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23 20:03:17
Name shovel
Subject [질문] 아파트 분양 관련 질문입니다
유게에 묘지 옆 아파트 이야기 보고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우리는 아파트 짓기 전에 미리 사잖습니까? 이걸 선분양이라고 하는 것 같던데
원래 이 제도가 없었다가 70년대에 도입이 되었다고 하더라구요?
세계적으로도 드물다고 하는데 왜 우리나라만 선분양을 고집하는 것인가요?
검색해봐도 후분양 하면 `아파트 가격 올라갈걸?` 이런 이야기밖에 없어서... 잘 아시는 분들께 여쭤봅니다

생각해보면 부실공사라던지, 재개발 때 분양가라던지, 유게의 사례라던지 이런 부분을 후분양으로 하면 다 해소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정말 오로지 건설사들이 자기 돈 없어서 (?) 내지는 아파트 가격을 억제하기 위해서 (?) 선분양을 끌고 가는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쥴레이
17/03/23 20:20
수정 아이콘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50318000461

기사 보니 1970년대에는 집이 모잘라서 먼저 신청 받고 지었던거 같네요.
그게 지금까지 내려온거 같습니다.
이쥴레이
17/03/23 20:23
수정 아이콘

국가기록원에서 비슷하게 이유가 나오네요.


http://theme.archives.go.kr/next/education2010/house04.do

한국에서 지어지는 신규 아파트는 독특한 제도를 통해서 분양되고 있다. 이른바 선분양제도이다. 아파트가 완공되기 전에, 심지어는 착공만 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팔린다. 신규 아파트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입주하기 약 3년 전에 미리 분양을 받아서, 선금, 중도금, 잔금을 연차적으로 납부해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의 모든 신규 아파트는 이런 제도를 통해서 분양되어 왔다. 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업체는 자기 자본이 별로 없어도 아파트를 건설할 부지만 확보하면 나머지 건립비용을 구매자들이 미리 지급하는 자금으로 충당할 수 있다. 그만큼 선분양 제도는 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업체에게 유리하게 작용해왔다. [이 제도의 등장배경은 주택이 부족한 상황에서 단시간 내에 아파트를 대량공급하기 위해서는 건설업체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는 것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주택이 부족한 시대는 지났다. 선분양 제도는 한 시대에 필요했던 제도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제는 그 존립근거를 잃어버렸다. 새로운 제도가 나와야 할 것이다.
17/03/24 13:0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17/03/23 22:39
수정 아이콘
일단 우리나라는 아파트가 주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높은 편인데, 지금 상황에서 후분양제가 도입되면 건설사들은 소위 돈되는 입지 외엔 공급을 줄일 겁니다. 수요적은 지방에 지었다가 분양안되면 대출금 및 이자 부담이 상당하니까요. 공급이 줄어든만큼 공급되는 일부 지역의 아파트는 더 비싸지겠죠.

사실 다른 나라랑 단순비교하기가 어려운게, 한국의 아파트와 해외의 아파트는 아예 다르다고 봅니다.
17/03/24 13:1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막줄에 일리가 있어 보이는데 그렇다면 드는 의문이 해외에서는 아파트 중에서 한국 형태를 따라가는 국가가 아무도 없는 건가요?
17/03/24 13:41
수정 아이콘
지금 검색하는데 잘 안나오네요.
일단 우리나라 주택 중 아파트 비중이 1995년 37.7프로에서 2015년 59.9프로로 증가해서, 대표적인 주택형태라 볼 수 있고요. EU 평균이 40프로를 하회하는 수준입니다. 미국이나 호주는 그보다 훨씬 낮을것 같고요.

다른 지역에서는 좁은 공간에 모여사는 시스템이다보니 서민층이 주로 입주하는 곳인데 우린 소득 상위계층도 선호하고 있고 타국가보다 편의시설도 훨씬 잘 갖춰져있습니다(최근 지은 캐슬 파크 더샵 등을 떠올리시면 될것같습니다.)

비슷한 형태로는 아마 홍콩이나 대만과 형태가 비슷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파트 관련된 서적들 찾아보시면 더 구체적인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거같네요 흐흐
17/03/24 17:0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945 [질문]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관련 질문입니다. 킹보검1777 17/03/24 1777
99943 [질문] 인터넷 간헐적 끊김, 느려짐, 핑테스트에 대해 [2] 5890 17/03/24 5890
99942 [질문] 급경사지의 사유시설에 관한 법 질문입니다 장미베개1816 17/03/24 1816
99941 [질문] 국산 중형 suv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Carrusel6594 17/03/24 6594
99940 [질문] 컴퓨터부품교체 질문 [1] 우주개구리2221 17/03/24 2221
99939 [질문] 본인서명확인서를 회사서 달라는데 줘도 될까요? [1] 최강한화1914 17/03/24 1914
99938 [질문] 혹시 근자에 신규 아파트에 입주하신 분들께 질문입니다. [2] Red Key2602 17/03/24 2602
99936 [질문] 엑셀 질문입니다 [4] 잠수족2158 17/03/24 2158
99935 [질문] 가계부 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이슬먹고살죠3746 17/03/24 3746
99934 [질문] 아이클라우드 계정 변경질문입니다, [1] 하이띵크1881 17/03/24 1881
99933 [질문] 플스4 구매후 필요한 것들 질문 [18] 서랑6122 17/03/24 6122
99932 [질문] 건강이 뭔가요?(영양제관련) [3] roastedbaby1896 17/03/24 1896
99931 [질문] [LOL]전리품 정수 얻는 법? [17] 레이오네4869 17/03/24 4869
99930 [질문] 유튜브 저작권에 관련하여 질문 있습니다! [15] posharp3860 17/03/24 3860
99929 [질문] 부산에 ps4 슬림 이라도 파는곳 없나요? [6] D.레오3202 17/03/24 3202
99928 [질문] 국내에 서바이벌(생존훈련?) 같은거 하시는 블로거 아시는 분 있나요? [3] 1perlson1961 17/03/24 1961
99927 [질문] 산재 신청을 진행해 보신 분들께 여쭤봅니다. [4] 통풍라이프2287 17/03/24 2287
99926 [질문] 코딩 교육이 유행이라는데요 과연 필요할까요? [38] codin5446 17/03/24 5446
99925 [질문] 무좀연고 질문합니다. [9] 보아남편4474 17/03/24 4474
99924 [질문] 마지막으로 제주도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원스3494 17/03/24 3494
99923 [질문] 원드라이브 동기화 질문입니다. [4] 삭제됨2998 17/03/24 2998
99922 [질문] 직장 이동시 컴퓨터 정리 [1] dos2406 17/03/24 2406
99921 [질문] 미래에 외국어공부는 과연 필요한가? [9] codin3198 17/03/24 31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