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4 12:20:17
Name 통풍라이프
Subject [질문] 산재 신청을 진행해 보신 분들께 여쭤봅니다.
1. 제가 다소 유약한 걸 수도 있지만, 일단 산재를 신청하게 될 경우 사측과 어느 정도로 관계가 악화되는 지가 궁금합니다. 사측에서는 저의 산재를 일단 곤란하다고 말한 상태입니다. 산재 시 보상받을 금액은 사실 크지는 않습니다. 100 만원 이하입니다. 그리고 제 병명은 수근관 증후군인데 이게 산재 승인을 받을 확률이 낮다는 것 역시 알고 있습니다.

2. 근로 공단에서 회사 측에 반론 기회를 주고 업무 환경 조사를 진행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회사 측에서 제 산재 신청에 반론을 한다면 어떤 형태로 진행이 되나요? 위에 말씀드렸듯 제가 산재 신청을 할 경우 병명은 수근관 증후군인데, 일단 회사에서는 '네가 전에 손을 많이 안 쓰는 생활 습관을 가졌다면 모르겠으나, 너도 알다시피 너는 입사 전에도 코딩, 학습, 게임 등으로 손을 많이 썼다. 수근관 증후군이 회사에서의 과로로 심화되었을 수는 있으나 회사에서의 업무로 생긴 병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어차피 산재를 해도 안 될 거다.' 라고 말하며 회사 측에서의 산재 신청을 거절하긴 했습니다.

제가 궁금한 건 사측이 반론 시 어떤 논리와 방법을 사용하며, 그게 어느 정도로 서로 감정을 악화시키고 진흙탕 싸움이 되는 지 입니다.

- 위와 동일한 이유로 사측 책임이 없다고 한다.
- CCTV 를 뒤져 일일히 손을 사용하는 업무량을 점검 후 근무 시간 대비 손을 사용한 적이 많지 않다고 한다.
- 해당 PC 의 기록을 가져와 게임 등이 깔려있는 것을 지적하며 온전히 업무에 의해 촉발된 과로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 사측에 협조적인 인물들을 통해 'XX 는 일을 할 때 손을 그다지 사용하지 않았다' 라는 증언을 받는다
- 상기 모든 요인의 혼합

어떻게 보면 첫 번째 질문의 연장선상이기는 한데, 반론과 그에 대한 제 반박등이 어느 정도로 격렬하게, 좀 나쁘게 말하면 어느 정도로 저열하게 진행되는 지 궁금합니다. 만약 100 만원 이상의 감정 소모 및 피로감을 가지게 되는 일이라면 산재 신청을 재고해 보고자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24 12:39
수정 아이콘
음, 자격미달(신청을 진행하지는 않았습니다)이라 답변드리긴 애매하긴 한데, 저같은 경우는 산재 신청 문의 -> 상해로 하면 안되겠냐, 보상은 동일하다 -> 콜, 상해로 하겠음 -> 보상 비용이 20만원 언더(손목 뼈에 금이 가서 깁스 한 2주 했습니다) -> 진단서 끊고 뭐하고... 다 귀차늠... 안함...

이었는데, 저도 잘은 모르지만 회사 측에서는 산재보다 상해가 더 나은가봅니다. 혹시 그런 쪽(산재 대신 상해로 신청)으로는 답변받으신 게 없으신지요.
통풍라이프
17/03/24 14:37
수정 아이콘
네, 그런 쪽으로는 하지 않았습니다. 터널 증후군이 인과 관계가 명확한 질병이 아니라 회사 측에서는 산재든 상해든 책임없음으로 가려는 것 같네요.
17/03/24 20:55
수정 아이콘
회사측에서 산재에 민감한이유는 간단합니다 노동청때문인데요
산재가 1년에 일정숫자이상의 산재가 발생하면 노동청이 재해를 직접관리하게되고 산재보험요율도 오르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장기적으로 치료를 요하다고 판단이 되시는게아니라면 상해처리로해서 공상처리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아마 회사측이 산재에대해 날인거부를 한모양인데요
회사진술시 근로계약서 출퇴근현황 업무내용등의 진술을 요구하며 날인거부의 사유를 물어볼텐데요
본인의 건강검진시 혹은 회사에 진술이외에는 업무에 의한 재해라는게 입증도 어렵고 업무에 의한 재해가 아니라는것도 입증키어렵습니다
요즘은 그런경우 근로자의 편을들어주는 경우가 늘긴늘었는데 그래도 사무직의 재해를 산재는 제경험상 받기 어려울것으로 생각됩니다 근속기간도 길지않은것도 그렇고요
저는 할수있다면 공상처리해서 원만하게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통풍라이프
17/03/24 21:44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967 [질문] 원산폭격 실제로 해보신 분 계신가요? [29] 솔지5890 17/03/24 5890
99966 [질문] 플래닛코스터 튕김현상이... 그렇구만3346 17/03/24 3346
99965 [질문] 스트리머(혹은 bj나 pd...?) 간 친목질이 문제된 적 있나요? [6] 영원한우방6060 17/03/24 6060
99964 [질문] 모니터 질문입니다. Naked Star2146 17/03/24 2146
99963 [질문] 애터미란 회사 아시나요? [15] Cand5103 17/03/24 5103
99962 [질문] 스타 유즈맵 랜덤디펜스 비슷한 게임 있나요? tjsrnjsdlf2595 17/03/24 2595
99960 [질문] 인스타 쓰시는 분들 계신가요? 게시물이 잘 안올라갑니다. [1] 무무무무무무5214 17/03/24 5214
99959 [질문] [삼국지] 유비가 일찍 죽었다면 촉이 천하통일 했을까요? [39] 토이스토리G4541 17/03/24 4541
99958 [질문] 무신론자와 기독교인의 결혼생활은 보통 어떠한가요? [60] 솔로몬의악몽10018 17/03/24 10018
99957 [질문] 아버지의 친구는 어떻게 호칭해야되나요? [27] 갱생15419 17/03/24 15419
99956 [질문] 수학 공부에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9] 오늘보다 나은 내일3664 17/03/24 3664
99955 [질문] 아이러브스타크래프트 질문이에요 교자만두2069 17/03/24 2069
99954 [질문] 공부, 공부법, 학습 등에 대한 좋은 글 있을까요? [4] 성소3693 17/03/24 3693
99953 [질문] 애플뮤직 질문 [6] Neo2159 17/03/24 2159
99951 [질문] 악보 질문입니다!+기타(조 옮김에 관하여) [6] Dreamlike3469 17/03/24 3469
99950 [질문] 침대 프레임은 오래써도 상관 없나요? [2] Fysta2325 17/03/24 2325
99949 [질문] LaTeX 발음 어떻게 하시나요? [15] 꼭두서니색4968 17/03/24 4968
99948 [질문] 원인 모를 증상 두가지가 있어요. [2] 송하나2878 17/03/24 2878
99947 [질문] [lol] 어느 티어정도까지 가면 인베를 체크하나요? [17] 스터너3529 17/03/24 3529
99946 [질문] 스팀 할인중인 fm2017 질문입니다. [11] 카서스3545 17/03/24 3545
99945 [질문]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관련 질문입니다. 킹보검1776 17/03/24 1776
99943 [질문] 인터넷 간헐적 끊김, 느려짐, 핑테스트에 대해 [2] 5889 17/03/24 5889
99942 [질문] 급경사지의 사유시설에 관한 법 질문입니다 장미베개1816 17/03/24 18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