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5 11:52:17
Name eosdtghjl
Subject [질문] PSAT은 노력으로 극복불가능한가요?
9급이나 7급 공채는 2년이내,  순공부 10시간 등등
이정도 노력이면 충분히 합격하는 시험이라고 하는데요.

PSAT은 지방대출신의 공부머리 평범한 30대아저씨는 아무리 기출문제 많이 풀고 연습하고
엄청나게 노력해도 극복할수 없는 시험인가요?

아이큐검사 시험 같은것이 있다고 해도 그 시험유형이 정해져있다면 그것만 죽어라 풀면 요령이 생겨 풀리지 않을까요?
이제 9급,7급 공채도 PSAT으로 대체하기 위한 법안을 검토 중이다라는 기사를 보니 문득 생각나서 질문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던져진
17/03/15 11:57
수정 아이콘
공부 하면 당연히 올라가는데요 그 한계가 거의 정해져 있다고 하죠.

그 한계가 사람 머리 성능의 한계라고 하고요.
내일뭐하지
17/03/15 12:25
수정 아이콘
5급은 100명중 90명이상은 극복못할거라 보고요, 79급은 도입되면 커트가 낮아지던지 문제가 쉬워진다던지해서 극복할수도 있지않을까요
유스티스
17/03/15 12:42
수정 아이콘
점수상승폭을 얼마나 기대하냐에 따라... 행시 기준 두달 바짝하고(유형 완전숙지.)나서부터는 상승폭은 아주 적은거 같네요.
이라세오날
17/03/15 12:42
수정 아이콘
가능하죠.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psat 성적은 풀이요령으로 올릴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하고 나면 그 이상은 읽은 텍스트양에 비례한다고 보는데 자꾸 학원이나 교과서에서 계속 풀이요령 같은거만 가르치는게 제일 큰 문제같습니다. 그 시간에 양질의 텍스트를 많이 접하면 꾸준히 오릅니다.
치열하게
17/03/15 12:49
수정 아이콘
오죽하면 처음 모의고사나 기출 풀고 일정 점수 안 나오면 포기하라는 말까지 나오겠습니까.
이유는 점수 올리는 건 어느 정도 가능한데 문제는 2차 시험이죠. 즉 PSAT 같은 시험에 강하면 적당히 공부하고 나머지는 2차로 돌리는데 시험에 약하면 1차인 PSAT에 시간을 많이 뺏기게 되는 거죠.

살면서 psat류의 시험에 쓴 맛을 많이 봐서인지 솔직히 재능영역 같습니다. 시험을 위해 필요한 노력이 사람마다 달라요.
ll Apink ll
17/03/15 12:50
수정 아이콘
제 예전 경험으로는 어느정도의 선은 있습니다.
1/2/3영역 다 요령은 분명히 존재하고, 노력량에 점수가 비례하는건 맞는데 그 선은 있어요.
아는 선배는 워낙 1영역에 타고나서 1영역 공부는 문자 그대로 5분도 안하고 시험치러 가는데 항상 90~95 나왔습니다. 저도 개인적으로는 3영역 점수가 앞서 얘기한 선배 수준은 아니었지만, 3과목 중에선 가장 잘 나왔고 다른 분들의 일반적인 3영역 점수와 비교해서도 잘 나왔었습니다. 그런데 같이 공부하던 사람들이 3영역 어렵다고 팁 좀 달라고 할 때 이게 설명이 안되더라구요. 이건 이차저차한 생각을 하면 보인다라고 하면 '문제를 읽고 순간적으로 그 이차저차한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를 이해를 못합니다. 2영역에 타고나신 분들은 아마 암산과 어림산이 그냥 슝슝 되실거에요 그런 분들은 우리가 아무리 문제 많이 풀어보고해도 따라가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행시 1차 합격하는 정도의 기준선이면 노력으로 충분히 가능합니다. '노력하면 무조건 돼' 라고는 말씀 못 드리겠는데 '재능 없으면 도전 해 볼 필요도 없다' 수준은 또 아니에요. 사실 진짜 재능의 영역은 2차시험이라는...
Soul of Cinder
17/03/15 12:50
수정 아이콘
올릴 수는 있습니다만 문제는 다른 사람들도 올라간다는거죠... 특히 5급은 경쟁자들의 수준이 문제죠. S대에서도 행시 준비한다고 몇 년 보냈는데 정작 5급 PSAT를 통과 못한 사람들 수두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상대평가니까요.
17/03/15 13:29
수정 아이콘
2달동안 최선을 다해서 해봤을때 점수 올라가는게 어느정도인지 보고 판단하면 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오르는것은 맞는데 선은 있는것 같아요.
소피스트
17/03/15 13:29
수정 아이콘
9,7을 준비하시는 데 psat도입이 걱정되시는 거라면, 좀 이른 것 같구요.
5급을 준비하시는 거면, 불가능은 아닌데.. 쉽지는 않습니다. 노력하는 것과 잘하는 것은 별개이고, 피셋 공부란 게 올바른 방향으로 노력할 때 점수가 오르는 시험이라서요. 자신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정확한 인지 없이는 올리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피셋을 처음엔 못하더라도 기본 강의 듣고, 모강풀고 기출 분석하면.. 일반행정 전국 컷 평균 -3~4점대엔 어지간하면 진입은 하더군요. 본게임이 2차라 문제긴 하지만..
17/03/15 14:11
수정 아이콘
작정하고 올리면 5급 공채 합격선까진 올릴 수 있습니다. 대부분 그정도 노력도 없이 포기하는 사람이 다수일 뿐이죠. 피셋 노력해도 안오른다는 사람중에 3천문제이상 풀어본 사람은 아무도 없더군요. 틈 날 때마다 난이도 있는 텍스트 읽는 연습하고 문풀 쌓여서 요령좀 익히면 합격선은 넘습니다.
eosdtghjl
17/03/15 14:15
수정 아이콘
~~~~~~~~~~ 댓글 주신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전 논술형있는 5급은 감히 쳐다볼 생각조차 없고요. 그건 신의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9,7급 공채에 PSAT 도입을 검토중이라는 기사가 있어서 여쭤봤었습니다.
근데 사실 7급준비할때 특채도 같이 준비할거라서 어차피 7급수준의 PSAT을 하긴해야됩니다.

결론은 노력하면 올라가는 상한선이 있는데 그 상한선이 재능에 따라 갈리고,
PSAT준비하는 경쟁자들 수준이 높아서 상대평가이므로 통과하기가 쉽지 않다 이말이군요.
더 큰문제는 2차라고 하지만 전 논술이 아닌 7급 객관식시험 준비할거라 그나마 다행이랄까..
17/03/15 14:16
수정 아이콘
듣기로는 2차부터가 리얼인데 1차에서 시간끌리면 오래걸리게 되니 발담그지 말라고 충고해주는 거 같더군요
eosdtghjl
17/03/15 14:19
수정 아이콘
그 리얼이라는 2차가 논술 말하는거죠?
잡식다람쥐
17/03/15 15:40
수정 아이콘
사실 노력으로 가능하다는 것도 10배수 뽑을 때 얘기지 7배수(작년 6.6배수) 뽑을 때는 노력만으로 가능한가라는 생각이...
니가가라하와��
17/03/15 16:17
수정 아이콘
솔직히 어렵습니다.
머리성능보단 평소에 책 많이 읽었는가에 달렷습니다.
친구중에 모 한의대 다니는 친구 있는데 같은과 선후배들 장학금 받으려고 기출문제 두달정도 풀고 가면 행시1차 수두룩하게 합격햇습니다.
반면에 모교인 지방대에서는 피셋으로 바뀐이후 행시합격자가 안나왔고 피셋귀신이던 고시반 형은 한달전에 벼락쳐서 5번을 붙었는데 못붙는사람은 4년을 해도 그대로였습니다.
17/03/15 19:27
수정 아이콘
학원 6개월 다니고 공부한 사람은 떨어지고 그 전주에 5일 정도 공부한 사람은 붙는 거 보니까
노력으로 극복은 할 수 있는데 그냥 그거 극복할 노력이면 딴 거 하는 거 100배는 낫겠다 싶더군요.
17/03/15 19:30
수정 아이콘
이런 재능의 영역은 여자 꼬시기 가는 거랑 비슷한 게 아닌가 싶어서...
얼굴 말빨 다 되는 사람은 엄청 예쁜 여자도 쉽게 꼬시겠지만...얼굴도 안되고 말빨도 딸리는 사람도 엄청 노력하면 카사노바가 될 수 있겠지만
굳이 그 노력을 해야할까 싶습니다...
eosdtghjl
17/03/15 19:45
수정 아이콘
와.. PSAT이 여자꼬시기 만큼 힘든건가요? ..털썩 OTL
17/03/15 20:09
수정 아이콘
하하 재능충들은 옷 차려입고 클럽 한 바퀴 돌고 나오면 이미 꼬셔진다던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709 [질문] ○○영어공부에 돈을 얼만큼 투자하실 수 있나요? [3] Ciara.2607 17/03/20 2607
99707 [질문] 면도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미나연3449 17/03/20 3449
99706 [질문] 트위치 유튜브 영상도네시 저작권 확인 미리 할 수 있나요? [1] HuggingStar12467 17/03/20 12467
99705 [질문] 계란후라이 맛있게 만드는법 [13] 래쉬가드5827 17/03/20 5827
99704 [질문] XBOX ONE의 매력이 어떤게 있을까요? [14] UGH!3489 17/03/20 3489
99703 [질문] 자기소개서를 쓰는데 참 답답하네요.. [17] 정어리고래3940 17/03/19 3940
99702 [질문] 직장인 영어회화 공부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Tristana3692 17/03/19 3692
99701 [질문] [LOL]락스가 무조건 전승해야 플옵 진출 가능한지요? [11] 레이오네3084 17/03/19 3084
99700 [질문] 게임게시판에 있는 김영호vs김민철 경기 스포없이 볼 수 있는 방법 [6] 희열3844 17/03/19 3844
99699 [질문] 변기물 한번 내리는데 수도세가 얼마정도 나갈까요? [16] 三無19964 17/03/19 19964
99698 [질문] 연말정산 서류를 못내서 나중에 할 생각인데.. 1llionaire2098 17/03/19 2098
99697 [질문] '~~~ 천재가 된 홍대리' 시리즈 괜찮은지요...? [2] nexon3063 17/03/19 3063
99696 [질문] 경제공부를 시작하려 하는데 추천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6] 기다리다2533 17/03/19 2533
99695 [질문] k팝스타 심사평 칭찬할떄 브금으로 깔리는 피아노곡이 뭘까요? [6] 레일리2305 17/03/19 2305
99694 [질문] 라이즈 오브 툼레이더 스토리가 어떤가요? [3] sungsik2795 17/03/19 2795
99693 [질문] [던파] 초보유저 질문 드려요. [8] manly_toss3303 17/03/19 3303
99692 [질문] 독산동 VSL 스튜디오 주차 가능한가요? [2] 해병쫓는사도3341 17/03/19 3341
99691 [질문] 서울에서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2] 사구삼진2108 17/03/19 2108
99690 [질문]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질문입니다. [6] crutine2951 17/03/19 2951
99689 [질문] 똘똘똘이 방송중에 타는 자전거 시뮬레이터 게임 [1] 하나3716 17/03/19 3716
99688 [질문] 자x글 사용하고 계시는분 있나요? [16] jh63503610 17/03/19 3610
99687 [질문] 외장하드 NTFS 파일을 FAT로 바꾸려면 어떻게 하나요? [2] 나이스후니2852 17/03/19 2852
99686 [질문] 베네수엘라 윈도우10 질문입니다. [5] 반전3595 17/03/19 35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