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2 02:05:00
Name 전설의황제
Subject [질문] 아프리카 김성현선수는 현역으로 치면 어느정도 기량일까요??
2016년부터 평균적으로 7할정도의 승률을 내고있고

현역시절 상위권선수들 상대로 대부분 상대전적에서 압도하거나 앞서는데

이게 상위권선수들의 실력이 많이 떨어진건지 아니면

김성현선수의 실력이 올라간건지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스테트
17/03/12 02:08
수정 아이콘
처음 데뷔할떄부터 유망주 아니었나요? 제 생각에 (과대평가일수도 과소평가일수도 있지만) 최소한 이영호-정명호 바로 밑급까지는 성장했을 거 같습니다
바스테트
17/03/12 02:08
수정 아이콘
아 제 말은 어디까지나 프로씬이 지금까지 쭈욱 유지되면서 프로들이 중간에 안쉬고 끝까지 게임을 했을떄의 가정입니다
구밀복검
17/03/12 03:05
수정 아이콘
다른 선수들 기량이 떨어진 것도 맞고 김성현 실력이 올라간 것도 맞고...
그리고 김성현만큼 열심히 게임하는 BJ자체가 거의 없죠. 김성현이 한달에 스폰빵 200전 정도하니까 하루에 7판 정도 하는 셈인데, 이거보다 많이 경기하는 BJ가 거의 없으니까.
현역 때 BJ들 연습량이 기본 3~40판이었다고 하는 걸 감안하면 뭐...
전설의황제
17/03/12 03:19
수정 아이콘
래더포함하면 하루에 30겜가까이하지않나요??
구밀복검
17/03/12 03:29
수정 아이콘
현역 시절에 하던 연습과 질이 다르죠. 래더라고 해봐야 결국 아마추어..
17/03/12 06:26
수정 아이콘
본문과는 별개로 김성현이 케스파 선수들이 스2로 전향후 첫 대회인 옥션 스타리그에서 이영호를 8강에서 3:2로 역스윕으로 탈락시키고 4위 했죠 아마
스1 시절에도 테테전 기계라고 불리면서 떠오르던 신예였구요 아마 스1판이 계속 됐으면 테란 진영은 이영호 정명훈 2파전에서 김성현 추가해서 3파전이 됐을꺼 같아요 요새 게임하는거 보면 뭐 기계같이 잘하는것도 있는데 센스랑 게임이해도가 대단하더라구요
하하맨
17/03/12 08:06
수정 아이콘
프로씬이 망하기 전 대부분 경기를 챙겨봤던 입장에선 가끔 테테전을 노려서 나오긴 하는데
기억에 남는 경기가 없었던걸 보면 가능성을 높게 봐도 각 프로 팀 에이스급은 못됐을 거라고 봅니다.
토이스토리G
17/03/12 08:36
수정 아이콘
프로가 만만한 세계가 아니죠.
이영호급으로 성장하는건 어려웠을겁니다.
그당시에도 연습실 이영호.. 이런 테란들은 엄청 많았으니까요.
랄라리
17/03/12 12:26
수정 아이콘
이영호도 김성현을 현역이었으면 최소 우승한번이상 할 실력이라고 상당히 높게 평가하죠.
17/03/12 17:05
수정 아이콘
최소 우승 한번 이상이라면서 상당히 높게 평가했다는 표현이 좀 웃기네요 크크
그걸 본인은 몇개를 해먹은 것이며, 그럼 본인은 얼마나 높다는 건지
OneRepublic
17/03/12 21:08
수정 아이콘
상당히 높게 평가라는 말은 랄라리님이 하신거죠. 이영호는 그냥 최소 우승 한번은 했을거라고 평가한거고
커맨더
17/03/12 13:00
수정 아이콘
BJ하면서도 보여주는 재능만보고 평가해도
현역생활을계속했다면 최소 시대의 2인자급인 서지훈 이병민 전상욱 염보성 신상문급 됬을겁니다
보통 저정도의 실력이면 SK KT를제외하면 팀내 에이스죠
선동가
17/03/12 13:23
수정 아이콘
스타1이 지속되었다면 테란랭킹
1.이신형
2.김성현
3.이영호
4.정명훈으로 봅니다

김성현선수가 이신형선수에게 벽을느꼈다죠..
실제로 스타말기 이신형선수 게임속도가
이영호.정명훈보다 더빠르고 강력한걸느꼈는데
화제가안되더군요
17/03/12 13:40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동의,
저그는 김민철, 프로토스는 정윤종이었겠죠.
사실 저는 딱 이 3명 차세대 본좌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아이러니하게 스1이 아니고 스2에서 터지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439 [질문] 퀵차지충전기, 케이블추천부탁드립니다 [5] 몽유도원7958 17/03/14 7958
99438 [질문] 급질문. 우병우 인생 vs 정우성 인생 [96] 테란의로망7043 17/03/13 7043
99437 [질문] 레고 마인드스톰 질문드려요. [4] 외국어의 달인2554 17/03/13 2554
99436 [질문] 게임 중에 실시간으로 CPU,GPU,HDD 점유율을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3] CoMbI COLa4478 17/03/13 4478
99435 [질문] 일반적인 연봉과 순자산은 어느정도면 평균일까요? [30] eosdtghjl14606 17/03/13 14606
99434 [질문] 마카롱 구입 질문 드립니다. [6]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2863 17/03/13 2863
99433 [질문] ps4 리모트 플레이 관련 엑스페리아와 듀쇽 연결 문제 질문입니다. [3] 화잇밀크러버3770 17/03/13 3770
99432 [질문] 서울 근교에 당일에 다녀올만한 곳 있을까요? [5] 성소3807 17/03/13 3807
99431 [질문]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영상? [2] 홉스로크루소2491 17/03/13 2491
99430 [질문] 서류 같은거 택배 보내는 방법? [1] 비둘기야 먹자2962 17/03/13 2962
99429 [질문] 연말정산 부양가족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설아2970 17/03/13 2970
99428 [질문] 핸드폰 와이파이가 연결이 안됩니다 [2] 초롱비5844 17/03/13 5844
99427 [질문] 아들 둘입니다. 셋째도 아들일 확률이 더 높을까요? [30] 희열6938 17/03/13 6938
99426 [질문] 사람얼굴 등을 못 알아보고 지나치는 이유는 무엇일지요...? [9] nexon2799 17/03/13 2799
99425 [질문] [The love]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6] 삭제됨2615 17/03/13 2615
99424 [질문] MRI는 얼마나 아플때 찍어야 하나요? [23] 오렌지망고7475 17/03/13 7475
99423 [질문] 공학수학 문제입니다 도와주세요 [8] 에스프레소2456 17/03/13 2456
99422 [질문] 동갑인 교회 여자애에게 오늘 차였네요. 앞으로 일말의 가능성도 없을까 걱정됩니다 [59] 패르바티패틸10609 17/03/13 10609
99421 [질문] 사무실 슬리퍼 어떤 거 쓰세요? [12] 설탕가루인형4238 17/03/13 4238
99420 [질문] 일본에서 핸드폰을 물에 빠뜨렸습니다 [4] 신아영2665 17/03/13 2665
99419 [질문] 스타1용 기계식키보드 및 마우스 추천부탁드립니다. [4] 사수자리5432 17/03/13 5432
99418 [질문] 컴퓨터 부품은 미국이 저렴한가요? [10] 쿠쿠다스4186 17/03/13 4186
99417 [질문] 혹시 모니터 신화 오딧세이 HR-390z 사용하시는 분? [3] 4444 17/03/13 44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