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2/20 19:15:20
Name 연필깎이
Subject [일상] 두부 조림
저희 할머니께선 참 음식을 잘하십니다.
그리고 그 음식솜씨는 고스란히 우리 이모가 물려받았습니다.
사실 제 이모는 육류를 전혀 못 드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닭백숙 등등 고기 요리를 그렇게 잘합니다.
맨날 이모한테 '솔직히 고기 못 먹는 거 거짓말이지?'라고 장난을 칠 정도입니다.

그에 반해 우리 엄마는 할머니의 손재주를 물려받았습니다.
요리를 잘하지 못하는 우리 엄마 덕에 제 성장기의 밥상은 주로 배달음식이었습니다.
그래도 좋았습니다. 우리 엄마랑 같이 밥을 먹으니까요.

엄마는 그래도 가끔 음식을 해주셨습니다.
그 중 제일 기억에 남는게 바로 '두부조림'입니다.
원체 두부를 좋아하긴 하지만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은 정말 특별한 맛이 났습니다.
그래서 맨날 엄마한테 두부조림을 해달라고 떼를 썼던 기억이 납니다.

나이를 먹고 타지로 대학을 가며 엄마를 보는 날이 점점 적어질 시점에,
집에 가면 항상 '뭐 먹고 싶어?'라는 물음에 '두부조림'이라고 답을 했습니다.
입대하고 휴가를 나와도 제 대답은 항상 같았어요.

그러면 엄마는 왜 자꾸 그걸 얘기하냐고 툴툴대면서도 만들어 주셨습니다.

사실 두부조림은 집 앞 반찬 가게에 흔히 보이는 음식이지 않습니까?
서울로 직장을 잡은 후 어느 날 두부조림이 너무 땡기는 겁니다.
해서 집 앞 반찬 가게에 급히 가서 두부조림을 샀습니다.

확실히 맛있었습니다. 정말 맛있었어요.
그런데 엄마가 해준 그 오묘한 맛이 안 나는 겁니다.
우리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은 짠맛과 단맛이 묘하게 섞인 그런 맛이거든요?
헌데 가게에서 파는 두부조림은 맛이 너무 깔끔해요.

뭔가 모를 실망감에 사로잡힌 저는 엄마한테 전화를 했습니다.
'나 이번 주말에 내려갈 테니까 내가 자주 먹는 걸 해달라'고 말이죠.
엄마의 '아 조림?'이라는 그 대답에 미소가 절로 지어졌습니다.

실은 요즘 직장 스트레스가 상당해서 힘이 듭니다.
원형탈모에 스트레스성 위염에 멀쩡하던 사람이 종합 병동이 되어가고 있더라구요.
흔히 몸과 마음이 아프면 맛있는 걸 먹고 푼다고 하잖아요?
얼마 전부터 엄마가 해준 두부조림이 너무 땡깁니다.

그래서 이번 주말에 두부조림을 먹으러 집으로 내려갈까 합니다.
어쩌면 두부 핑계를 대고 엄마를 보러 가는 걸지도 모르지만요.



* 노틸러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10-13 14:24)
* 관리사유 :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스티
20/02/20 19: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절로 미소가 나오는 훈훈한 이야기네요
두부조림 레시피는 받아두시면 좋을거 같아요(제가 궁금하니까 올려달라는 건 아닙니다 흠흠!)
저도 어머니가 해주시는 닭죽 좋아해서 얼마전에 요리해보려다가 전화로 이러쿵저러쿵 여쭤봤던게 생각났어요 크크
티모대위
20/02/20 19:44
수정 아이콘
따뜻한 이야기네요.. 건강하시길...!
20/02/20 19:52
수정 아이콘
집밥이 그립네요 ㅠㅠ
부대찌개
20/02/20 20:02
수정 아이콘
어서 두부조림 레서피를 내놓으십시오!!
치열하게
20/02/20 20:05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맛있죠. 따뜻한 흰 밥에 먹으면 꿀맛. 사실 두부가 다 맛있죠. 그나저나 할머님은 능력자셨네요.
그리움 그 뒤
20/02/20 20:06
수정 아이콘
좋아요~~
두부조림 맛있게 드세요
20/02/20 21:27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좋아요. 어머니께서 오래 오래 건강하시길 빕니다.
오지키
20/02/21 00:21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덕후로서 매우 공감합니다.
저도 몇개월만에 부모님 댁에가면 리퀘스트 no1요리가 두부조림이라서 정말 많은 양을 만들어주십니다.
따로살면서 저는 몇번이나 시도해봤지만 실패했습니다.
즉, 언젠가는 기억속에서만 머무를 요리라서 더 소중한 것 같네요.
껀후이
20/02/21 10:36
수정 아이콘
두부조림 너무 좋아요...
그래서 레시피는 안 주시나요?!?
덕분에 훈훈하게 아침 시작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786 [2024년 결산]뭘 해도 올해보단 나아지겠지 [39] SAS Tony Parker 11845 24/12/26 11845
3785 [2024년 결산]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전문위원 활동기 [24] 성야무인11633 24/12/22 11633
3784 [기타] e스포츠산업 이론 강의 3년. 우리는 어디까지 왔는가 [11] 노틸러스15722 23/09/27 15722
3783 위대한 응원을 받았습니다. [27] likepa15905 23/09/25 15905
3782 3개월의 짧았던 아빠 육아휴직을 마치며... [24] 비 평 = 이 백 만15483 23/09/23 15483
3781 폴란드의 기다란 농토 [19] singularian15717 23/09/16 15717
3780 최고의 스마트폰 자판은 무엇인가? [158] 반대칭고양이16218 23/09/23 16218
3779 [2023여름] 여름에는 사진을 찍지 않는 사람의 사진 [8] 시무룩11478 23/09/13 11478
3778 [PC] [발게이 3] 발게이 세계관에서 불멸자나 신이 되는 방법 [21] 통피11775 23/09/08 11775
3777 [2023여름] 그냥 사진들 [15] 뿌루빵10976 23/09/12 10976
3775 [2023여름] 여름나라 사진사의 여름사진 모음 [15] 스타슈터11053 23/09/12 11053
3774 [2023여름] 플립 5와 함께한 여름 [31] 及時雨11102 23/09/08 11102
3773 9개월의 이야기 [12] 요슈아12518 23/09/09 12518
3772 애플망고주스와 아인슈페너 [27] ItTakesTwo12501 23/09/06 12501
3771 [역사] 치커리 커피를 아시나요? / 커피의 역사 [22] Fig.112166 23/09/06 12166
3770 조금만 관대하게 [29] 밥과글12214 23/09/01 12214
3769 내 아이가 학교폭력을 당했을 때 대처법 [37] 르깝14798 23/08/29 14798
3768 일본의 MRJ 제트 여객기 개발의 교훈 [26] singularian15064 23/08/26 15064
3767 디즈니 좋아하세요? [28] 무무보리둥둥아빠14380 23/08/26 14380
3766 [역사] 산타마리아노벨라 - 이탈리아의 역사 800년이 담긴 향 [23] Fig.114021 23/08/23 14021
3765 오랜만에 함께해요 음식여행.jpg [23] 이러다가는다죽어14246 23/08/23 14246
3764 좋았던 그 때, 그들만의 [13] 상록일기11912 23/08/16 11912
3763 [풀스포] 차라리 신파였으면 나았을 갈팡질팡: 콘크리트 유토피아 [67] Farce16268 23/08/12 162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