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3/29 09:10:01
Name 녹용젤리
Subject 만두
나는 만두를 참 좋아한다.

만두없인 못산다. 전국팔도 이름난 만두집은 다 다녀본것같다.

종류불문 어떤 만두든 다 좋아하지만 그래도 그닥 좋아하지 않는 만두도 있다.

만두소에 고기대신 무우말랭이가 들어간 만두

만들던 방법이 결코 쉽지만은 않았던 그 만두

엄마의 꽃같던 30대를 소다냄새에 쩔게만들고

아버지의 손가락 두개를 잡아먹은 그 만두

내 사춘기를 배달통과 함께 보내게한 그 만두

그렇게 모두를 갈아넣어 누나의 대학 학자금이 되어준 그 만두

나는 정말 그 만두가 그땐 싫었는데...

내 인생에 만두먹는 일은 절대 없을거라 수도없이 되내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제일 먹고싶은 만두가 그 만두인건 이유가 뭘까

아부지... 보고싶네요.  
돌아오는 초파일에 인사나 올리러 가겠습니다.


* 손금불산입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12-06 00:3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 게시글로 선정되셨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녹용젤리
22/03/29 09:11
수정 아이콘
사실 만두는 비비고 왕교자가 최곱디다.
파란무테
22/03/29 09:31
수정 아이콘
대기업의 맛
설탕가루인형
22/03/29 10:24
수정 아이콘
결혼하고 집들이 할 때 늦게 온 친구가 있었습니다. 안주가 다 떨어져서 급하게 비비고 왕교자를 구워줬죠. 비비고 왕교자를 처음 먹어본 친구가 '내 생에 이렇게 맛있는 만두는 처음 먹어본다. 대체 어떻게 만든거냐'고 너무 진지하게 물어봐서 '나만 아는 맛집이 있다' 고 얼렁뚱땅 넘어갔습니다.
사실 만두는 비비고 왕교자가 최곱디다.(2)
DavidVilla
22/03/29 09:35
수정 아이콘
아들이 저를 만두귀신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맛볼 수 없는 그 만두가 괜히 그립네요.
잘 읽었습니다.
백수아닙니다
22/03/29 09: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렸을 적 아버지께서 해주신 고향만두가 생각나네요
22/03/29 09:38
수정 아이콘
팔도 최고의 만두는 어디셨을까요?
22/03/29 09:38
수정 아이콘
사실 저는 지금 아내를 만두로 꼬셨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제 고향이 시골이라 결혼하기 전까지 명절마다 만두를 직접 만들었는데(소를 직접 만드는 건 물론 만두피도 직접 밀가루 반죽해서 일일이 손으로 밀어서 쫄깃한 식감이 일품이었었죠) 그 당시만해도 그만한 맛을 공산품 만두가 못내던 상황이라 만두를 좋아하던 제 아내가 홀라당 넘어왔다고 봅니다.
이제 어머니는 안 계시지만 그때 가족끼리 모여 앉아 만두 만들던 그때가 그립긴 하네요.
李昇玗
22/03/29 10:28
수정 아이콘
아...저도 시골에서 명절때마다 직접 만들어 먹던 두부 많이 들어간 김치만두, 고기만두 생각나네요...
그 시절이 좀 그리운 거 같기도 하구요..
유로파
22/03/29 10:45
수정 아이콘
추억은 감각 기관이 닿을 수 없는 영역에 있죠.
메타몽
22/03/29 11:47
수정 아이콘
짧은 글 안에 녹용젤리님과 가족 분들의 인생이 잘 녹아 있네요 ㅠ

좋은 글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추천게시판을 재가동합니다. [6] 노틸러스 23/06/01 32000
3860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27] 烏鳳8150 24/02/22 8150
3859 설날을 맞아 써보는 나의 남편 이야기 [36] 고흐의해바라기7605 24/02/12 7605
3858 열매의 구조 - 겉열매껍질, 가운데열매껍질, 안쪽열매껍질 (그리고 복숭아 씨앗은 일반쓰레기인 이유) [21] 계층방정7273 24/02/08 7273
3857 향린이를 위한 향수 기초 가이드 [75] 잉차잉차7408 24/02/08 7408
3856 [역사]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 화학의 역사① [26] Fig.17264 24/02/06 7264
3855 회사에서 설사를 지렸습니다 [154] 앗흥14977 24/02/08 14977
3854 [LOL] 53세 할재(?) 에메랄드 찍기 성공 [41] 티터13317 24/02/07 13317
3853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3 최고의 앨범 Best 15 [12] 김치찌개12829 24/02/04 12829
3852 [역사] 손톱깎이 777 말고 아는 사람? / 손톱깎이의 역사 [29] Fig.113017 24/01/23 13017
3851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세계, AI는 이 한계를 뚫을 수 있을까 [34] 사람되고싶다12981 24/01/21 12981
3850 조선의 젊은 아베크족들이 많은 걸 모르셨나요? - 1940년 경성 번화가를 걸어보다. [12] KOZE15572 24/01/13 15572
3849 2023년 영화 베스트 25 - 주관 100% [23] azrock14388 24/01/12 14388
3848 과학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 과학철학의 역사 [32] Fig.114191 24/01/09 14191
3847 pgr 삼촌의 시티팝 추천곡 [26] 라쇼14354 24/01/08 14354
3846 [서평] '변화하는 세계질서', 투자의 관점으로 본 패권 [51] 사람되고싶다14130 24/01/05 14130
3845 골수 서구인인줄 알았던 내가 알고보니 MZ유생? [22] 사람되고싶다12890 24/01/09 12890
3844 [기타] 이스포츠 역사상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상에 오른 선수들 [39] 워크초짜12086 23/12/23 12086
3843 와인도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 와인의 역사 [25] Fig.113196 23/12/14 13196
3842 구글 픽셀 5년차 사용기(스압, 데이터 주의) [37] 천둥13335 23/12/02 13335
3841 [서평] '내가 행복한 이유' 그렉 이건 作 [6] cheme13097 23/12/01 13097
3840 두 돌이 된 아이는 너무 귀엽고, 부부의 낙은 모르겠다 (육아일기) [29] 두괴즐16164 23/12/13 16164
3839 한미일 의료현장 비교 [36] 경계인15798 23/12/12 157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