는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려는 일방통행의 양상을 자주 보입니다.
어떻게 말을 하면 상대가 기분 나쁘고, 또 어떻게 말을 하면 상대가 기분 좋을지 정도는 PgR을 이용하는 연령대 사람들이라면 모두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왠 황당한 소리에요?' 보다는
'무슨 근거로 그런 말 하세요?' 가, 또 이것 보다는
'혹시 제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 자료를 볼 수 있을까요?'가
말도 더 길고, 완곡한 표현이지만 타자 속도가 충분히 빠른 상태에서 이렇게 조금 말을 늘이는 것이 어렵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속으로는 '그게 왠 황당한 소리에요?'면서 겉으로는 '혹시 제가 그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 자료를 볼 수 있을까요?'라고 말한다고 그것이 '가식'은 아닙니다. 상대에 대한 예의이고,
말하는 기술이지요.
이런 문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2 칭찬합시다
제가 이번 글에서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칭찬 문화가 사회 전반적으로 너무 위축되어있지 않은가'란 주제입니다.
제가 학교에서 교수님의 질문에 대답을 할 때는 '본전'이 목표입니다.
대답 못하면 구박 듣고, 틀려도 구박 듣고, 일부분만 알 경우 '더 공부해와라' 란 말을 듣고, 맞추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그러다 보니 점점 위축되고, 시간이 지난 지금 보면 저를 비롯한 대다수 학우들이 상당히 대답에 소극적이 되어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어떤 교수님은 학생이 조금은 황당한 대답에도 '신선한 idea인데? 하지만 그것은 아니고, 이러이러한 것이다' 라는 식으로 대답을 장려해주십니다. 이 분과 토론 하는 시간에는 다른 교수님 앞에서 위축되어 말도 제대로 못하던 우리들이 신나게 자신의 지식을 쏟아내고(맞거나 훌륭한 발상인 경우 칭찬을 듣기 때문입니다), 또 틀렸을 경우 바로 feedback 받아 자신의 것으로 익힌답니다(기분 나쁘지가 않습니다).
비단 제가 다니는 학교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모습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칭찬이란 것을 들어본지 한참 된 것 같네요.
이런 칭찬 문화는 어떤가요?
#3 현재 PgR 게시판을 둘러보며
비판 글이나, 논쟁 글은 찾아보기 쉽습니다(아래 불법 체류자, 기러기 아빠에 대한 비판, 어제 올라왔던 댓글 200개가 넘은 글 등).
그 밖에 다양한 글들(정보글, 고민상담글, 에피소드글 등)도 역시나 보기 쉽습니다.
하지만 칭찬 글은 정말 보기 어렵습니다.
ACE 게시판을 둘러보면 칭찬 글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최근에 unipolar님의 임요환 선수 칭찬글을 감명 깊게 봤었네요). 칭찬 글은 무조건 좋은 글이라 ACE 게시판으로 옮겨지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PgR 게시판과 ACE 게시판에 있는 칭찬글 수는 차이가 있습니다.
왜 그런 차이가 생겼나 말해보라고 하면, 저는 표현력이 부족해서 잘 설명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칭찬 글의 매력'이 그 차이를 나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더 많은 칭찬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프로게이머 선수들께도, 우리 맵퍼 분들께도, 우리 해설자, 캐스터 분들께도,
그리고
우리 PgR 사람들께도.
기억하시나요?
[pgr21 이분들이 있기에 우리는 행복하다(추천릴레이)]
란 칭찬 릴레이 글을.
'칭찬합시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메딕아빠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4-27 19:51)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