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2/20 19:15:20
Name 연필깎이
Subject [일상] 두부 조림
저희 할머니께선 참 음식을 잘하십니다.
그리고 그 음식솜씨는 고스란히 우리 이모가 물려받았습니다.
사실 제 이모는 육류를 전혀 못 드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닭백숙 등등 고기 요리를 그렇게 잘합니다.
맨날 이모한테 '솔직히 고기 못 먹는 거 거짓말이지?'라고 장난을 칠 정도입니다.

그에 반해 우리 엄마는 할머니의 손재주를 물려받았습니다.
요리를 잘하지 못하는 우리 엄마 덕에 제 성장기의 밥상은 주로 배달음식이었습니다.
그래도 좋았습니다. 우리 엄마랑 같이 밥을 먹으니까요.

엄마는 그래도 가끔 음식을 해주셨습니다.
그 중 제일 기억에 남는게 바로 '두부조림'입니다.
원체 두부를 좋아하긴 하지만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은 정말 특별한 맛이 났습니다.
그래서 맨날 엄마한테 두부조림을 해달라고 떼를 썼던 기억이 납니다.

나이를 먹고 타지로 대학을 가며 엄마를 보는 날이 점점 적어질 시점에,
집에 가면 항상 '뭐 먹고 싶어?'라는 물음에 '두부조림'이라고 답을 했습니다.
입대하고 휴가를 나와도 제 대답은 항상 같았어요.

그러면 엄마는 왜 자꾸 그걸 얘기하냐고 툴툴대면서도 만들어 주셨습니다.

사실 두부조림은 집 앞 반찬 가게에 흔히 보이는 음식이지 않습니까?
서울로 직장을 잡은 후 어느 날 두부조림이 너무 땡기는 겁니다.
해서 집 앞 반찬 가게에 급히 가서 두부조림을 샀습니다.

확실히 맛있었습니다. 정말 맛있었어요.
그런데 엄마가 해준 그 오묘한 맛이 안 나는 겁니다.
우리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은 짠맛과 단맛이 묘하게 섞인 그런 맛이거든요?
헌데 가게에서 파는 두부조림은 맛이 너무 깔끔해요.

뭔가 모를 실망감에 사로잡힌 저는 엄마한테 전화를 했습니다.
'나 이번 주말에 내려갈 테니까 내가 자주 먹는 걸 해달라'고 말이죠.
엄마의 '아 조림?'이라는 그 대답에 미소가 절로 지어졌습니다.

실은 요즘 직장 스트레스가 상당해서 힘이 듭니다.
원형탈모에 스트레스성 위염에 멀쩡하던 사람이 종합 병동이 되어가고 있더라구요.
흔히 몸과 마음이 아프면 맛있는 걸 먹고 푼다고 하잖아요?
얼마 전부터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이 너무 땡깁니다.

그래서 이번 주말에 두부조림을 먹으러 집으로 내려갈까 합니다.
어쩌면 두부 핑계를 대고 엄마를 보러 가는 걸지도 모르지만요.



* 노틸러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10-13 14:24)
* 관리사유 :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0/02/20 1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절로 미소가 나오는 훈훈한 이야기네요
두부조림 레시피는 받아두시면 좋을거 같아요(제가 궁금하니까 올려달라는 건 아닙니다 흠흠!)
저도 어머니가 해주시는 닭죽 좋아해서 얼마전에 요리해보려다가 전화로 이러쿵저러쿵 여쭤봤던게 생각났어요 크크
티모대위
20/02/20 19:44
수정 아이콘
따뜻한 이야기네요.. 건강하시길...!
20/02/20 19:52
수정 아이콘
집밥이 그립네요 ㅠㅠ
부대찌개
20/02/20 20:02
수정 아이콘
어서 두부조림 레서피를 내놓으십시오!!
치열하게
20/02/20 20:05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맛있죠. 따뜻한 흰 밥에 먹으면 꿀맛. 사실 두부가 다 맛있죠. 그나저나 할머님은 능력자셨네요.
그리움 그 뒤
20/02/20 20:06
수정 아이콘
좋아요~~
두부조림 맛있게 드세요
20/02/20 21:27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좋아요. 어머니께서 오래 오래 건강하시길 빕니다.
오지키
20/02/21 00:21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덕후로서 매우 공감합니다.
저도 몇개월만에 부모님 댁에가면 리퀘스트 no1요리가 두부조림이라서 정말 많은 양을 만들어주십니다.
따로살면서 저는 몇번이나 시도해봤지만 실패했습니다.
즉, 언젠가는 기억속에서만 머무를 요리라서 더 소중한 것 같네요.
껀후이
20/02/21 10:36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너무 좋아요...
그래서 레시피는 안 주시나요?!?
덕분에 훈훈하게 아침 시작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01 <스포> 풍수지리 스너프 필름: "미나리" [23] Farce7147 21/07/14 7147
3300 중국 반도체 굴기의 위기 [136] cheme15943 21/07/12 15943
3299 포경수술과 성기능과의 상관관계 [124] 그리움 그 뒤14440 21/07/05 14440
3298 코로나 병동... 벌써 반년 [57] WOD13843 21/07/05 13843
3297 죽어 보지도 않은 자들의 말과 글을 믿지 말라 [38] 아루에9923 21/07/04 9923
3296 영화 1600편을 보고 난 후, 추천하는 숨겨진 수작들 [128] 최적화11407 21/07/02 11407
3295 한라산 국립공원 (국립공원 스탬프 투어 4) [44] 영혼의공원6847 21/07/02 6847
3294 현대인이 범하기 쉬운 대체역사물 실수 몇가지 [78] 아리쑤리랑18072 21/06/28 18072
3293 편파 중계 지역사: 남인도 시점에서 보는 인도사 [44] Farce8304 21/06/27 8304
3292 (삼국지) 삼국지의 호족은 어떤 자들이었나? [41] 글곰10052 21/06/24 10052
3291 [역사] 치킨 복음 / 국내 치킨의 역사 [54] Fig.110689 21/06/23 10689
3290 응급실 체험기 [22] ohfree7906 20/06/12 7906
3289 한강에 우뚝 솟은 구름 산 [45] 及時雨10118 21/06/21 10118
3288 중세에서 전쟁을 해봅시다. [67] Farce9978 21/06/10 9978
3287 [축구] 선수 '유상철'을 추억하며 [9] 라울리스타7721 21/06/08 7721
3286 아이는 과연 행복인가- 아이 낳지말라 글을 읽고. [53] Hammuzzi9452 21/06/03 9452
3285 [역사] 가라오케는 왜 한국에서만 노래방이라고 부를까? / 노래방의 역사 [57] Fig.19826 21/05/31 9826
3284 자아도취에 빠져버린 오늘날의 과학계 [40] 위너스리그11637 21/05/29 11637
3283 현대 개발도상국은 과연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까? [63] 깃털달린뱀13105 21/05/28 13105
3282 (소설) 은원도검(恩怨刀劍) 1 [16] 글곰6233 21/05/24 6233
3281 [역사] 첫 보행자 사망사고 낸 자동차는 시속 6km / 자동차 사고의 역사 [24] Fig.111851 21/05/24 11851
3280 거 1등, 1등 하는데, 그 유록스라는게 뭐요? (요소수 이야기_약스압) [73] 은하관제15735 21/05/23 15735
3279 잡담 [9] 라덱6248 21/05/19 62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