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7/03/30 02:00:03
Name 신불해
Subject 한국사 최강의 전투 부대 중 하나, 이성계의 사병 집단



인류의 역사가 전쟁의 역사와 함께 하면서, 셀수도 없는 전사에 남을 희대의 전투와 불후의 명성을 떨친 명장들이 탄생했습니다. 명장이라고 하면 한니발, 칭기즈칸, 티무르, 알렉산드로스, 나폴레옹, 한신, 구스타프 아돌프 등 수 많은 사람을 언급할 수 있고, 엄청난 명성을 가지고 있는 전투라고 하면 아우스트리츠 전투, 칸나에 전투, 앙카라 전투, 파양호 대전, 스탈린그란드 전투 등 역시 셀 수도 없는 많은 전투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전투와 개인을 떠나, 어떤 경우에는 '집단' 자체가 주목 받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최강의 군단' 입니다. 한니발을 따라 로마를 뒤집어엎은 군단, 나폴레옹을 따라 전유럽을 굴복시킨 전설의 고참 근위대, 세계를 들쑤신 몽골 기병대와 기원전 시대에 사막을 가로질러 바이칼 호에 다다른 곽거병의 정예기마대 등 무수한 부대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국의 역사라고 전쟁의 역사와 동떨어져 있지는 않기에 수많은 명장과 전투의 기록이 있습니다. 이순신, 을지문덕, 양규, 김유신 등등에 한산도 대첩, 명량대첩, 귀주대첩, 살수대첩 등등...




그렇다면, 한국사에 길이 남을 '최강의 군단' 을 따져보면 어떤 군단이 있을까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이순신의 조선해군이 생각납니다. 22년간의 재위기간 동안 수많은 전투에 참여한 광개토대왕의 군대도 있겠구요. 살수대첩의 고구려군도 있긴 하겠지만, 이 경우는 국가 총력전 느낌이라 '최강의 군단' 이라는 호사가들이 언급할 주제와는 좀 동 떨어진것 같고, 차라리 당태종의 침공을 저지한 안시성의 부대들이 어떤가 싶습니다.




이런저런 부대들이 있긴 하겠지만....이들 대부분이 '국가 차원' 에서 동원한, 일종의 '국가의 힘' 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는 부대라고 설명한다고 치면 약간 논외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가령 로마는 강력한 나라였고 로마군은 강력한 군대였지만, '카이사르의 10군단' 은 로마라는 나라의 힘과 로마군의 강력함을 떠나 별개로 유명합니다.



그렇다면, 일종의 '부대' 라는 성격으로서 국내 역사에서 아주 강력했던, 그리고 동시에 눈길을 끄는 요소도 많은 부대는 또 무엇이 있을까요?


개인적으론, 고려 말 이성계의 사병 집단에 한 표를 던져봅니다.




TlVkdUF.jpg

드라마 정도전에 나온, 이성계의 부대




고려 말은 국가의 병력이 전체적으로 개인의 사병집단화 되면서 수 많은 장수들이 개별적인 병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가령 정몽주와 함께 고려 최후의 충신으로 이름이 높은 최영만 하더라도 따져보면 '수천의 병력을 가진 무장 군벌'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기록을 보면,



'瑩怒曰 吾旣分管楊廣道 豈可之他乎奫 최영이 노하여 말하기를 “나는 이미 양광도를 나누어 맡았는데 어찌 다른 곳으로 갈 수 있는가." 하였다.' (고려사절요 1376)

'臣麾下士數千餘人' "신의 휘하 군사가 수천이다." (고려사절요 1385)



해당 기록을 보면 최영이 "양광도는 내 관할이다." 라거나, "내 밑의 병력이 수천명이다." 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고려 말에 여러 지방에 왜구가 빈번하게 침공하자 우왕 대 고려의 지방군은 여러 재상들에게 예속되어 있었는데, 최영이 '양광도를 나누어 맡고 있다' 는 부분은 이를 언급하는 부분입니다. 그외 절제사 개인을 위해 병사들이 사역되는 경우는 허다한 경우였습니다.


 

etiWQwo.jpg




이런 기록은 더 찾아보면 많이 있는데, 가령 고려 말에 여러 장수들이 관에 병력은 등록 안 시키고 개별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그런 군대는 똥군기가 만연하고 사람을 두들겨 패서 못 살게 하는데 그나마 이성계의 부대는 덜해서 많은 사병들이 "차라리 소속되려면 이성계 밑에" 를 바랬다거나, 최영이 자기 휘하 병사를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는데 전투 참여 후 그 사병들이 상을 받지 못해 불평하자 최영이 개인적으로 이들을 처벌, 우왕이 설득끝에 만류하고 상을 주었다는 식의 기록이 있습니다.






즉 고려 말에 장수들이 사병을 가지고 있는 것은 흔한 일이었습니다. 대부분은 규모가 크지 않았지만, 최영급 되는 인사 쯤 되면 역시 과장을 걸른다고 하더라도 백단위는 훨씬 넘고 4자리수에 가까운 사병을 가지고 있기도 했었구요. 


보통 중앙군을 동원해야 하는 국가 입장에서 보면, 이런 사병집단화는 전투력을 약화시킨다고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그 사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전투력을 키우는데 관심이 많거나 병력을 동원하는데 능숙하다면, 오히려 사병집단이 일반 농민군보다 훨씬 강력한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서양의 봉건제 기사들이 가지고 있는 전투력도 그렇고, 삼국지로 비유하자면 공손찬은 따로 강력한 백마의종 부대를 육성하기도 했었죠.




그럼 이성계의 사병 집단이 동시기 다른 고려 장수들의 사병 집단과 무엇이 달랐나? 



첫번째, 규모입니다. 다음은 이성계가 치룬 전투들에서, 직접적으로 사병을 동원한 게 확인되는 기록에서 써져있는 병력의 규모에 대한 언급입니다.



1361년 - 박의의 군대를 진압하며 1,500명 동원
1362년 - 개경 탈환전에서 2,000명 동원

1364년 - 최유의 군대를 격파할때 1,000여명 동원
1370년 - 1,600여명 정도가 1차 요동 원정에 동원



그 외에 사병을 동원한 기록이 딱히 없는 전투들도 있지만, 그 전투에서도 의형제이자 여진족인 '이지란' 등이 참여한 사실을 보면, 이들이 사병을 이끌고 합류했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입니다. 기록을 살펴보면 이성계는 전투에 나설때마다 자기 휘하의 사병 1,000명 정도는 무리없이 동원했고, 2,000명을 동원한 사례도 있습니다. '동원한' 병력만 2,000명이고, 이 사람들이 무슨 전부 기사집단도 아니고 평소에는 생업에 종사하기도 했을테니 실제로는 더 많다고 보면 됩니다. 이성계의 사병 집단의 숫자는 3,000명 정도로 추정됩니다.





일단 규모 자체도 대단한데, 또다른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이성계의 사병집단 중 대부분이 '정예기병' 이었다는 점입니다.




1. (공민)왕은 찬성사(贊成事) 최영(崔瑩)에게 명하여 날랜 군사[精兵]를 거느리고 안주(安州)로 빨리 가서 여러 군대를 지휘(指揮)하게 하고, 태조에게 명하여 동북면으로부터 날랜 기병[精騎] 1천 명을 거느리고 가게 하였다. 


2. 태조가 비장(裨將)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이를 치게 했더니, 비장이 돌아와서 아뢰기를,“바위가 높고 가팔라서 말이 올라갈 수가 없습니다.”


3. 적군이 최영을 쫓으니, 최영이 패하여 달아났다. 태조가 날랜 기병[精騎]을 거느리고 바로 나아가서 백연과 합세하여 쳐서 적군을 크게 부수었다. 최영은 적군이 쓰러져 흔들림을 보고는 휘하의 군사를 거느리고 나아가서 곁에서 적군을 치니, 적군이 거의 다 죽었으며 남은 무리는 밤에 도망하였다.

4.  태조는 장수와 군사들을 돌아보고 말하기를,“말고삐를 단단히 잡고 말을 넘어지지 못하게 하라.”하였다.

5. 적군이 태조를 두서너 겹으로 포위하니, 태조는 기병 두어 명과 함께 포위를 뚫고 나갔다. 





이성계가 기병을 동원한 여러 사례에 대한 기록들인데, 수 많은 전투에서 이성계가 활약하는 모습들인데 '활약' 은 과장이 있을 수 있으나, 그 활약이 대부분 '기병' 을 동원한 싸움으로 묘사되는 건 자체는 분명합니다. 즉 이성계의 싸움에 있어 기병은 떌 수 없는 요소였다는 걸 보여주는 부분인데..



가장 볼만한 기록은 첫번째 기록입니다. 첫번째 기록은 "내가 고려왕 하겠다." 며 쳐들어온 덕흥군의 침입 당시 고려 왕이었던 공민왕이 최영을 대장으로 삼아 적을 막게 하면서, 동시에 이성계에게 "동북면의 정예 기병 1천명을 이끌고 합류하라." 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고려의 왕이었던 공민왕이 이성계를 참전시키면서 유독 꼬집어 '정예기병을 합류시켜라.' 라고 하는가 하면, 그 동원하라는 기병의 숫자가 무려 1천명이나 된다는 점 등을 보면 동북면의 정예 기병이 당시에 이름이 났다고 보는 편이 합리적입니다. 앞서 이성계 사병 집단이 3천 명 정도 된다고 했는데, 게중에 동원할 수 있는 기병이 천명이 넘는다는 건 엄청난 비율입니다. 





자, 이제 이성계에게 상당한 숫자의 사병이 있었고, 그 사병의 많은 숫자가 기병이었다는 점까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또 어떤 요소가 있을까요?



CHezNiD.jpg


위치 비정은 역개루 앨런비님.




지도에 나온 포인트들은 여말선초 무렵, 이성계의 영향력 아래 있던 모든 여진족 부락들입니다. 이성계는 이 여진족들에게 엄청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어느정도냐 하면 왕이 되고 난 이후의 이성계가 북방의 조상들 무덤에 제사 좀 지내려고 하면 사방에 있던 여진족들이 "어르신이 오셨다고? 그럼 당연히 인사 하러 가야지" 하면서 백리길을 마다하고 달려오고, 평범한 여진족 부락의 사람들도 술 마시다가 얼큰히 취하면 "쓰읍!~ 어르신 있었을떄는 요 모양 요 꼴이 아니었는데~ 쓰읍!"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입니다(...)




고려 말의 모든 여진 부족들이 이성계의 영향력 아래 있지는 않았습니다. 가령 호바투 같은 여진족은 강력한 대항세력이긴 했지만, 특별한 경우를 빼면 대다수 여진족들은 이성계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고 보면 됩니다. 이를테면 이성계가 잠깐 동북면에서 자리를 비운 사이 반란을 일으킨 여진족 삼선, 삼개의 경우 이성계가 돌아오자마자 여진족 협력자들이 도망치거나 이성계 쪽으로 배신하는 바람에 반란을 실패한 적도 있었을 정도입니다.




또 이성계는 쓸만하지만 당장 세력이 곤궁한 여진족의 유력한 인물이나 부족에게 생필품을 지원해주거나 이주지를 마련해주기도 했는데, 누르하치의 조상인 맹가첩목아도 그렇게 이성계에게 도움을 받은 사람입니다. 



이렇게 고려 조정의 영향력은 일절 존재하지 않고, 이성계 개인의 카리스마와 가문의 영향력 아래 모인 여진족들은 평소에는 생업에 종사하다가 이성계가 "전쟁이다! 소집!" 하면 즉시 추장이 수십에서 수백 정도의 족원들을 데리고 "충성충성충성" 하며 몰려들었습니다. 그 숫자가 대략 1,500명 이상. 




이성계는 이런 여진 기병을 이끌고 전투에 나섰는데, 수 많은 전장에서, 특히 왜구를 상대로 이들의 전투력은 무시무시한 수준이었습니다.



Sl3LnH1.jpg



여진군을 이끌고 왜구를 막은 사례 중 하나. 여진족 부대들이 거의 악귀나찰 같은 모습으로 왜구를 무참하게 패배시키고 무지막지하게 학살하자, 보다못한 이성계가 "적당히 해라. 적이 불쌍하다." 라며 자제를 시켰다는 기록입니다. 흠좀무...



gSjQYLD.jpg






상당한 규모의 사병, 그 사병이 대부분 기병, 그리고 그 기병이 이민족인 여진족 정예 기병.... 여기까지만 해도 캐릭터성이 상당한데, 이성계 군단의 특수성은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바로 그 부대를 이끌고 있는 지휘관들 역시 굉장히 독특한 캐릭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대장인 이성계. 그 본인부터가 원나라와 고려의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가문의 후예로 변방의 장수로서 묘한 캐릭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의형제인 이지란. 이쪽은 아예 본인이 여진족입니다. 거기다 곰 같은 체구의 이성계와 달리 '아녀자와 같이 고운' 외모를 가졌다고 하며, 이성계의 명령을 받고 여진족 부락을 순회하며 그들을 다독일만큼 여진족 관리에 있어 이성계 부대에서 핵심을 담당하는 인물이었습니다.

측근인 조영규. 이쪽은 조상 가계도 불분명하며, 아마도 평민 출신으로 추정됩니다.

아들 이방과. 이성계의 아들 중에 몇 안되는 무골로 아버지를 전투의 지근거리에서 보필했습니다.

처명. 이 사람은 아예 이성계의 적이었다가 항복한 항장으로서, 이성계가 재주를 아껴서 일부러 죽이지 않고 "너! 내 동료가 되라!" 며 살려서 귀순시켰고 그 이후로는 이성계가 전투에 나설때마다 바로 지근거리에서 보필하며 싸운 인물입니다.

조무. 이 사람은 본래 원나라 군벌인 몽골인으로서, 역시 이성계의 적이었지만 이성계가 또 "너! 내 동료가 되라!" 를 시전해서 이성계에게 귀순, 그 밑에서 계속해서 복역하면서 싸웠습니다.

김인찬, 한충. 이 두 사람은 본래 농부로서, 우연히 이성계를 만나 그에게 식사를 대접하다가 이성계에게 감복해 무턱대고 그를 따라가 보필했고, 개국후 이성계의 친위대인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의 대장이 되었습니다. 밭갈다가 우연히 만난 장군 따라 친위대 대장이 된 겁니다.

먼터무(맹가첩목아) 등등의 여진족들 - 앞서 말했다시피, 이들은 이성계가 소집 명령을 내리면 곤도르의 봉화를 본 로한 기병들마냥 이성계의 곁으로 달려왔습니다.



그 외에도 수 많은 사람들이 있는데, 다들 당대 고려의 중앙정치에서 아웃사이더 취급을 받을 만한 사람들로서 농부, 개족보의 정체불명인, 여진족, 몽골인들이 모두 잡다하게 섞인 다민족 혼성부대 였습니다. 아지발도에도 이성계가 쩝쩝거리며 "내 동료가 되라" 를 시전하려 했지만 잘 안됬는데, 되었으면 일본인까지 더해져서 볼만했을듯..





이성계 군단의 성격에 대해서는 대략 설명했고, 다음은 전공에 대한 부분인데... 짤로 대신하겠습니다.


CaRAj1K.jpg





이성계 휘하의 다민족 혼성 군단은 그야말로 당시 고려의 북방과 남방을 가리지 않고 쉴새없이 오고가며 싸웠습니다. 지리산 유역, 경상도 부근, 경기도, 황해도, 함경도, 평안도, 압록강을 지나 요동성을 공격하기도 했고, 여진족-몽골 군벌-왜구 등 적을 가리지 않고 싸웠습니다.



그런데 이런 전투 역시 살펴보면 흥미로운 점이 있는데...



6ItDVnI.jpg

그림출처 : 1. 박의의 반란 진압

太祖以親兵一千五百人赴之, 儀已率其黨, 逃入江界, 盡捕誅之。

태조는 친병(親兵) 1천 5백 명을 거느리고 그곳에 가니, 박의는 벌써 그 무리를 거느리고 도망하여 강계(江界)로 들어갔으나, 다 잡아서 이를 목베었다.


2. 나하추의 침입 격파

於是大戰良久, 互有勝負

이에 한참 동안 크게 싸우니, 서로 이기고 짐이 있었다.


3. 최유, 덕흥군의 침입 격파

賊分爲三隊。 太祖居中, 手下老將二人爲左右, 各當其一隊奮擊之。

적병은 3대(隊)로 나누어 오매, 태조는 가운데 있고, 수하(手下)의 늙은 장수 두 사람을 좌군(左軍)과 우군(右軍)으로 삼아, 각기 그 1대(隊)를 대적하게 하여 용기를 내어 적을 쳤다.


4. 삼선, 삼개의 난 진압

與方信、貴, 三面進攻, 大破走之, 悉復和、咸等州。 三善、三介奔于女眞, 終不返。

한방신·김귀와 함께 삼면(三面)에서 전진해 공격하여 크게 부수어 그들을 달아나게 하고 화주(和州)와 함주(咸州) 등 고을을 수복하니, 삼선과 삼개는 여진 땅으로 달아나서 마침내 돌아오지 않았다.


5. 지리산 전투

遂鞭馬互馳, 觀其地勢, 卽拔劍用刃背打馬。 時日方中, 劍光如電, 馬一躍而登, 軍士或推或攀而隨。 於是奮擊之, 賊墜崖而死者太半, 遂擊餘賊盡殲焉。

드디어 말을 채찍질하여 함께 달려가서 그 지세(地勢)를 보고는 즉시 칼을 빼어 칼등으로 말을 때리니, 이때 해가 한낮이므로 칼빛이 번개처럼 번득였다. 말이 한번에 뛰어서 오르니, 군사들이 혹은 밀고 혹은 더위잡아서 따랐다. 이에 분발하여 적군을 냅다 치니, 적군이 낭떠러지에서 떨어져 죽은 사람이 반수 이상이나 되었다. 마침내 남은 적군까지 쳐서 이들을 다 죽였다.


6. 황산 전투

官軍乘勝馳上山, 歡呼皷譟, 震天地, 四面崩之, 遂大破之。

적군이 말을 버리고 산으로 올라가므로, 관군(官軍)이 이긴 기세를 타서 달려 산으로 올라가서, 기뻐서 고함을 지르고 북을 치며 함성을 질러, 소리가 천지(天地)를 진동시켜 사면에서 이를 무너뜨리고 마침내 크게 쳐부수었다.


7. 호바투 격퇴

太祖縱兵破之, 胡拔都僅以身遁去。

태조가 군사를 놓아 크게 적군을 쳐부수니, 호바투는 겨우 몸을 피해 도망해 갔다.


8. 함주 전투

賊徒分崩, 官軍乘之, 呼聲動天地, 僵尸蔽野塞川, 無一人得脫者

적의 무리가 무너지므로 관군(官軍)이 이 기세를 이용하여 고함소리가 천지를 진동하니, 넘어진 시체가 들판을 덮고 내를 막아, 한 사람도 빠져 도망한 자가 없었다.




일전에도 언급한 바 있지만, 이성계의 주요 전투를 살펴보면 '모든 전투' 가 "우랴!!!! 돌격!!!" 이후 "회전 한방!!" 으로 끝나는 전투였다는 점입니다. 당시 말이 아니었던 고려의 상황상 이성계의 전투는 요동 원정을 제외하곤 전부 '방어전' 이었는데, 그 모든 방어전을 수성이 아니라 오히려 일대 회전으로 극복했습니다. 심지어 기병을 쓰기에 지리상 여건이 좋지 않은 지리산 전투나 황산대첩의 경우에도, 수하장수들이 "적이 험지를 장악해 어렵습니다." 라고 하자 "닥치고 돌격" 을 시전해 기병을 이끌고 산세를 거슬러 올라 기어코 산위에서 진영을 짜고 있는 적을 문자 그대로 짓밞아 버려 승리했습니다.




또 이런 기병집단은 전투에 나설때의 기동력도 장난 아니었는데, 가령 요동 원정 당시에는 일일 40km를 주파하는 강행군을 펼치기도 했고, 지리산 전투 당시에는 이틀길을 하루만에 주파해 필사적으로 달려 위협에 처한 아군을 구원하고 전투의 향방을 바꾼 적도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마지막으로 더 소개해볼만한 부분이 하나 정도 남았는데... 개인적으론 이 부분이 가장 이성계 군단의 개성적인 부분이자, "간지폭풍" 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J2iD2xk.jpg






이성계 군단은 전투에 나설때마다 항상 대라(大螺)를 불며 진군했습니다. 당시 기록을 보면 이게 일반적이지 않고 다른 장수들은 대라를 쓰진 않았는데, 유독 이성계 군단만 대라를 불면서 전투에 나타났기에 곧 이는 이성계 군단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습니다. 절망적인 전투 상황에서 갑자기 대라 소리가 크게 울려퍼지면, 고려군이나 백성들은 그 소리만 듣고도 "이성계가 왔다!" 고 알게 되었고, 반대로 이성계와 수차례 싸우며 그 명성을 들은 왜구들은 대라 소리가 울려퍼지면 "이성계가 왔구나!" 하며 소리만 듣고도 놀랐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대라 소리가 울려퍼진 잠시 후엔 어김없이 수천의 기마병이 전장에 도착...




이튿날 바로 적이 주둔한 토아동(兎兒洞)에 이르러서, 동(洞)의 좌우에 군사를 매복시켜 두었다. 적의 무리가 먼저 동내(洞內)의 동산(東山)과 서산(西山)을 점거했는데, 멀리서 소라 소리[螺聲]를 듣고는 크게 놀라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이성계의 차거(硨磲) 로 만든 소라 소리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가 마침내 암방사(巖房寺)의 북쪽 고개로 올라가서 대라(大螺)를 한 차례 불게 하자 모든 부대들이 화원을 수백 겹으로 포위하고 최영을 내놓으라고 고함을 질렀다. 통상 전투를 벌일 때 다른 장수들은 대라를 사용하지 않았고 태조만이 선두에서 대라를 불게 했기 때문에 도성 사람들은 대라 소리만 듣고도 다들 태조의 부대가 도착했다고 알았으며....

- 고려사 우왕 14년




아이러니한 것은 그 대라 소리가 마지막으로 울려퍼진 기록이 다름 아닌 위화도 회군 이후 개경 전투 였다는 점입니다. 


1377년 해풍 전투 당시 최영이 이끄는 고려군은 왜구와 싸우다가 위기에 몰려 패퇴하는 상황까지 되었지만, 바로 그때 이성계 군단이 대라 소리와 함께 나타나 전황을 뒤집어 버린 적이 있었습니다. 여태까지 전투에서 대라 소리가 울려퍼질때마다 "아군이 왔다" 며 든든했을 최영 휘하의 부대원들이 개경 전투 당시에 대라 소리를 들었을때는 무슨 느낌이었을지...


sq8qZuY.jpg'>




지옥같은 난세의 여말. 전국이 전란으로 초토화되는 와중에, 동해번쩍 서해번쩍 하며 나타나는 다민족 혼성부대. 절망적인 상황을 대라 소리와 함께 뒤짚어 엎어 버리는 부대와 그 부대를 지휘하고 있는 여진족, 몽골인, 변방 출신 장수들...



 
적어도 캐릭터성으로 보면, 한국사 통틀어서도 손에 꼽을만한 집단이 아닌가 싶습니다. 공포의 외인구단 느낌도 나구요. 


* 라벤더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8-01 12:45)
* 관리사유 : 좋은 글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종합백과
17/03/30 02:0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추천 한방!
동굴곰
17/03/30 02:10
수정 아이콘
추천한방 누르고! 이성계는 무장으로의 모습이 나라를 세운거때문에 묻히는거같기도 합니다.
사르르
17/03/30 02:12
수정 아이콘
거참 멋있네요.
Arbitrator
17/03/30 02:19
수정 아이콘
태조의 즉위전 사병부대가 가별초라고 불리게 된건 훗날에 붙여진건 걸까요?
여우왕
17/03/30 10:23
수정 아이콘
가별초는 몽고어를 음차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찾아보니까 맞네요.

가베치(gabeci) :궁사 혹은 사병
선동가
17/03/30 02:21
수정 아이콘
글잘읽었습니다 참으로재미나네요~
어렸을적 위인전으로 최영읽었을땐
망해가는 고려최후의충신이고 싸움도잘하고 금도돌같이보고
이성계는 소위 빨갱이?로보였고 싸움도 최영보다못해서
비겁한수로 최영잡고 고려망하게했다느꼈는데
나이들고보니 또 다른것같습니다 오히려볼때마다
이성계의 군사적재질이 참뛰어나네요
엔조 골로미
17/03/30 02:25
수정 아이콘
이성계의 일화를 알면 알수록 무장이 이정도는 되야 나라를 세울수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반도의 역사에서 무장으로는 올타임 넘버원으로 뽑아도 될 만한 사람이 아닌가 싶어요
해가지는아침
17/03/30 02:39
수정 아이콘
정말 고려말은 준아포칼립스 상황같아요. 아무리 태조라고 해도 이성계의 전공은 무지막지한 것 같아요. 잘 보고 갑니다.
울어주기
17/03/30 02:57
수정 아이콘
간만에 정말 좋은 글을 읽은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파핀폐인
17/03/30 03:02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유익한 역사 글 너무 좋아요!
Paul Pogba
17/03/30 03:46
수정 아이콘
대라 부분은

창천항로 료라이 료라이 느낌인데요? 크크
17/03/30 04:03
수정 아이콘
혹은 로한 기병대의 뿔피리 느낌도 납니다 크크크
Nasty breaking B
17/03/30 04:40
수정 아이콘
새벽에 깨서 잠이 안 오던 차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추천하고 갑니다.
언어물리
17/03/30 05:04
수정 아이콘
용의눈물 보고 있었는데 마침 이 글이! 좋은 글 고맙습니다^^
말다했죠
17/03/30 05:13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작은기린
17/03/30 06:37
수정 아이콘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대륙에서 태어났다면 패왕의 자질을 가진 사내였겠죠?
아라가키
17/03/30 07:21
수정 아이콘
재미읽게 읽었습니다 생각이상으로 간지 철철이었네요 크크
MiguelCabrera
17/03/30 07:5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지다하카
17/03/30 08:0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제 기억속 정종의 이미지는 용의 눈물에서 보였던 모습이었습니다. 이방원의 눈치보면서 어쩔 수 없이 용상에 잠시 앉아 안절부절 못하는 약한 이미지.
근데 진성 무골이었군요. 권력욕이 없었을 뿐.
나이스
17/03/30 08:16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추천 드릴게요
17/03/30 08:17
수정 아이콘
유일한 패배가 아들이라니 크크
산울림
17/03/30 08:24
수정 아이콘
이성계 같은경우 군사적 능력도 탁월하지만 생사를 걸고 싸운 적을 내 편으로 만든다는 점이 진정으로 놀라운듯 합니다. 여진족의 경우도 숱하게 싸웠던 상대일텐데 최소 대족장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니..
17/03/30 08:30
수정 아이콘
역시 한 나라의 건국시초가 되기 위해서는 어느 쪽에서든지 독보적인 능력을 가져야하는군요
아이지스
17/03/30 08:40
수정 아이콘
황산 전투는 후대의 조선인들이 대체 이런 지형에서 태조는 어떻게 기병을 쓴 것인가? 라고 의문을 표할 정도로 기병이 활동하기 힘든 지형이었는데 그걸 이겼습니다
공안9과
17/03/30 08:49
수정 아이콘
이지란은 용의눈물과 정도전의 장비같은 캐릭터가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미남이었다니...크크
RedDragon
17/03/30 08:50
수정 아이콘
추천1 드립니다!
이성계가 괜히 조선을 세운게 아니라는 느낌이 들 정도의 고려말 상황이네요;;;
쪼아저씨
17/03/30 09:37
수정 아이콘
이지란이 여자와 같은 용모의 미남자였다니....
지금까지의 사극. 다 고증이 엉망이네요! 크크
뻐꾸기둘
17/03/30 09:38
수정 아이콘
캐릭터성으론 사실 이만한 인물도 없는데 사극에서 다뤄지는게 좀 아쉽죠.
타타리17
17/03/30 10:04
수정 아이콘
정종은 태종 때문에 실권도 없이 스윽 간판만 걸었다가 내려온 흐물흐물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버지의 무쌍을 도운 무골이었다니...
바스티온
17/03/30 10:25
수정 아이콘
충성 충성 충성 부분에서 왜 자꾸 이정현이 기억나는 건지..
화려비나
17/03/30 11:52
수정 아이콘
일부러 그거 패러디하신 게 맞을겁니다.
바스티온
17/03/30 12:2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저들은 장을 지질 일은 안 만들겠죠 크크
백화려
17/03/30 14:11
수정 아이콘
아직도 그양반 기억하는 분이 있다니.
놀랍군요~
17/03/30 10:28
수정 아이콘
반도의 로히림이군요 히히
좋은 글 감사합니다
17/03/30 10:31
수정 아이콘
오 재밌습니다
치열하게
17/03/30 10:45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었습니다!
백마탄 초인
17/03/30 11:09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나하추 침입은 대회전 가기전에 치고 빠지는 유격전부터 시작해서 유인전술등으로 이미 힘을 많이 빼고 이긴거 아닌가요?
닥돌하는 힘에 의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병 전술 운용도 훌륭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쓰고나니 진짜 먼치킨이네요;;; /하지만 그 아들이....
레스터
17/03/30 13:25
수정 아이콘
아들도 잔인했지만 훌륭한 군주였죠. 허허
17/03/30 12:56
수정 아이콘
여차했으면 동북면에 나라 하나를 세워도 될 법 했네요.
위치상으로는 발해의 뒤를 이을 수 있었겠어요. 만약 그랬다면 망조가 든 고려를 당대에 먹어치웠을지도 모르겠군요.^^
17/03/30 13:06
수정 아이콘
여말선초의 아라곤이라니
보통블빠
17/03/30 13:21
수정 아이콘
드라마 신돈에서도 덕흥군 쳐들어올때 조정에서는 당황하는데 이성계가 2천명의 결사대 가지고 다 쓸어버렸죠 크크.....
단순 훈련 잘된 사병인줄 알았는데 다국적 용병집단이었다니...
유스티스
17/03/30 14:00
수정 아이콘
이정도는 돼야...
17/03/30 15:01
수정 아이콘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근데 저만 그런가요? 이성계에게서 매력을 못 느끼고 오히려 비호감인것이.. 암만 봐도 역성혁명 반란군이잖아요. 것도 순수 한반도 출신이 아닌 외부세력의 힘을 빌려 들어온. 조선500년 역사가 없었다면 왕망이랑 뭐가 다른지도 모르겠습니다. 조선초기에 왕자의 난 2번일어날 동안 교통정리도 못하고..
사실 왕건도 제 기준으로 비호감입니다. 뭐랄까 최수종의 느낌함에 대한 반감인건지.. 단순 픽션사극에서 형성된 왕건의 이미지는 왕조의 태조라고 보기에는 유약한 이미지에요. 돌아가서 이성계.. 조선이 성공해서 망정이지 왕씨들 탄압한것은 가히 제노사이드급이고.. 물론 시대가 그랬다 하지만요(근데 또 중국에서는 조광윤이라는 착한이가..) 낼름먹었다고 밖에 생각이 안드네요. 유동근 아저씨 연기도 다들 호평일색이신데, 정도전에서의 이성계는 유유부단도 아니고 개그캐릭도 아니고.. 생소한 이북사투리연기에 반감만 생기더라구요. 흠 그냥 연기한배우가 제 기준에 안맞아서 그러는게 제일 큰것 같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7/03/30 16:53
수정 아이콘
그런 시각도 있을 수 있죠. 전 반대로 역성혁명 반란군이 뭐가 문제인가 싶거든요. 국민들이 선거해서 지도자 뽑는 것도 아니고
자기들끼리 투닥거리다 가장 센 놈이 미사여구 갖다붙여서 정통성 있는 척하고 자기 자식들 후손들 공식적으로 금수저 만들던 시절인데
다른 센 놈 나타나서 그거 갈아치우는게 뭐 어떤가 싶어서요. 중국도 망탁조의하는데 동탁이야 하도 짧은 기간에 미친 짓을 많이 해서
그렇다쳐도 군주 중에 조조 사마의보다 나은 인물이 몇이나 됐다고. 그냥 뻘짓해도 반란크리 먹기 싫으니까 몰이하는거죠.
17/03/30 18:41
수정 아이콘
위대한 창업군주들이랑.. 독재자랑 시대만 다르지 뭐가 다른지 모르겠는것도 크네요. 개인적으로 이승만 박정희의 공을 매우 높게 치는 사람인데, 대한민국이 망하고 한반도에 또다른 나라가 들어서면 또다른 재평가받을거라 생각합니다.우리가 대한민국국민이라 그들의 병크가 커보이는거지 후손들이 배울땐 다를거라생각하거든요 제가 뭔 헛소리하는건지 저도 모르겠네요.
왕건 이성계 태종 세조 주원장이나 이승만 박정희나 역사적 위인이 아닐까.. 그런점에서 너무 저평가 당하는것 같다.. 그렇다면 이성계도 나쁜놈!!!!!! 하하하
17/03/31 10:31
수정 아이콘
그 시대가 다른 게 큰겁니다.
대중들이 역사를 바라볼 때 가장 답답한 게 현대시대의 시각으로 자꾸 과거를 바라본다는 거..

그러니 세종대왕이 독재자니 하는 말도 안 되는 헛소리까지 나오는 거고요..
백화려
17/03/31 16:09
수정 아이콘
시대상황 생각하셔야죠.
전제군주와 독재자가 어찌 같을 수가 있습니까.
게다가 이승만 박정희는 왕이었어도 개차반이에요
IntiFadA
17/08/03 12:58
수정 아이콘
애초에 민주주의가 뭔지도 모르고 그냥 전제정치가 당연하고, 현대 사회에서는 저 북쪽 말고는 찾아볼 수 없는 권력의 세습 또한 당연한 시대에 일어나는 '힘으로 권력을 차지하는 것'과 민주주의 정치체제가 근간이 된 현대 사회에서의 쿠데타나 독재정치를 동일한 선상에 놓고 볼 수는 없지요.
young026
17/08/11 17:29
수정 아이콘
박정희는 관점에 따라 그렇게 볼 여지가 충분하겠지만 이승만은 글쎄요. 오히려 대한민국이라는 틀에서 더 높이 평가받을 요소가 큰 편이라고 봅니다. 그 틀을 떠나서 재평가하면 흔한 제3세계 초대 독재자 정도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겠죠.
17/08/12 15:58
수정 아이콘
창업군주라고도 볼 수 있으니까요... 통일대한민국이 대한민국이란 국호를 쓴다면 더 격이 올라가겠죠...? 그보다 갑작스런 답글에 놀랐습니다. 허허허 좋은 하루 되세요~
아우구스투스
17/03/30 20:10
수정 아이콘
유일하게 패한게 문관 출신에게 진건데 그게 자기 아들.
태조 태종 세종으로 이어진 세대는 엄청납니다.
거기에 문종도 세자시절 먼치킨이고 단종도 잘만 자랐...
17/03/30 20:46
수정 아이콘
독일군의 세계대전 때의 폭격기 '슈투카'의 사이렌 소리 같은 게 이성계의 '대라' 소리였을까요...

이성계는 솔직히 스스로의 인생 속에서는 고려를 뒤엎고 싶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만, 아들 때문에...

결과적으로야 권신으로 우리의 기억에 있는 것이 아니라, 태조 왕으로 기억속에 있는 것이긴 하겠지만서요.
숙청호
17/03/30 21:50
수정 아이콘
정말 재밌게 읽었습니다. 재미진 글 감사합니다.
남광주보라
17/03/31 03:46
수정 아이콘
양질의 글, 매우 잘 읽었습니다.

이성계도 분명 천하 명장인데, 어찌 사극에선 골골대는 뒷방구석 할애비로, 아들내미의 서슬퍼런 포스에 움츠리고 쫄아있는 모습으로 나와서 슬픕니다. .
백화려
17/03/31 16:12
수정 아이콘
실제로 말년에는 안습..
앙골모아대왕
17/08/03 20:44
수정 아이콘
어덯게 보면 이방원이 젊은 이성계 성격을 닮은거죠

결단력의 킬방원 정치력은 아버지도 보다 한수위 아닐가요???

전투력이나 지휘력은 아래일테지만요

거기다가 킬방원은 후사 문제도 가장 유능한 아들에게 인수하기 좋게 외척들 자기 부하들 자기손으로 정리하고

역대 최고 세종대왕을 탄생시킨 인물

이성계는 후사 문제가 늙어서 노망이 난 기분이죠

이방원에게 자연스럽게 가게 했어야죠

늙어서 얻은 여자하고 사이에 어린 아들에게 주다니

친아들 이방원이 능력이나 개국 공신이나 결정적 역활을 한게 여럿인데요

중국 왕들 중에는 아버지가 저렇게 노망 나면 유능한 아들이 아버지 죽이고 왕이 되더군요

그래도 이방원은 아버지를 시해하지는 않아서요

암튼 세종대왕의 아버지이지 기틀을 만든 이방원 킬방원 이지만 높게 평가 합니다
앙골모아대왕
17/08/03 20:32
수정 아이콘
광개토 대왕은 직속 부대 없었나요???

그냥 막연히 알려진 전체 역사로 따지면

칭기즈칸의 직속 친위대 나 수보타이 부대

칭기즈칸 전기보면 칸 호위부대 검은 갑옷에 검은 방패 직속 호위 부대가 있었다고 본 기억이 있어서요

물론 전투 부대는 아니고 호위병으로 기억합니다 3천명이던가??

또는 알렉산더 대왕의 친위대가 강력해보이는데 말이죠

암튼 이성계 같이 저 정도 사병은 되야 한나라 건국이 가능하군요

역사의 좋은 글 항상 감사합니다

저런 아버지한테 반기를 든 이방원도 역시 정말 상 남자군요

그러고 보니

칭기즈칸도 그 유명한 몽고 기병

광개도 대왕도 기병

알렉산더도 돌격기병이 있고

이성계도 기병 핵심전력이 있군요

남자의 로망은 기병 사령관???

고대의 기병은 지금의 공군 전력즘 될가요???
한쓰우와와
17/08/09 15:28
수정 아이콘
기병은 흔히 전차부대에 비교되지 않나요?
엘제나로
17/08/07 12:20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 아들이 더 사기에 그 손자는 더 사기라...
상승장군이던 이성계를 정면승부에서 고꾸라트린게 과거에서 합격한 문관출신 아들 이방원이라는게 놀라울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869 원말명초 이야기 (8) 붉은 천하 [12] 신불해8438 17/08/26 8438
2868 원말명초 이야기 (7) 결코 원하지 않았던 미래 [19] 신불해8611 17/08/25 8611
2867 원말명초 이야기 (6) 주원장이라는 사람 [24] 신불해11298 17/08/24 11298
2864 원말명초 이야기 (5) 대의멸친(大義滅親) [21] 신불해8950 17/08/23 8950
2863 원말명초 이야기 (4) 다모클레스의 칼 下 [25] 신불해8723 17/08/22 8723
2862 원말명초 이야기 (3) 다모클레스의 칼 上 [14] 신불해8707 17/08/21 8707
2861 원말명초 이야기 (2) 황제 시해범 [22] 신불해9903 17/08/20 9903
2860 원말명초 이야기 (1) 시대의 끝, 시대의 시작 [26] 신불해12006 17/08/19 12006
2856 세계를 정복한 최강의 제국, 여기에 맞서던 지상 최대의 장벽 [168] 신불해53271 17/07/26 53271
2852 "백만이 죽건, 천만이 죽건, 오천만이 죽건 오늘도 계속 굴러간다." [59] 신불해26092 17/06/29 26092
2845 정몽주 "피눈물을 흘리며, 신이 하늘에 묻겠습니다." [37] 신불해20974 17/05/23 20974
2840 한국사 최강의 전투 부대 중 하나, 이성계의 사병 집단 [59] 신불해26085 17/03/30 26085
2838 최초로 삼국지를 본 서양인들, 그들의 눈에는 어떻게 보였을까 [34] 신불해32132 17/03/06 32132
2831 의문의 고대 시절 전세계 최강의 패권 국가 [51] 신불해39610 17/02/11 39610
2829 황제의 아들을 두들겨 패고 벼슬이 높아지다 [27] 신불해24239 17/02/09 24239
2828 한국 사극을 볼때마다 늘 아쉽고 부족하게 느껴지던 부분 [110] 신불해28933 17/02/06 28933
2825 조명되지 않는 한국사 역사상 역대급 패전, 공험진 - 갈라수 전투 [51] 신불해24601 17/02/01 24601
2821 명나라 시인 고계, 여섯 살 딸을 가슴 속에 묻고 꽃을 바라보다 [20] 신불해15375 17/01/18 15375
2815 임칙서, 그리고 신사의 나라. [57] 신불해17330 16/12/29 17330
2810 우리 집에 어느날 누가 찾아왔다. 그런데.... 그 사람이 황제다. [32] 신불해26945 16/12/04 26945
2697 정도전은 정말로 죽기 전에 '절명시' 를 남겼던 걸까 [11] 신불해12828 15/12/30 12828
2685 조선 왕조의 영의정, 조준에 대한 이모저모 [29] 신불해14390 15/12/07 14390
2554 '역사' 라는 주제를 다루며 함부로 말하지 말아야 한다고 느꼈던 순간 [42] 신불해18718 14/08/07 187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