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4 10:46:37
Name codin
Subject [질문] 미래에 외국어공부는 과연 필요한가?
구글번역처럼 인공지능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지요.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많은 직업 중에 번역통역 쪽도 빠르게 포함될 것이라 보는 시각들이 있는데요.

미래에는, 일반인들은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지게 될까요?
아니면 여전히 외국어 능력자의 이점은 유지되고, 영어유치원이나 토익이 유행하고 있을까요?

만약 전자라면, 얼마나 먼 미래일까요? 10년? 100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24 10:51
수정 아이콘
사실 그렇게 따져서 통번역이 대체될 정도면 이미 사무직,기술직은 80% 이상 대체될 것이기 때문에 더 적절한 질문은 뭘 공부해야 하는가?라고 봅니다. 안그래도 요즘 금융업계에서도 금융 관련 프로그래밍 세미나를 할 정도기 때문에;; 이보다 덜 지식집약적인 기타 사무직종들은 결딴난거죠 이미.
무무무무무무
17/03/24 10:53
수정 아이콘
번역의 질이 문제지 음성인식이나 발음은 지금도 지원되고 있으니....
외국 가서 사는 목적이 아니라면 아주 길게봐야 한 세대 안에 외국어 능력의 효용성은 사라지리라고 봅니다.

다만 외국에서 사는 게 목적이라면 바로바로 대화가 가능해야 하니까 중간에 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인공지능은 아무래도 걸림돌이 되겠죠.
Paul Pogba
17/03/24 11:05
수정 아이콘
외국어가 아니라 노동자 닝겐을 대체할 날이 머지 않았죠....
사나없이사나마나
17/03/24 11:05
수정 아이콘
번역기와 통역기의 수명은 좀 다를 것 같아요. 번역기는 생각보다 빠르게 대체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통역기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얼마나 간편하냐에 따라 달라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통역은 그리 쉽게 대체될 것 같지는 않아요. 통역의 속도나 정확도가 그렇게까지 정확할 수 있을까에 의문이 들어요. 또한 아무리 통번역이 된다고 해도 그걸 감수를 안 할 수는 없을테니 감수할 사람도 필요하긴 하겠죠. 어느 정도의 이점은 유지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17/03/24 11:16
수정 아이콘
10년 봅니다.
지금부터 10년전인 2007년에 아이폰 1이 나왔었고 2017년인 지금은 갤럭시 덱스 상용화 직전이죠.
아마존 슈퍼마켓도 그렇고, 1인용 드론, vr, 클라우드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현실화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기기의 성능을 발전시키던 성장기였다면, 앞으로는 생활을 대체하는 기술발전이 급속도로 발전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속도가 상상력을 뛰어넘으려는 수준입니다.
아만자
17/03/24 11:18
수정 아이콘
너무 당연하게도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지고 단지 시간 문제라는건 누구나 인정할 겁니다.
100년까지 걸리진 않는 것 또한 너무 당연해 보이고요.
제 예상으로는 5년 후면 가시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우리나라 정규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번역을 훨씬 잘하는 수준)
10년 정도 후면 학교에서 영어 과목이 다른 과목으로 바뀌거나 바꾸는 준비를 하지 않을까 합니다.
17/03/24 11:32
수정 아이콘
번역기보다 고수준의 외국어능력을 가져서 번역기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입장에 서는 소수의 사람만 남을겁니다
그보다 아래 수준의 외국어능력은 그 가치를 점점 잃겠죠
RedDragon
17/03/24 11:40
수정 아이콘
요새 갓글번역기에 너무 익숙해졌어요.. 크크크 번역은 이미 실생활에 활용될 정도고 이게 사회 전분야에 들어오는 시기문제일 거라고 봅니다.
빨리 번역 기술이 더 발전되서 정발 안되는 게임들 다 해보고 싶네요 ㅠㅠ
이 짐승에게 먹이를 주지마세요
17/03/24 13:16
수정 아이콘
최소 20년봅니다. 개인적으론 빨라야 30년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011 [질문] 노무현대통령의 정치적유산이 그렇게 큰가요? [16] Gloomy3881 17/03/26 3881
100010 [질문] 국내힙합 이건개쩐다! 추천부탁드립니다 [18] 인생은진리3692 17/03/26 3692
100009 [질문] 카카오톡 이전 백업 파일을 어디다 넣어야하나요? 풋사과2281 17/03/25 2281
100008 [질문] 컴알못이 견적 한번 짜봤습니다. 지적,조언 부탁드립니다. [8] hk11615767 17/03/25 5767
100006 [질문] 예전에 읽었던 학습만화를 찾습니다... [2] Danial1753 17/03/25 1753
100005 [질문] 샘소나이트 캐리어 둘중 골라주세요. [7] 아가미라이토2852 17/03/25 2852
100004 [질문] VR체험방 질문입니다!! [1] 빅픽쳐2219 17/03/25 2219
100003 [질문] 방탄소년단 인기 있는 이유가 뭔가요? [15] char6302 17/03/25 6302
100002 [질문] 바닥한기 대처용으로 은박시트? 깔 경우 스핔스핔2435 17/03/25 2435
100001 [질문] 동해도 여의도 본점 맛이 괜찮나요? [3] 삭제됨3125 17/03/25 3125
100000 [질문] 아파트 분양권 매매 방법 [6] F.Nietzsche4328 17/03/25 4328
99999 [질문] skt vs 삼성 경기 못 봤는데 봇 라인전 어땠나요? [6] 광기패닉붕괴3498 17/03/25 3498
99998 [질문] 스타1 실행시 자동 종횡비 질문입니다. [4] 아가미라이토3304 17/03/25 3304
99997 [질문] 국내 비트코인 거래소 추천 부탁드려요! [5] 성기사7563 17/03/25 7563
99996 [질문] 동영상 인코딩 관련 질문 [1] 녹차킷캣2148 17/03/25 2148
99995 [질문] 영어 어학연수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으시나요? [3] 새강이2258 17/03/25 2258
99994 [질문] 컴퓨터 요즘 부품들 성능 비교,차이 간단하게 나타낸 사이트 없나요? [2] hk11612256 17/03/25 2256
99992 [질문] 엑셀에서 그래프 표현 방법 질문드립니다 (계단식 그래프) 밤공기4362 17/03/25 4362
99991 [질문] 2012 롤챔스 섬머 보는방법 소주의탄생2397 17/03/25 2397
99990 [질문] 해외에서 다음팟 시청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Unknown Verses4038 17/03/25 4038
99989 [질문] 이동식 에어컨을 창문 위에 올려놓을 경우? [4] 천국와김밥7676 17/03/25 7676
99988 [질문] 기프티콘으로 선물 줘보려고하는데요. [8] 물리쟁이2057 17/03/25 2057
99987 [질문] 다크소울3 구매관련 [6] I.O.I2811 17/03/25 28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