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1/12/17 03:54:40
Name 항즐이
Subject 정복하는 황제테란, 전투하는 귀족테란.
임요환 선수와 김정민 선수의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4강 경기를 앞두고 많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방송에서 쓰인 황제와 귀족이라는 이미지의 차용은 그들이 테란에 있어서,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전체에 있어서 어떤 존재였는지를 여실히 반영해주는 모습이다.

임요환선수는 황제이다. 황제는 최고이다. 황제의 요건은 군주의 그것과 같다. 마키아벨리즘에 굳이 기대지 않더라도, 군주는 사랑받을 필요, 위로받을 필요가 없다. 군주는 두려움의 대상이며, 경외의 대상이다.
황제는 제국의 군주이다. 제국은 정복을 통해 생산을 연속시키는 국가조직을 의미한다. 제국의 군주는 끊임없이 정복함으로써 자신이 제국의 군주임을, 황제임을 증명한다.
황제를 모두가 좋아할 수는 없다. 어쩌면 다수가 좋아할 수도 없다. 정복자에게 적이 없을수 없다. 정복자에게 비판과 비난이 따르지 않을수도 없다. 하지만 그래도 그는 황제이다. 넓은 영토를 제물로 삼아 비난마저 최고의 지위를 증명하는데 쓰는 처절한 절대자. 그 황제가 지금 임요환선수다.

물론 임요환 선수는 사랑받는 게이머이다. 나 역시 그를 좋아하고, 수많은 여성팬들이 그를 사랑한다. 하지만, 그가 수없이 많은 의혹과 부정, 비난을 견디지 않고 모두 물리치고 부수며 정상을 유지하는것이 아닌 정복하는 것으로 보이게끔 하는 그의 이미지는 역시 황제일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황제는 드라마의 필수조건이다. 유명한 베스트셀러 만화인 리니지 에서처럼, 그리고 수천년 계속된 영웅서사시의 구조처럼, 우리는 도전할 황제를, 절대자를 필요로 한다.

절대자에게는 선악의 개념이 불문명하다. 황제가 되기 위해, 정복을 위해 때로는 피도 흘리고 인간의 마음을 몇번이고 잘라낸다. 철저한 벽처럼 느껴져야만 가능한 최고라는 이름. 그러한 절대자가 있음으로 해서 우리가 가질수 있는 또 하나의 존재는 그에게 달려드는 귀족이다.

복수, 사랑, 운명, 민족. 이유는 역시 무엇일수도 있다. 그리고 무엇이더라도 좋다. 다만 황제라는 절대자. 모두가 그를 겨누지만 결국 꺼꾸러지고 아직도 서 있는 그 절대자를 향해 비수를 겨누지 아니하고, 같은 옷과 같은 말을 타고, 오히려 피에 덜 젖은 반짝이는 검을 꺼내는 귀족이 우리 앞에 섰다.

황제를 두려워하는 혹은 그에게 핍박받은 사람들, 혹은 황제의 권위에 반하는 사람들. 전혀 반대로 황제의 자리를 탐내는 사람들.. 욕심의 눈빛, 증오의 눈빛.. 그러한 일체의 눈빛들은 결국 기대로 모아진다.

그 기대를 받을 수 있는 귀족은 단 한사람으로 한정되기에 가치있다. 황제라는 절대자. 도전조차 상상되지 않기에, 암살이 아닌 정면에서 맞닥뜨리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을것 같기에 황제인 그에게 최후의 누군가로서 이름이 전해질 만한 단 한사람. 최선의 귀족.

절대와 최선의 대결은 그 자체로서 이야기의 종결이다. 누가 승자가 되었든 그 승자는 이미 절대자를 넘어선 영웅이며, 전설과 신화의 주인공이다. 최선마저 꺾어버린 까마득한 절대자, 혹은 끝이 보이지 않는 절망을 갈라버린 최선의 귀족. 어느쪽이건 우리에겐 희열을 안겨주는 영웅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다.

우리는 이보다 더 짜릿한 극적 전개를 수천년간 경험해 보지 못했기에 아직도 그러한 영웅을 기다린다. 그리고,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

그들이 만나기로 한 넓은 곳. 나는 이미 그 어딘가의 수풀에 몸을 맡기고 숨을 죽인채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즐이
01/12/17 03:56
수정 아이콘
쓰고 보니 역시 절대자쪽인 요환님에게 너무 냉정한 글이 되고 말았네요. 으으 난 요환님이 좋은뎅-_-;; (솔직히 어느쪽을 응원하는지 자신을 알수 없어 이런글을 쓴 것임) 정말 2001년 최고의 흥행대전이라는 생각에 썼습니다. ^^ 그 이미지의 극단을 추구한 글이니, 그냥 소설처럼 읽어주세요. 사실보다는 이미지, 이미지로.^^
항즐이
01/12/17 05:27
수정 아이콘
음.. 잠안와서 둘러보는데 새로 생긴 다음까페중에 스타에 관련된 소식을 다룬다고 해서 가보니 역시..-_-;; 생긴지 3일되었고, 후기는 여기것을 퍼갔네요. 제가 퍼와서 제목을 단 "임요환의 scv러쉬는 진짜 복수전이었다"는 그 제목 그대로 쓰고 있고..-_-;; 어디서 퍼왔는지 말도 없고..-_-;; 음냐. 아찔.
매니아
과연누가이길지 ;;;
언제나 느끼는것이지만-_- 왜들 글이 이리도 잘쓰실까요?;;
아무튼 게임을 생각하면 가슴이 두근두근하네요. 멋진경기를 기대하면서..^__________^
나는날고싶다
01/12/17 15:33
수정 아이콘
진짜 진정한 영웅을 기다리는 한 판 대결이 되겠군요..^_^;; 기대기대..+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16 데스메탈계의 거장 일러스트레이터 : 댄 시그레이브 (Dan Seagrave) (스압) [8] 요하네스버그16340 24/08/19 16340
3915 대리운전, 투잡 or 알바로서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소소한 팁 [44] 청운지몽16948 24/08/14 16948
3914 지리산은 왜 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을까? - 상고한어의 흔적 [16] 계층방정16258 24/08/11 16258
3913 유럽사는 딱 3가지만 알면 됩니다 |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 [32] Fig.116424 24/08/06 16424
3912 외박 복귀 D-4시간, 기차 타고 가면서 써보는 잡썰 [36] No.99 AaronJudge15818 24/08/04 15818
3911 MP3의 추억. iAUDIO G3 세척? 수리?기 [28] 우스타16984 24/07/28 16984
3910 뉴욕타임스 6.24. 일자 기사 번역(지하 미생물은 지구를 변화시킨다.) [9] 오후2시13100 24/07/28 13100
3909 내가 알고싶지 않은 바보들의 소식까지 알아야되는 세상 [33] 고무닦이13667 24/07/26 13667
3908 영어 원서를 읽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몇가지 팁 [46] 마구스13131 24/07/23 13131
3907 양극성 장애(조울증)을 치료하며 위로가 되었던 노래들 - 上편 [14] 욱상이12569 24/07/22 12569
3906 안락사에 대하여(부제: 요양원 방문 진료를 다녀본 경험을 바탕으로) [64] 아기호랑이11554 24/07/20 11554
3905 인류 역사의 99%를 알아보자: 서울에 200명도 안살던 시절 [12] 식별17060 24/07/16 17060
3904 ‘삼체’를 소설로 읽어야 하는 이유 [36] Schol17011 24/07/14 17011
3903 아이를 LG트윈스의 팬으로 만든 죄책감에 대하여 [43] likepa15824 24/07/10 15824
3902 2024년 방콕 광역권 지도 업데이트 [13] 쿠릭15562 24/07/04 15562
3901 장롱면허 레이 운전 분투기(3시간) [82] 사람되고싶다17809 24/06/16 17809
3900 [에세이] 군대에서 광신자가 되는 방법 [9] 두괴즐18560 24/07/03 18560
3899 전통주 회사 전직자의 주관적인 전통주 추천 [70] Fig.118946 24/06/11 18946
3898 공군의 F-4E 팬텀 퇴역식을 담아봤습니다. [17] 한국화약주식회사18105 24/06/07 18105
3897 네안데르탈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25] 식별19859 24/06/19 19859
3896 2024년 방콕 중심지 지도 업데이트 [30] 쿠릭18261 24/06/18 18261
3895 구직을 마무리하며 - 많은 분들에게 감사했던 시간 [33] Kaestro13622 24/06/06 13622
3894 돈과 시간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57] 모찌피치모찌피치13136 24/06/01 131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