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3 20:03:17
Name shovel
Subject [질문] 아파트 분양 관련 질문입니다
유게에 묘지 옆 아파트 이야기 보고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우리는 아파트 짓기 전에 미리 사잖습니까? 이걸 선분양이라고 하는 것 같던데
원래 이 제도가 없었다가 70년대에 도입이 되었다고 하더라구요?
세계적으로도 드물다고 하는데 왜 우리나라만 선분양을 고집하는 것인가요?
검색해봐도 후분양 하면 `아파트 가격 올라갈걸?` 이런 이야기밖에 없어서... 잘 아시는 분들께 여쭤봅니다

생각해보면 부실공사라던지, 재개발 때 분양가라던지, 유게의 사례라던지 이런 부분을 후분양으로 하면 다 해소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정말 오로지 건설사들이 자기 돈 없어서 (?) 내지는 아파트 가격을 억제하기 위해서 (?) 선분양을 끌고 가는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쥴레이
17/03/23 20:20
수정 아이콘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50318000461

기사 보니 1970년대에는 집이 모잘라서 먼저 신청 받고 지었던거 같네요.
그게 지금까지 내려온거 같습니다.
이쥴레이
17/03/23 20:23
수정 아이콘

국가기록원에서 비슷하게 이유가 나오네요.


http://theme.archives.go.kr/next/education2010/house04.do

한국에서 지어지는 신규 아파트는 독특한 제도를 통해서 분양되고 있다. 이른바 선분양제도이다. 아파트가 완공되기 전에, 심지어는 착공만 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팔린다. 신규 아파트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입주하기 약 3년 전에 미리 분양을 받아서, 선금, 중도금, 잔금을 연차적으로 납부해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의 모든 신규 아파트는 이런 제도를 통해서 분양되어 왔다. 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업체는 자기 자본이 별로 없어도 아파트를 건설할 부지만 확보하면 나머지 건립비용을 구매자들이 미리 지급하는 자금으로 충당할 수 있다. 그만큼 선분양 제도는 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업체에게 유리하게 작용해왔다. [이 제도의 등장배경은 주택이 부족한 상황에서 단시간 내에 아파트를 대량공급하기 위해서는 건설업체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는 것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주택이 부족한 시대는 지났다. 선분양 제도는 한 시대에 필요했던 제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제는 그 존립근거를 잃어버렸다. 새로운 제도가 나와야 할 것이다.
17/03/24 13:0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7/03/23 22:39
수정 아이콘
일단 우리나라는 아파트가 주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높은 편인데, 지금 상황에서 후분양제가 도입되면 건설사들은 소위 돈되는 입지 외엔 공급을 줄일 겁니다. 수요적은 지방에 지었다가 분양안되면 대출금 및 이자 부담이 상당하니까요. 공급이 줄어든만큼 공급되는 일부 지역의 아파트는 더 비싸지겠죠.

사실 다른 나라랑 단순비교하기가 어려운게, 한국의 아파트와 해외의 아파트는 아예 다르다고 봅니다.
17/03/24 13:1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막줄에 일리가 있어 보이는데 그렇다면 드는 의문이 해외에서는 아파트 중에서 한국 형태를 따라가는 국가가 아무도 없는 건가요?
17/03/24 13:41
수정 아이콘
지금 검색하는데 잘 안나오네요.
일단 우리나라 주택 중 아파트 비중이 1995년 37.7프로에서 2015년 59.9프로로 증가해서, 대표적인 주택형태라 볼 수 있고요. EU 평균이 40프로를 하회하는 수준입니다. 미국이나 호주는 그보다 훨씬 낮을것 같고요.

다른 지역에서는 좁은 공간에 모여사는 시스템이다보니 서민층이 주로 입주하는 곳인데 우린 소득 상위계층도 선호하고 있고 타국가보다 편의시설도 훨씬 잘 갖춰져있습니다(최근 지은 캐슬 파크 더샵 등을 떠올리시면 될것같습니다.)

비슷한 형태로는 아마 홍콩이나 대만과 형태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파트 관련된 서적들 찾아보시면 더 구체적인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거같네요 흐흐
17/03/24 17:0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0011 [질문] 노무현대통령의 정치적유산이 그렇게 큰가요? [16] Gloomy3883 17/03/26 3883
100010 [질문] 국내힙합 이건개쩐다! 추천부탁드립니다 [18] 인생은진리3693 17/03/26 3693
100009 [질문] 카카오톡 이전 백업 파일을 어디다 넣어야하나요? 풋사과2283 17/03/25 2283
100008 [질문] 컴알못이 견적 한번 짜봤습니다. 지적,조언 부탁드립니다. [8] hk11615768 17/03/25 5768
100006 [질문] 예전에 읽었던 학습만화를 찾습니다... [2] Danial1754 17/03/25 1754
100005 [질문] 샘소나이트 캐리어 둘중 골라주세요. [7] 아가미라이토2853 17/03/25 2853
100004 [질문] VR체험방 질문입니다!! [1] 빅픽쳐2219 17/03/25 2219
100003 [질문] 방탄소년단 인기 있는 이유가 뭔가요? [15] char6302 17/03/25 6302
100002 [질문] 바닥한기 대처용으로 은박시트? 깔 경우 스핔스핔2435 17/03/25 2435
100001 [질문] 동해도 여의도 본점 맛이 괜찮나요? [3] 삭제됨3126 17/03/25 3126
100000 [질문] 아파트 분양권 매매 방법 [6] F.Nietzsche4328 17/03/25 4328
99999 [질문] skt vs 삼성 경기 못 봤는데 봇 라인전 어땠나요? [6] 광기패닉붕괴3501 17/03/25 3501
99998 [질문] 스타1 실행시 자동 종횡비 질문입니다. [4] 아가미라이토3305 17/03/25 3305
99997 [질문] 국내 비트코인 거래소 추천 부탁드려요! [5] 성기사7564 17/03/25 7564
99996 [질문] 동영상 인코딩 관련 질문 [1] 녹차킷캣2148 17/03/25 2148
99995 [질문] 영어 어학연수에 대한 정보는 어디서 얻으시나요? [3] 새강이2259 17/03/25 2259
99994 [질문] 컴퓨터 요즘 부품들 성능 비교,차이 간단하게 나타낸 사이트 없나요? [2] hk11612257 17/03/25 2257
99992 [질문] 엑셀에서 그래프 표현 방법 질문드립니다 (계단식 그래프) 밤공기4362 17/03/25 4362
99991 [질문] 2012 롤챔스 섬머 보는방법 소주의탄생2398 17/03/25 2398
99990 [질문] 해외에서 다음팟 시청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Unknown Verses4038 17/03/25 4038
99989 [질문] 이동식 에어컨을 창문 위에 올려놓을 경우? [4] 천국와김밥7676 17/03/25 7676
99988 [질문] 기프티콘으로 선물 줘보려고하는데요. [8] 물리쟁이2057 17/03/25 2057
99987 [질문] 다크소울3 구매관련 [6] I.O.I2811 17/03/25 28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