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3 22:06:57
Name eosdtghjl
Subject [질문] 일반적인 연봉과 순자산은 어느정도면 평균일까요?
오래전부터 풍문에서 떠도는 이야기로는
퇴직금 별도의 연봉이 나이*100만원은 되야 평균이다라고 하는데요.

지금은 그시절보다 물가가 많이 올라서 *100만은 적지 않냐라는 말도있지만,
최저임금도 조금씩 올랐고, 전반적인 직업 연봉 상승도 크지 않았기때문에 아직도 저정도가 평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만하고요.. 크흑 ㅜㅜ)

그렇다면~
[질문] 최상위 집단과 최하위 집단을 빼고 봤을때 나이에 비해 자산 금액은 어느정도 있으면 평균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30대기준이면 더 좋고요.

제 추측으로는 나이 * 150만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하.. 나이*100만이라도 모아봤으면 소원이 없겠지만여..)

※ 제가 묻고싶은 순자산금액은 부채를 뺀 순수 자기돈이요. 전세 보증금 포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taraxia
17/03/13 22:13
수정 아이콘
30대 중반을 향해가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연봉을 매달 받는 급여(시간외수당 20시간 포함) 로만 계산했을 때
세전 3,100,000원 입니다. 12개월하면 3천7백 초반이 되구요....
빚은 없고...
통장에 5천, 월세 보증금 4천, 1.6 준중형차(중고시세 5백) 보유 하고 있습니다.
순전히 월급 안쓰고 모은 겁니다...
eosdtghjl
17/03/14 08:46
수정 아이콘
캬~ 30대중반에 벌써 월급이 300만원정도라니 대박이네여..
자산은 더 심하네여.. 1억수준이네 ㅜㅜ 부럽습니다.
17/03/13 22:15
수정 아이콘
30대 까지는 자산 금액은 본문으로보면 평균 이상입니다.
보통 20대 후반~30대 극초반에 취업을 해서 사회생활을 시작할텐데 30살로만 봐도 4,500만원은 너무 많아요ㅠㅠ

연봉은 나이*100하면 평균 맞는 것 같긴 하네요...
eosdtghjl
17/03/14 08:44
수정 아이콘
저도 나이*100이라 처음에 생각했는데..
연봉이 매년 100씩 증가하는것은 그럴수 있어도 자산의 경우 1년동안 100만원밖에 못모았다는것은 너무 적어보여서요;;
물론 전 아직도 나이*100만도 못모았습니다만 ㅜㅜ
17/03/13 22:20
수정 아이콘
나이 *100 되는 사람 정년퇴직 감안해도 상위 10%일걸요?
일단 평균은 절대 아닙니다.
싸구려신사
17/03/13 22:53
수정 아이콘
자산을 나이변수를 넣어서 공식화 할 수는 없죠.
제 주변을 보면 잘난친구들이 꽤있는데(빚없이 시작해서 직장생활만으로 돈을 모운친구) 30에 1억+준중형 국산차보유 정도면 나이대비 꽤나 상위권 같더군요.
평균으로는 짱개식으로 계산했을때 27살부터 일해서 30살 되기까지 만 3년 일했다고 치면, 3~4000정도되겠네요. 빚없이 시작했다면요.
17/03/13 23:47
수정 아이콘
구글링해봤습니다

직장인 평균연봉 3172만원 (월 264.3만원)

(2014년 근로소득 국세청 직장인 연말정산 자료 기준)
출처 http://www.hankookilbo.com/v/94088ac616c84a5180436a6053d5227c


자산은 가구 기준으로 조사 되어서 개인으로는 추정이 힘드네요

(금융감독원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의하면)
2016 가구당 순자산 29,533만원 (자산 34,685만원, 부채 6,256만원)
2016 개인당 순자산 11,315만원 (*추정 가구당 평균구성원 숫자 2.61명으로 나누었음)

가구주 연령대별 순자산 보유액
30세미만 7,157만원
30~39세 19,853만원
40~49세 28,547만원
50~59세 35,917만원
60세이상 31,722만원
출처 http://www.fss.or.kr/fss/kr/promo/bodobbs_view.jsp?seqno=20079
eosdtghjl
17/03/14 08:49
수정 아이콘
네? 순자산 30세미만 7천만원? -_-..하..미치겠다 미치겠어~ 퍄퍄~
17/03/14 10:42
수정 아이콘
마이나스겠죠
암 그렇죠
몽실이
17/03/13 23:53
수정 아이콘
제주변 친구들 기준으로는 나이*1000만원 다들 넘기는군요..(대략 *1000~2000만원 수준..)
비둘기야 먹자
17/03/14 04:12
수정 아이콘
와우 친구들이 다 억대연봉자 후덜덜
17/03/14 08:16
수정 아이콘
대단하시네요.. 혹시 직종이 뭔지 물어봐도 될까요?
eosdtghjl
17/03/14 08:51
수정 아이콘
혹시 의느님?
그리움 그 뒤
17/03/14 10:14
수정 아이콘
30대 연봉이 3억~6억
40대 연봉이 4억~8억
이라는 말인가요?
바밥밥바
17/03/14 11:37
수정 아이콘
100을 잘못쓰신듯..
몽실이
17/03/14 16:18
수정 아이콘
분당 판교 주변에 전세 혹은 자가로 거주중인 30대 중반 친구들과 와이프 지인들 기준입니다.

물론 본인이 번것+부모님이 지원해주신거죠.. 연봉이 아니라 자산이 질문이라고 하셔서...

아그리고 이수치가 평균이라는 소리는 아닙니다..ㅜㅜ 다들 다기 주변 기준으로 답글다시길래 생각없이 달았습니다..죄송..

직종은 대기업, 전문직 등등 입니다.
이혜리
17/03/14 04:51
수정 아이콘
연봉은 5천 쯤 되고, 순자산은 -1.5억 정도 되네요.
파급효과
17/03/14 06:27
수정 아이콘
대기업 평균이라고 하면, 나이×200~300 정도 되겠네요
eosdtghjl
17/03/14 08:51
수정 아이콘
아니아니 대기업말고요 ㅜㅜ
본문에 적혀있듯이 최상위 제외! 비정규직도 제외..
다크나이트
17/03/14 09:35
수정 아이콘
연봉류 글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애초에 자신이 부족하다 느끼는 사람들은 댓글을 달지를 않아요.
그러니 잘 버는 사람들만 댓글에 보이고, 뻥튀기인것처럼 보이죠.
eosdtghjl
17/03/14 09:3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여러분 연봉이 얼마냐고 물은게 아니라 나이* 얼마정도가 평균인지를 여쭤본거죠..
지금만나러갑니다
17/03/14 10:03
수정 아이콘
딱히.. 오히려 연봉 높은사람들이 민망해서 댓글 잘 안답니다. 전 피지알 볼때마다 놀래요. 연봉물어보는 질문글에 댓글 볼때마다 이렇게 낮은 연봉을 받는 사람들이 많구나 해서요.
다크나이트
17/03/14 11:38
수정 아이콘
피지알은 그나마 실제 평균에 수렴하는지 모르겠는데 타 커뮤니티 연봉 글 찾아보시면 놀라실 겁니다.
이슬먹고살죠
17/03/14 09:49
수정 아이콘
그게 그거인거죠. 이거 무슨 효과라고 이름이 있는데? 아무튼...!

>> 제가 30살이고 내 연봉은 2800입니다. 네 안굶어죽고 밥은 먹고 다녀요.
>> 제가 국민학교 마지막 세대인데 지금 나이*120만원 받고 있네요.

둘 차이가 전혀 없어 보입니다. 이런 글은 보통 두 종류로 댓글이 진행됩니다.
1) 열폭으로 인해 비추폭격을 맞게 됨
2)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람만 댓글을 달게 되어 모집단을 반영하지 못하는 표본집단이 생겨버림
저는 1)번 쪽이구요, 왜냐하면 저는 서른인데 연봉 삼천이 안되니까 글쓴이의 글이 "응 너 평균이하~" 라고 하는 것 같아서 열폭하게 되거든요.

아무튼 종합해서 다시 정리하면,
a. 여기는 질문 게시판이고, b. 글쓴이는 답변을 얻어가고 싶으며, c. 그 답변은 통계적 표본인데, d. 앞서 말한 이유로 제대로 된 표본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d. 실패할 수밖에 없는 조사방법/질문방법이다.
입니다. 이상이에요.

한줄요약 : 돈이 그렇게도 좋냐 멍청이들아 연봉이 그렇게도 예쁘디 바보들아
eosdtghjl
17/03/14 09:58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말하실수도 있지만 정말 궁금해서 여쭤봤습니다.
보통 어느정도를 평균이라고 할까? 아 .. 저정도인가? 그러면 내년 연봉협상때 이만큼 불러야겠다.. 뭐 이런생각이 들어서요
참고로 저도 나이*100만 연봉 아직 못만들었습니다. 크흑..
브라질너트
17/03/14 10:36
수정 아이콘
묻어가는 질문하면 나이*100 정도를 평균이라고 본다면, 평균 임금 정도에서는 매년 상승 정도가 대략 100만원 정도라는 것인지요?
eosdtghjl
17/03/14 10:44
수정 아이콘
재산 임금 상승이 매년 100만원밖에 안된다면 문제가 있다고 보지만
연봉 상승은 보통 100~300만원 사이아닌가요? 100이면 평균 상승액이라 보는데요. 중소라면..
17/03/14 12:50
수정 아이콘
27에 나이×85 쯤이고 1억은 모았네요.. 받는돈에 비해 많이모은편이라고 생각합니다 돈 자체를 쓰는걸 귀찮다고해야하나.. 잘안쓰고 또 안쓰려고하다보니 생각보다 잘 모이긴하네요..
지금 즐길거 안즐기고 목적의식없이 모으는거라 가끔 통장볼때만 뿌듯하고 사실 별생각이없네요..
집이 어려웠던적이 있어서 그냥모으는거같습니다
eosdtghjl
17/03/14 13:09
수정 아이콘
우와 대단하네요!
wish buRn
17/03/14 14:07
수정 아이콘
연봉은 나이 * 100~120이 맞는거 같고,자산은 평균내기 힘들다고 봅니다. 부모님 버프가 있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472 [질문] 롤챔스 결승전은 대략 언제쯤 할까요? [1] MystericWonder2891 17/03/14 2891
99471 [질문] fm17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11] 별빛이내린다5577 17/03/14 5577
99470 [질문] 제주도도 처음 가보고, 비행기 자체도 처음 타봅니다. [13] 원스4714 17/03/14 4714
99469 [질문] 연봉에 대해서 궁금한 점.. [29] TheHobbit6487 17/03/14 6487
99468 [질문] 마이크로 소프트 엑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 [24] Neo4038 17/03/14 4038
99467 [질문] 토익스피킹, OPIc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2] 삭제됨6941 17/03/14 6941
99466 [질문] 서천 주꾸미축제 질문입니다 [4] 찍먹파2704 17/03/14 2704
99465 [질문] 클래식 피아노곡 제목 질문 Kobe3574 17/03/14 3574
99464 [질문] 웹으로 구현된 채팅은 보통 어떤 무엇으로 구현하나요? [6] 대니얼3135 17/03/14 3135
99463 [질문] 라이젠 견적 최종 이륙허가 받아보겟습니다. [12] 부처6040 17/03/14 6040
99462 [질문] 정기 적금을 들려고 하고 있는데요. [7] 과학선생2465 17/03/14 2465
99460 [질문] 산재처리 질문해요 [5] 오줌싸개2409 17/03/14 2409
99458 [질문] 뽐뿌 3일 눈팅 후 금일 휴대폰 구입예정입니다. [5] 시라노2566 17/03/14 2566
99457 [질문] 향방작계 6시간짜리 6시간 꽉 채우나요? [15] 미뉴잇5240 17/03/14 5240
99456 [질문] 여사친한테 할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복실복실 티모5330 17/03/14 5330
99454 [질문] 제주도에 거주하시거나 최근 제주도에 다녀오신 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7] 스컬로매니아3490 17/03/14 3490
99453 [질문] 미5 VS 미5S 차이점은 무었일까요? [24] 웅곡6076 17/03/14 6076
99452 [질문] 게슈탈트 붕괴 또는 의미과포화에 대해 [2] Everlas8014 17/03/14 8014
99451 [질문] 이은결 콘서트 가보려고 하는데 어떨까요? [4] 알팅이2406 17/03/14 2406
99450 [질문] 오늘 스케치북 녹화 출연진을 알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4] 스즈무라 아이리3010 17/03/14 3010
99449 [질문] 티스토리 초대장 보내주실 분 있을까요? [4] rollercoaster2223 17/03/14 2223
99448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견적 부탁 드립니다. [8] 칼퇴추구자3364 17/03/14 3364
99447 [질문] 오늘 오후에 롤 같이 하실분계신가요? 웬디2496 17/03/14 249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