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08/08 16:28:40
Name 레몬트위스트
Subject 오래 준비해온 대답
“독립 첫날이구나. 환자를 배정해줘도 되겠니?”
“네”
참 오래 준비한 대답이라고 생각했다.
4년 동안의 간호학 공부, 실습, 국가 고시, 병원 입사와 교육, 중환자실로 부서 배치, 그리고 한 달의 중환자실 트레이닝 기간까지. 이미 입사한 동기들에게 소위 ‘태움’과 관련된 얘기를 많이 들어서 실제로 겪게 될 것이 무섭기도 했지만 얼른 똘똘한 간호사가 되고 싶었다.
트레이닝 기간 후 혼자 담당 환자를 맡아 보는 것을 ‘독립’이라고 일컫는다. 그동안 오래 준비 했다고 생각한 것이 무색하게도 새로운 모르는 것들은 계속 생겼다. 환자들 상태가 좋지 않아 의사는 추가로 처방을 내고 필요한 처치를 하면, 나는, 그 처방을 수행하고 처치에 필요한 것을 준비하고 보조해야 했다. 모르는 것은 물어보고 필기한 수첩도 뒤져가며 시간이 지나는 만큼 어느정도 혼자 일을 할 수 있는 간호사가 되었다.

어느 날 이었다. 응급실에 도착하자마자 의식을 잃고 쓰러진 40대 여성이 위급한 상태로 중환자실로 빠르게 입실했다. 중환자실에 입실하게 되면 대부분 보호자들이 많이 찾아온다. 필요한 처치를 하고 있는 바쁜 와중에도 걱정이 되는 보호자들은 계속 초인종을 누르고 환자 또는 환자 담당 의료진을 찾는다. 하지만 이 여성은 입실 후 그 어디 찾는 분 하나 없었다.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중환자실에 있는 기계란 기계는 모두 적용중이었고, 담당 교수님도 이 지경이 되도록 왜 지금까지 병원을 오지 않았을지 가여워 하시며 혀를 끌끌 차셨다.
연락이 닿은 보호자는 아들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이었다. 아들은 학교 수업으로 연락을 못 받았다고, 연락을 받자마자 병원으로 달려왔다. 다른 보호자는 없다하여 교수님은 학생에게 엄마 상태를 설명했다. 아들은 덤덤히 끄덕였고 의식이 없는 엄마를 아무 말 없이 바라볼 뿐이었다.

3일이 지났다. 교수님은 이미 환자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소생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여 아들과 심폐소생술 거부 동의서를 작성한 상태였다. 사실, 중환자실에서 죽음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환자 상태는 점점 악화되었고, 예상된 수순대로 환자의 맥박이 느려졌다. 그것을 확인한 나는 바깥에서 대기하던 아들을 인터폰 너머 호출하여 임종이 가까워졌다고 안내하고 면회를 시켰다.
이내 맥박이 0이라는 알람이 울렸다. 나는 능숙히 환자가 있는 방에 들어가 알람을 끄는 버튼을 누르고, 아들이 마지막 인사를 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워주기 위해 자동문을 열고 나갔다. 나가기 직전까지도 아들은 미동도 없이 아무 소리도 내지 않았다. 그리고, 찰나의 순간에 뒤에서 들렸다. 자동문이 닫히기 직전 아들의 포효를. 나혼자 남기고 가면 어떡하냐는 울음이 섞인 포효. 이내 자동문은 닫혔고, 밖은 아무 일 없다는 듯 정적이 흘렀다.

이런 순간이 올 줄 알았으면 나는 과연 그 때, 오래 준비한 대답이라고 생각했을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전에 써놓고 묵혀놓은 글입니다.
아직도 일을 하고 있지만 가끔 생각나는 여러 일들 중 하나입니다.
글솜씨는 없지만 언젠가 한번 올리고 싶었는데 이제서야 용기를 내네요. 잘못된 문법이나 맞춤법이 발견되더라도 양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12-24 10:2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일간베스트
23/08/08 16:30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늘 고생 많으신 직업이지요.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그럴수도있어
23/08/08 16:55
수정 아이콘
먹먹해지네요. 이런 힘든 순간들을 감당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참 다행입니다.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3
수정 아이콘
할 일이 많다고 서두르다가 먹먹해져서 잠깐 멈춰 있었던 기억이... 감사합니다.
23/08/08 16:57
수정 아이콘
하아... 저도 제 가정을 꾸리고 나니까 이런 글이 더욱 강한 울림으로 다가오네요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3
수정 아이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3/08/08 17:01
수정 아이콘
그 직에 종사하는 가까운 사람이 있기에 저도 몇 번 들었지만..
저라면 못했을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늘 고생 많으십니다.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4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했지만 사람이 또 해야되면 하게 되더라구요.. 허허.. 감사합니다.
23/08/08 17:44
수정 아이콘
글 잘 읽었습니다.
종종 심심하실 때 이런저런 얘기도 해주세요.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인생을살아주세요
23/08/08 17:51
수정 아이콘
남일같지가 않네요ㅠ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다보니.. 글 잘 읽었습니다.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5
수정 아이콘
아.. 뒤늦은 토닥토닥.. 감사합니다.
레드빠돌이
23/08/08 17:53
수정 아이콘
5일동안 중환자실 보호자실에서 숙식을 한 기억이 아직도 강렬하게 남아있습니다...
레몬트위스트
23/08/08 18:05
수정 아이콘
아이고.. 의식있는 상태로 있으면 너무 힘들어하시죠..
Winter_SkaDi
23/08/08 19:38
수정 아이콘
어떤 마음이실지 감히 상상도 안됩니다. 잘 읽었습니다. 화이팅!
작은대바구니만두
23/08/08 20:02
수정 아이콘
정말 생생하게 다가오는 글이네요. 우리는 언제나 주변을 의식해야 한다는 부담에 억눌려 살고 있죠. 그 아들은 어느 때보다 더 어머니와 진심어린 사랑의 대화를 나눴을 겁니다.
이웃집개발자
23/08/08 23:36
수정 아이콘
부디 건강 챙기시고 좋은 일이 더 많이 오시길..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78 저는 외로워서 퇴사를 결심했고, 이젠 아닙니다 [27] Kaestro13743 24/04/24 13743
3877 미 영주권을 포기하려는 사람의 푸념 [54] 잠봉뷔르13383 24/04/23 13383
3876 [역사] 기술 발전이 능사는 아니더라 / 질레트의 역사 [31] Fig.112549 24/04/17 12549
3875 서울 쌀국수 투어 모음집 2탄 [44] kogang200114911 24/04/19 14911
3874 남들 다가는 일본, 남들 안가는 목적으로 가다. (츠이키 기지 방문)(스압) [47] 한국화약주식회사14785 24/04/16 14785
3873 2000년대 이전의 도서관에 관한 이야기 [56] Story14146 24/04/07 14146
3872 내가 위선자란 사실에서 시작하기 [37] 칭찬합시다.14344 24/04/03 14344
3871 [역사] 총, 약, 플라스틱 / 화학의 역사 ④현대의 연금술 [17] Fig.113826 24/04/03 13826
3870 정글 속 x와 단둘이.avi [22] 만렙법사15363 24/03/30 15363
3869 탕수육 부먹파, 찍먹파의 성격을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51] 인생을살아주세요14511 24/03/25 14511
3868 [역사] 가솔린차가 전기차를 이긴 이유 / 자동차의 역사 [35] Fig.114606 24/03/19 14606
3867 [역사] 페리에에 발암물질이?! / 탄산수의 역사 [5] Fig.114418 24/02/21 14418
3866 [잡담] 북괴집 이야기 [5] 엘케인14427 24/03/12 14427
3865 자동차 산업이 유리천장을 만든다 [69] 밤듸15444 24/03/11 15444
3864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1. 들어가며 [7] meson13882 24/03/10 13882
3863 토리야마 아키라에게 후배들이 보내는 추도사 [22] 及時雨14095 24/03/08 14095
3862 바야흐로 마라톤 개막 시즌 입니다. [31] likepa13405 24/03/06 13405
3861 [역사]이걸 알아야 양자역학 이해됨 / 화학의 역사 ③원자는 어떻게 생겼을까? [31] Fig.113539 24/03/05 13539
3860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30] 烏鳳15058 24/02/22 15058
3859 설날을 맞아 써보는 나의 남편 이야기 [36] 고흐의해바라기14358 24/02/12 14358
3858 열매의 구조 - 겉열매껍질, 가운데열매껍질, 안쪽열매껍질 (그리고 복숭아 씨앗은 일반쓰레기인 이유) [21] 계층방정13587 24/02/08 13587
3857 향린이를 위한 향수 기초 가이드 [76] 잉차잉차13942 24/02/08 13942
3856 [역사]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 화학의 역사① [26] Fig.113604 24/02/06 136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