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4 10:46:37
Name codin
Subject [질문] 미래에 외국어공부는 과연 필요한가?
구글번역처럼 인공지능의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지요.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많은 직업 중에 번역통역 쪽도 빠르게 포함될 것이라 보는 시각들이 있는데요.

미래에는, 일반인들은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지게 될까요?
아니면 여전히 외국어 능력자의 이점은 유지되고, 영어유치원이나 토익이 유행하고 있을까요?

만약 전자라면, 얼마나 먼 미래일까요? 10년? 100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예쁜여친있는남자
17/03/24 10:51
수정 아이콘
사실 그렇게 따져서 통번역이 대체될 정도면 이미 사무직,기술직은 80% 이상 대체될 것이기 때문에 더 적절한 질문은 뭘 공부해야 하는가?라고 봅니다. 안그래도 요즘 금융업계에서도 금융 관련 프로그래밍 세미나를 할 정도기 때문에;; 이보다 덜 지식집약적인 기타 사무직종들은 결딴난거죠 이미.
무무무무무무
17/03/24 10:53
수정 아이콘
번역의 질이 문제지 음성인식이나 발음은 지금도 지원되고 있으니....
외국 가서 사는 목적이 아니라면 아주 길게봐야 한 세대 안에 외국어 능력의 효용성은 사라지리라고 봅니다.

다만 외국에서 사는 게 목적이라면 바로바로 대화가 가능해야 하니까 중간에 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인공지능은 아무래도 걸림돌이 되겠죠.
Paul Pogba
17/03/24 11:05
수정 아이콘
외국어가 아니라 노동자 닝겐을 대체할 날이 머지 않았죠....
사나없이사나마나
17/03/24 11:05
수정 아이콘
번역기와 통역기의 수명은 좀 다를 것 같아요. 번역기는 생각보다 빠르게 대체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통역기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얼마나 간편하냐에 따라 달라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통역은 그리 쉽게 대체될 것 같지는 않아요. 통역의 속도나 정확도가 그렇게까지 정확할 수 있을까에 의문이 들어요. 또한 아무리 통번역이 된다고 해도 그걸 감수를 안 할 수는 없을테니 감수할 사람도 필요하긴 하겠죠. 어느 정도의 이점은 유지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17/03/24 11:16
수정 아이콘
10년 봅니다.
지금부터 10년전인 2007년에 아이폰 1이 나왔었고 2017년인 지금은 갤럭시 덱스 상용화 직전이죠.
아마존 슈퍼마켓도 그렇고, 1인용 드론, vr, 클라우드 상상도 못했던 일들이 현실화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기기의 성능을 발전시키던 성장기였다면, 앞으로는 생활을 대체하는 기술발전이 급속도로 발전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속도가 상상력을 뛰어넘으려는 수준입니다.
아만자
17/03/24 11:18
수정 아이콘
너무 당연하게도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어지고 단지 시간 문제라는건 누구나 인정할 겁니다.
100년까지 걸리진 않는 것 또한 너무 당연해 보이고요.
제 예상으로는 5년 후면 가시적으로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우리나라 정규교육을 받은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번역을 훨씬 잘하는 수준)
10년 정도 후면 학교에서 영어 과목이 다른 과목으로 바뀌거나 바꾸는 준비를 하지 않을까 합니다.
17/03/24 11:32
수정 아이콘
번역기보다 고수준의 외국어능력을 가져서 번역기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입장에 서는 소수의 사람만 남을겁니다
그보다 아래 수준의 외국어능력은 그 가치를 점점 잃겠죠
RedDragon
17/03/24 11:40
수정 아이콘
요새 갓글번역기에 너무 익숙해졌어요.. 크크크 번역은 이미 실생활에 활용될 정도고 이게 사회 전분야에 들어오는 시기문제일 거라고 봅니다.
빨리 번역 기술이 더 발전되서 정발 안되는 게임들 다 해보고 싶네요 ㅠㅠ
이 짐승에게 먹이를 주지마세요
17/03/24 13:16
수정 아이콘
최소 20년봅니다. 개인적으론 빨라야 30년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034 [질문] 스타크래프트 질문 2개 합니다. [4] 톰 요크2546 17/03/26 2546
100033 [질문] 혹시 '호가든'님의 합격 수기 갖고 계신 분 있으신가요? [3] 성소3658 17/03/26 3658
100032 [질문] 스타 리마스터링 이후에 [3] Notorious3538 17/03/26 3538
100031 [질문] 노알못이 노래방에서 부를수있는 노래 [14] 따루라라랑4377 17/03/26 4377
100030 [질문] 서울 장소 ? 질문 [2] 청학동1726 17/03/26 1726
100029 [질문] DP 단자가 달려있는 27인치 모니터가 있을까요? [14] AirQuick2557 17/03/26 2557
100028 [질문] 모바일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히스조커2528 17/03/26 2528
100027 [질문] 갤럭시노트5 저랑 같은 증상 있으신 분 있나요? [6] RookieKid4561 17/03/26 4561
100026 [질문] 노트북에서 이어폰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요. 토구백2496 17/03/26 2496
100025 [질문] 책 인쇄 밀물썰물1557 17/03/26 1557
100024 [질문] 건축현장에 안전문제를 어디에 신고해야 하나요? [3] 달토끼1851 17/03/26 1851
100023 [질문] 15년 된 인삼주에 곰팡이가 펴버렸습니다. [2] 동네노는아이5553 17/03/26 5553
100022 [질문] 엑셀 그래프에서 숫자 표기 어떻게하나요? [1] 울어주기1881 17/03/26 1881
100021 [질문] 제가 쓸수 있는 연차는 며칠일까요 [13] 핸드레이크3036 17/03/26 3036
100020 [질문] 횡성 한우마을 가성비 좋나요? [13] 박현준5003 17/03/26 5003
100019 [질문] 동영상 촬영이 잘 되는 스마트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별이돌이3185 17/03/26 3185
100018 [질문] 간단한 영어작문 부탁합니다 [4] 프리템포1781 17/03/26 1781
100017 [질문] 공룡 이름 좀 알려주세요~ [2] 설탕가루인형형1849 17/03/26 1849
100016 [질문] 디아블로3 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1842 17/03/26 1842
100015 [질문] 런닝화 입문하려 하는데 싸이즈 보통 크게 신나요?? [4] 피스~8835 17/03/26 8835
100014 [질문]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실 분 없으실까요. [17] Beyond4392 17/03/26 4392
100013 [질문] 무협지 제목을 하나 찾고 있습니다. [4] 굼시2710 17/03/26 2710
100012 [질문] 시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issNothing1962 17/03/26 19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