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4 18:20:31
Name TheHobbit
Subject [질문] 연봉에 대해서 궁금한 점..
안녕하세요
초보 직장인 3년차입니다.

회사에서 급여에 싸인한 연봉은 2년전에 3100만원 정도입니다.
연봉상승은 작년에 5%정도 올라서 3300만원 정도 입니다.
제 월급은 13으로 나눠서 매달 1/13 씩 들어오고 나머지 1/13은 추석, 설날에 상여금 명목으로 50%씩 들어옵니다.
퇴직금은 별도입니다
매달 210만원 정도씩 받는거 같습니다.
인센티브는 보통 9~10%씩 나오고 올해초에 250만원 정도 받았습니다.
기타 1년에 포인트 명목으로 70만원 정도가 나오고 주말수당이 5만원인데 한달 평균 3~4번 정도 출근합니다.
한달에 주말수당 명목으로 15~20만원 씩 받습니다.
올해 연말정산시 원천징수 금액에는 3800만원정도 찍혔었습니다.
나이는 올해 32살입니다.

제 연봉은 얼마라고 말하는게 맞나요?
나이기준으로 많은편인가? 적은편인가요? 평균정도 인가요?
주변에 물어볼만한 마땅한 기준이 적은 편이라 이렇게 피지알에 물어봅니다.
객관적으로 얘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onaldo9
17/03/14 18:25
수정 아이콘
인센이 년마다 꾸준하다는 가정하에 3600정도로 말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TheHobbit
17/03/14 18:32
수정 아이콘
인센은 회사 설립된후로 안나온적은 한번도 없다고 하더라구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7/03/14 18:29
수정 아이콘
3100이 맞습니다. 원칙적으로는요. 인센, 주말수당은 포함 안합니다. 원래 연봉이라는건 어떤일이 벌어져도 딱 정해진 금액이고 나머지들은 변동이 있으니까요. 그리고 보통 포인트와 같은 부분은 복지정도로 언급합니다. 솔직히 저와 제 주변 사람들과 비교해 봤을 땐 연봉이 낮은거라고 생각하지만 피지알을 여태 눈팅하면서 본 결과로는 피지알 내에서는 중간은 되는 듯 합니다.
Ronaldo9
17/03/14 18:32
수정 아이콘
작년에 5% 올라서 3300이라고 하셨으니 말씀대로라면 3300이 맞지 않을까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7/03/14 18:32
수정 아이콘
아 그러네요. 맞습니다
TheHobbit
17/03/14 18:33
수정 아이콘
네 원칙적으로는 3300이 맞는거 같긴 합니다만 다른사람들도 그렇게 얘기하나 싶어서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7/03/14 18:36
수정 아이콘
보통은 그렇게 말할 겁니다. 자랑하는걸 되게 좋아하는 사람들은 인센까지 포함해서 말하기도 합니다. 작년에 연봉 어느 수준이였다 이런식으로요.
17/03/14 18:33
수정 아이콘
사람들끼리 일반적으로 말하는 연봉은 3300
회사를 옮기는 경우라서 제시하는 입장이라면 3800
홍승식
17/03/14 20:03
수정 아이콘
그쵸. 회사를 옮길땐 3800+a 해서 4천부터 지르고 들어가야죠. 크크크
겨울삼각형
17/03/14 18:38
수정 아이콘
연봉 3300.
실수령액 세전 3800 이라고 하시면 될거같습니다.

3년차면 적은편은 아니신거 같네요.

저도 어디가서 말할땐 연봉계약서 사인한 액수로 말합니다.
실수령액 얼마다 라고 말해봐야 이해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지난주 마리텔에서 삼성전자 10년차 과장연봉이 약 6700 이라고나왔죠.
하지만 무선사업부나, 반도체사업부면 50퍼 보너스 받아서 실수령액은 1억
회색사과
17/03/14 19:06
수정 아이콘
보통 실수령 << 이라는 단어의 의미가 애프터 텍스죠...

성과급 포함 세전 // 영끌 세전 3800 이라고 표현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혜리
17/03/14 19:17
수정 아이콘
연봉은 3300이 맞습니다.
각종 수당이나 성과급을 포함해서 책정을 하는 개념이기는 한데, 변동성 있는 개념을 포함시키는 것은 아니예요.

3년차에 3300만원이면 대기업 기준으로는 좀 많이 적은 것 같고,
보통이라고 하면 스펙트럼이 너무 넓은데 중소기업까지 포함하면 보통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TheHobbit
17/03/14 19:19
수정 아이콘
누구나 얘기하면 아는 대기업은 맞는데 대기업중 최하는 맞는거 같아요.. 업종도 업종이고
이혜리
17/03/14 20:41
수정 아이콘
롯.... 이신가요....
TheHobbit
17/03/14 22:38
수정 아이콘
C...
이혜리
17/03/14 23:36
수정 아이콘
아..
17/03/15 08:12
수정 아이콘
올리브를 네트워크로 판매하는 거긴가요..?
17/03/14 20:59
수정 아이콘
연봉 3300에 인센 쬐금이라고 하면 돼죠
나이스후니
17/03/14 21:25
수정 아이콘
3300에 인센티브얘기는 할필요 없이 특근이랑, 포인트 이런거 해서 4~500정도 받는다라고 하면 적당할것 같습니다. 그러면 4~500정도 받으려면 한달에 3~40은 특근비 정도로 생각하게 되고, 그러면 대충 업무 강도 주말출근 이런게 대충 계산이 되죠. 토요일정도는 출근하나 보다, 이런식으로요.
17/03/14 21:58
수정 아이콘
전 보통 계약연봉 + 매년 나오는 인센티브로 얘기합니다.
삼성 기준으로 기본연봉 + PI + PS 정도 . 이직할 때 말하는 연봉이죠.
The Hobbit님 기준으론 3600 정도 되겠네요.

정말 엄밀히 따지면 계약연봉만 말하는 게 맞을 거예요. 그런데 이게 정확한 정의가 없어서 이렇게 말하는 분들은 별로 없을 듯.
싸구려신사
17/03/15 00:16
수정 아이콘
저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어필합니다. 많이 불면 불리한 자리에서는 연봉계약서에 사인한대로 말하고, 도발이들어오거나 좀 당당해 보이고 싶을때는 원천징수에 뜨는 금액을 얘기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연봉계약서 금액을 말하시면 되겠네요
빠니쏭
17/03/15 09:00
수정 아이콘
특근비가 이상하게 책정되어있네요. 통상임금을 30으로 나눠서 150%를 줘야하는데
통상임금이 약 254만원이고, 그러면 특근비는 12.7만원 정도 됩니다.
대기업이 이런 꼼수를 부릴리가 없을텐데 이상하네요.
TheHobbit
17/03/15 09:30
수정 아이콘
통상임금이 무슨기준인지 모르겠는데
주말에는 8시간이상근무시 5만원입니다ㅜ
기본급만 하면 백얼마밖에 안되고 뭐가 많이 붙더라고요
빠니쏭
17/03/15 09:34
수정 아이콘
수당으로 꼼수부렸나보네요. 거참 대기업에서.. 애도를 표합니다.
17/03/15 11:48
수정 아이콘
특근비가 아니라 교통비일 것 같습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도 주말에 나오면 교통비만 지급합니다. (주말에 잘 안 나와서 모르는데 4시간에 5만원이던가?)
연봉 계약할 때 주 40시간 근무 + 알파로 계약(이걸 뭐라고 하죠? 포괄임금제?)하기 때문에 따로 수당을 주지 않습니다.
TheHobbit
17/03/15 13:05
수정 아이콘
맞네요..
올릴때 퇴근교통비 명목으로 올립니다
17/03/15 12:59
수정 아이콘
대기업에 다니지만 연봉계약서라는걸 본적도 없어서 낯선 얘기들이네요...
TheHobbit
17/03/15 13:06
수정 아이콘
연봉계약서 업는 대기업도 있나요? 궁금
캐리건을사랑
17/03/15 19:55
수정 아이콘
대리 2년차인데 작년에 이것저것 합해서 5,100 정도 받았습니다.

특근비 400
성과급 380
명절등 떡값 100
연차수당 50
월급인상분 140
월급 및 정기 상여금 4,000
받는 수준 보면 대충 전체 대리 1년차 중에선 중상급이라 생각하지만...
네... 허수입니다. 경기 않좋으면 그냥 4,100이죠 [재밌는건 명절떡값이 연봉포함이라 이건 무조건 받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518 [질문] 목동(오목교역) 소개팅 코스 추천부탁드립니다 [3] 새강이5334 17/03/15 5334
99517 [질문] 베가스 고수님들 계시면 저좀 도와주세요 [2] 히을3002 17/03/15 3002
99516 [질문] AMD 라이젠 R5 어떨까요 [5] 김태리3963 17/03/15 3963
99514 [질문] 명함사진의 배경색 하얗게 변경해 주실수 있으신분? [2] 회전목마3084 17/03/15 3084
99513 [질문] [헬스]제 몸입니다 방향제시좀 해주세요 [8] 삭제됨3471 17/03/15 3471
99512 [질문] 뮤탈 천부대막기 테란버젼 하실분?(어려움) [5] 5072 17/03/15 5072
99511 [질문] 엑셀 고수님들 계신가요? [3] 하나2557 17/03/15 2557
99510 [질문] 윈도우 7 설치 후 드라이버 관련 질문입니다. [2] 이슬먹고살죠2218 17/03/15 2218
99509 [질문] 도쿄 기념품 식품류 싸게 구매하려면 [3] 신아영2113 17/03/15 2113
99508 [질문] 스타1 그래픽깨짐 현상 질문입니다 [4] 문앞의늑대2373 17/03/15 2373
99507 [질문] 라이젠이 나오면서 인터넷 댓글 싸움이 격해지는 이유가 뭔가요? [8] 이슬먹고살죠3319 17/03/15 3319
99506 [질문] 티스토리 초대장 보내주실 분 계신가요? [2] ChojjAReacH2240 17/03/15 2240
99505 [질문] 페이팔 계좌등록 코드 질문입니다. [5] 성기사6704 17/03/15 6704
99504 [질문] 32인치 QHD 모니터 추천부탁드립니다. [11] BessaR3a8933 17/03/15 8933
99503 [질문] 태블릿 구입 관련 질문입니다. [7] Tora3136 17/03/15 3136
99502 [질문] PSAT은 노력으로 극복불가능한가요? [19] eosdtghjl19388 17/03/15 19388
99501 [질문] 병원 추천 부탁합니다. [2] 이로소이다2539 17/03/15 2539
99500 [질문] [LOL] 역대 최고의 명승부를 하나만 꼽자면? [27] 만일....100013300 17/03/15 3300
99499 [질문] 피파와 위닝의 레전드모드 관련 질문 [1] 아리아리해2987 17/03/15 2987
99498 [질문] 2차 세계대전을 그린 만화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6] Liverpool FC2815 17/03/15 2815
99497 [질문] 사무실에서 쓸만한 기계식 키보드 추천 좀 해주세요~ [12] LG.33.박용택10129 17/03/15 10129
99496 [질문] 의자하나만 추천해주세용 [4] 빡빡이형3644 17/03/15 3644
99495 [질문] 임진왜란-전국시대 당시 일본군 병종에 질문이 있습니다. [5] 茶仰5450 17/03/15 545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