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1 10:36:34
Name 아스날
Subject [질문] 임신시 산부인과가는 빈도가 어떻게 되나요?
얼마전에 와이프가 임신했다고 질문올렸는데요..

2주전에 산부인과가서 임신사실만 확인하고 오늘 또가서 심장뛰는거 확인했거든요..(현재 6주6일정도됨)

2주뒤에 또 오라는데 원래 이렇게 자주가는건가요?

초음파 비용도 쌘것같고 초기엔 한달에 한번간다고 들은것같아서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3/11 10:45
수정 아이콘
의사는 아니지만 그렇게 자주 갈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간혹 약간의 출혈이 있다면 유산가능성때문에 진찰받아 보는게 좋긴한데, 보통은 유산가능성있어도 누워서 쉬라고만 해요.
꼭 해야하는 건 보건소 가서 엽산 받아와서 챙겨먹기. 초기가 지나서 사람모양이 된 후 장애여부 확인하는 정밀초음파 정도..
그리고 만삭이 되었을때는 역아인지 확인해서 역아라서 애가 거꾸로 있으면 제왕절개해야하니까 그거 확인하는 것 정도였던 듯.
오래되서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17/03/11 10:50
수정 아이콘
초기엔 유산위험때문인지 오히려 자주가는데, 유산위험 적으면 너무 자주 안가셔도 되긴 합니다.
1달에 1번 가는건 중기구요, 8~9개월때는 2주에 한번, 막달엔 매주 갑니다.
그런데, 주변 출산선배들 말 들어보면, 다음검진때 뭐 검사하는지 물어보고, 별거 아닌것같으면 1주 미루거나 건너뛰어도 별 상관없다고 합니다 크크 (막달은 제외. 언제라도 애나올지 몰라서요. 막달에 정기검진 갔다가 "어? 자궁 많이 열렸네요? 오늘내로 나오겠어요"소리 듣고 그날 낳은 경우도 봤습니다.)

그런데 요즘 기형아검사는 보통 트리플이나 쿼드보다는 정확도가 더 높은 인터그레이드방식 많이 하는데 이게 주수 맞춰서 초음파 보고(1차는 정밀. 목투명대 두께 측정.) 피검사 2번 받아야하는거라 주수 미리 알아보고가세요. 전 주거지 보건소에서 초음파만 받아서 당일에 보건소 가면 피검사는 공짜로 해줘서 보건소 지원 주수에 맞춰서 갔습니다. 보건소 지원 꼭 알아보세요. 두번 알아보세요. 전 아기집 확인한날 피검사도 하라길래 10만원 넘게 주고 했는데, 알고보니 임신초기 피검사였고, 보건소에서 (저렴한 일부항목에 한해서지만) 공짜로 해주더란 사실... 뭐 오히려 보건소 갔다가 빠진항목 병원에서 또하면 어차피 비싼항목이 빠진거라 거기서 거기란 얘기도 있긴 했지만 아까운건 어쩔수 없었죠. 그런데 기형아검사 피검사는 제대로 이용해서 다행이었죠. 어차피 보건소에서도 기관에 혈액보내서 결과 받는거니까 병원에서 받는거랑 정확도 차이도 없을것같았구요.

그리고 작년 10월부터 주수에 따라 최대 7번까지 초음파 비용이 건강보험 적용되니까, 예전보단 비용부담이 줄긴 했어요. 전 10월 전에 초기가 지나가서 초기에 해당하는 횟수는 적용을 못받았다는...흑흑
17/03/11 10:56
수정 아이콘
참 당연히 알아서 하시겠지만 출산지원하는 카드 있어요. 그걸로 산부인과에서 결제하면 되는데 뭐였더라..
뽕뽕이
17/03/11 10:56
수정 아이콘
고운맘 카드요
17/03/11 10:58
수정 아이콘
옛날엔 고운맘카드라고 했는데, 육아지원 카드랑 합쳐서 요즘엔 국민행복카드라고 합니다.
단태아일 경우 50만원 지원되는데, 막달되기 전에 다 써버리기 일쑤죠. 택도 없어요.
주변에서 알려준 팁이, 검진비 쌀땐 그냥 보관해뒀다가 진료비 비쌀때만 쓰고 최대한 아껴서 모아놨다가 출산때 다 쓰면 출산시 목돈나가는 체감이 좀 덜한다나요. 하긴 자연분만도 40만원쯤 할거고, 제왕절개는 입원기간때문에 100만원이 넘어가니...
희원토끼
17/03/11 11:02
수정 아이콘
7주 심장뛰는거 듣고 12주 1차 기형아검사 16주 2차기형아검사 21주 중기정밀초음파 26주 임당검사 30주 32주 34주 일반초음파검사 36주 분만전검사 이후로도 2주마다갔나...39주에 출산요.
17/03/11 11:34
수정 아이콘
원래 8주쯤 한번 가요
젤리곰 보러 가셔야죠~
서연아빠
17/03/11 11:45
수정 아이콘
처음엔 자주가고 안정기에 이르면 한달에 한번쯤 갑니다
의사말 무조건 잘들으시길....인터넷보단 나아요.
17/03/11 12:46
수정 아이콘
현재 와이프 8개월차입니다
초기에는 자주갔었구요 어느순간 한달에 한번 가더라구요
의사가 오라는데로 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와이프가 불안하다 싶은면 또 가면 됩니다
와이프 말을 잘들어야합니다 끝!
17/03/11 12:55
수정 아이콘
아 맞다. 다음웹툰 '유부녀의 탄생' 시즌2와 시즌3 추천합니다.
http://m.webtoon.daum.net/m/webtoon/view/married

시즌2가 임신과 출산편, 시즌3는 돌까지 육아편입니다. 현재 시즌3 연재중이고 지금까지의 패턴으로 보아하니 시즌3 끝나면 시즌2가 유료화될 것 같은데, 현재 시즌3가 아기11개월째 내용 연재중이니 아마 곧 시즌3가 끝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즌2 유료화되기 전에 함 봐두시면 도움이 될거에요. 경험에서 우러나온 내용이라 디테일하기도 하지만, 일부 내용은 개인의 경험이니 모두에게 적용되는건 아니라는걸 감안하고 보시면 될 듯 합니다.
17/03/11 13:40
수정 아이콘
해왼데...
처음부터 지금까지... 한달에 한번 갑니당....
정예인
17/03/11 14:00
수정 아이콘
처음 2주, 4주인가 5주에 한번가고
그리고 그 뒤는 한달에 한번씩갑니다
5주마다 오라고 하더라고요
좀 시간없고 그러면 예약 뒤로 미루긴하지만~
초기에 위험있으면 1주마다 가는분도 계시긴해요.
근데 작년인가 의료보험이 10달에 7번만으로
횟수제한이 되서 자주가는것도 비용부담이 엄청나더라고요. 초음파비도 될때 안될때 차이 심하고 다들 병원비 무서워하죠
여왕의심복
17/03/11 16:45
수정 아이콘
처음에는 2주마다 그 다음은 4주나 5주마다 갑니다. 저희는 쌍둥이어서 초음파 비용이 어마무시했었지요,
왕토토로
17/03/11 20:04
수정 아이콘
초기에는 자주 갑니다. 산부인과 전문의 지시에 따르면 됩니다.
임신/출산 관련해서 와이프 의견에 괜히 테클 걸면 서운함이 평생 갑니다.
아스날
17/03/11 20:27
수정 아이콘
답변감사합니다~^^
녹색문
17/03/12 18:52
수정 아이콘
28주까지는 매달, 36주까지는 2주 한번, 이후에는 매주가 기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342 [질문] 계약직으로 일했을때 직급은 어떻게 작성해야하나요? [2] 취업하고싶어요12606 17/03/12 12606
99341 [질문] 아프리카 김성현선수는 현역으로 치면 어느정도 기량일까요?? [14] 전설의황제6298 17/03/12 6298
99340 [질문] 레고 추천 부탁드립니다. [6] MastaK2901 17/03/12 2901
99339 [질문] 산모의 식단에 문제가 있을까요? [4] 3342 17/03/12 3342
99338 [질문] 넷플릭스 쓰시는 분들께 질문 [5] reionel7750 17/03/12 7750
99337 [질문] 소개팅 거절 방법 [5] 짱가6134 17/03/11 6134
99336 [질문] 최대 20만원 대 가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부처3748 17/03/11 3748
99335 [질문] 인터넷이 간헐적으로 끊깁니다. [6] 빠독이5237 17/03/11 5237
99334 [질문] 혹시 분석화학 교재나 문제집 좋은게 있을까요? [3] 초록3034 17/03/11 3034
99333 [질문] 데드리프트, 스쿼트 매일 해도 되는 건가요? [10] 오렌지망고12305 17/03/11 12305
99332 [질문] 2ne1 노래 ugly랑 비슷한 외국노래가 있나요? 치킨은진리다3529 17/03/11 3529
99331 [질문] [lol]요즘 솔랭에서 라인별 괜찮은 챔프좀 알려주세요 [2] 레몬커피2830 17/03/11 2830
99330 [질문] 일본어 해석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라울3155 17/03/11 3155
99329 [질문] PS4 주기기등록 관련 질문입니다. [1] 안자이 치요미3902 17/03/11 3902
99328 [질문] 유명한 화가의 그림을 찾습니다. [4] 주전자3552 17/03/11 3552
99327 [질문] 방탄커피 쉬운 레시피가 궁금합니다 [2] 킹찍탈4070 17/03/11 4070
99326 [질문] 강아지 가루약 먹이는 방법 알려주세요 [11] 티파남편4796 17/03/11 4796
99325 [질문] 짧은 일어문장 해석부탁드립니다. [5] Euphoria2175 17/03/11 2175
99324 [질문] 520d vs e220d 갈등입니다. [12] 퀘이샤4057 17/03/11 4057
99323 [질문] 스타 1 옛날 밸런스 [18] 텅트4255 17/03/11 4255
99322 [질문] 아이폰7 액정이 깨졌습니다. [7] 일체유심조5800 17/03/11 5800
99321 [질문] 노트북 사려고 하는데 괜찮은건지 문의드립니다. (링크) [6] AsuRa3174 17/03/11 3174
99320 [질문] 피시서버에 pgr21 스1 클랜없나요? 무리뉴2162 17/03/11 21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