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3/10 07:44:07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돈 관리 해야하나요.....???
취직한지 얼마안된 사회초년생이라
돈관리가 너무 생소하네요...

적금 펀드 주식 등등 많다고하는데
네이버쳐봐도 내용이 너무 어렵구...

적금만 하려해도 적금에 대한 개념조차 모르겠고...은행마다 적금에대해 물어봐서 이자 높은걸로 드는건가요?

돈관리 어떻게해야할까요?
딱히 취미생활도없고 식비 차비 모두 전혀 안들거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effrey Marte
17/03/10 08:01
수정 아이콘
최고의 돈관리는

소비를 줄이는겁니다.
먼산바라기
17/03/10 08:09
수정 아이콘
적금 2~30만원씩 1년 해봤자 이자 몇만원 안되요~ 택시 한번 타거나 술한번 마시면 금새 사라질 돈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금을 하는 이유는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소숫점 이하 차이나는 금리를 위해 이 은행 저 은행 다닐 필요 없습니다. 한두군데 주거래 은행(주로 월급들어오는 은행=거래하기 편한 은행)에 적금하시면 되요.

그리고 나머지 가처분 소득을 이용하여 생활하는거구요.

적금을 하는 방법은 은행 적금이나 적립식 펀드가 있을거구요

그렇게 모아진 종잣돈을 가지고 예금을 하시거나 주식을 사시거나 펀드를 거치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요즘은 ELS 같은 상품도 많이 있으니 그런것도 이용해보셔요
지니팅커벨여행
17/03/10 08:21
수정 아이콘
저는 1년 단위로 적금 넣었어요.
만기되면 찾아서 1년 정기예금으로 넣어 두고 다시 새로 1년짜리 적금을 넣는 식으로요.
근무 한두달 쯤 지나면 필수 소비 비용이 나올테니 그걸 제외하고 최대한 많은 금액을 저금하시면 소비 줄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될겁니다.
하연수
17/03/10 08:29
수정 아이콘
돈안쓰는게 최고의돈관리입니다
17/03/10 08:32
수정 아이콘
위에 말한대로 평소 소비관리가 핵심이지 저축 상품 같은건 알아보시면서 천천히 하셔도 되요.
17/03/10 08:35
수정 아이콘
어차피 조금씩 적금넣어봤자 이자 거의 안되요. 적금은 그냥 강제로 돈을 묶어둬서 못쓰게 만들려는거죠. 소비패턴 조절이라고 생각하시면서 넣으면되요.
즐겁게삽시다
17/03/10 08:47
수정 아이콘
월급의 반 이상은 넣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쓰는 걸 거기네 맞춰서 줄이는 식으로ㅠㅠ
이렇게 초반에 습관을 들여야 나중에 돈이 모인다고...
돈모으기 실패한 직장인의 충고입니다.

저도 너무 장기 적금은 별로고 1년단위를 추천드립니다. 갑자기 목돈이 필요할 수 있어요.
17/03/10 08:55
수정 아이콘
만약 세대주라면 소득공제용으로 청약저축 10만원 넣고, 돈 모우는 재미와 소비를 줄이고 싶다면 우선 물레방아 적금 검색해서 한번 해보세요.
만기 때 돈 찾는 재미가 솔솔할 듯
17/03/10 09:07
수정 아이콘
1. 매달 청약 10만원 무조건.
2. 실손 회사에서 지원 안 되면 하나 가입
3. 결혼을 안 하셨으면 무조건 단기상품. 6개월/1년 단위의 예금과 적금이 최고입니다.
4. 보험/저축보험/펀드 손대지 마세요. 개인적으로 암보험은 하나 있으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최강한화
17/03/10 09:15
수정 아이콘
제가 돈 모으는 방법은
월급을 받고 바로 저축하는겁니다.
월급 받고 다 쓰고 저축하겠다는 생각이 가장 좋지 못한 생각입니다.
RedDragon
17/03/10 09:27
수정 아이콘
돈은 모으고 싶은데 방법을 잘 모르겠다, 그리고 공부할 생각은 그다지 들지 않는다 싶으면 무조건 적금입니다.
단, 적금 구좌 만들때 예를들어 월 200을 받아서 100만원을 저축한다고 마음을 먹으면, 100만원을 한번에 적금하는게 아니라 10이나 20단위로 쪼개서 되도록 1년 단위로 하세요. 이율이 낮아도 괜찮습니다.
목돈이 지금은 필요 없지만, 언제 필요할지 모르니깐요. 목돈 급하실 때마다 분할 적금 한 것 하나씩 깨셔서 쓰셔도 되니...
밥잘먹는남자
17/03/10 11:30
수정 아이콘
답변 적으려다보니 적으려는 내용이 여기 다있네요
얼마를 넣으시든 나눠서 넣는게 최고입니다
넣고나서 잊으세요
15만원짜리 적금 2개 매달 나가는건 알지만 신경안쓰고있었는데 결혼할때 요긴하게 썼습니다.
묘이미나
17/03/10 09:44
수정 아이콘
파생관련 상품들만 조심하시고(절대 왠만하면 들지 마세요 ELS 같은 것들), 은행 예적금 위주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주식이나 펀드는 위험하다고 봅니다.
겨울삼각형
17/03/10 09:47
수정 아이콘
돈관리의 시작은 소비를 관리하는것입니다.

재태크는 정말 개인적인 분야라서...
사막여우
17/03/10 10:50
수정 아이콘
이자는 사실 그냥 없다고 생각하고 모으고 있네요..
만기 일년정도로하면 만기 올때마다 뭔가 기분 좋더라구요
지나가다...
17/03/10 13:14
수정 아이콘
가계부부터 쓰세요. 일단 돈 나가고 들어오는 상황부터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9326 [질문] 강아지 가루약 먹이는 방법 알려주세요 [11] 티파남편4879 17/03/11 4879
99325 [질문] 짧은 일어문장 해석부탁드립니다. [5] Euphoria2295 17/03/11 2295
99324 [질문] 520d vs e220d 갈등입니다. [12] 퀘이샤4143 17/03/11 4143
99323 [질문] 스타 1 옛날 밸런스 [18] 텅트4474 17/03/11 4474
99322 [질문] 아이폰7 액정이 깨졌습니다. [7] 일체유심조5842 17/03/11 5842
99321 [질문] 노트북 사려고 하는데 괜찮은건지 문의드립니다. (링크) [6] AsuRa3338 17/03/11 3338
99320 [질문] 피시서버에 pgr21 스1 클랜없나요? 무리뉴2228 17/03/11 2228
99319 [질문] 카드홀더식 스마트폰 케이스 쓰시는분들, 현금은? [2] 래쉬가드2283 17/03/11 2283
99318 [질문] 엠티를 갈까요 말까요? [14] 카별4378 17/03/11 4378
99317 [질문] 단기알바펑크냈는데 소송걸릴수있나요? [15] Cherish7286 17/03/11 7286
99316 [질문] 새우잠자는 버릇 고칠 수 있는방법 없을까요? [5] 이야기속으로3944 17/03/11 3944
99315 [질문] 오픈마켓 부분무이자가 적용이 궁금합니다. 초탈2196 17/03/11 2196
99314 [질문] 무선 프린터 관련 질문입니다. [1] 달토끼2617 17/03/11 2617
99313 [질문] 단어의 의미는 아는데 명칭을 모를 때 어떻게 찾으시나요? [10] 물리쟁이3953 17/03/11 3953
99312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드립니다. [8] 신용재3381 17/03/11 3381
99311 [질문] 자동차 사고 질문입니다. 층간소음흑흑2023 17/03/11 2023
99310 [질문] 임신시 산부인과가는 빈도가 어떻게 되나요? [16] 아스날5680 17/03/11 5680
99309 [질문] 혹시 w런쳐 가지고 계신분 메일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2] 뽕뽕이3486 17/03/11 3486
99308 [질문] 아침에 잘 못일어날때 도움되는 영양소는 뭐가 있을까요 [3] 스핔스핔3569 17/03/11 3569
99307 [질문] 촛불집회에 가려고 합니다. 조언을 구합니다. [10] 언어물리3096 17/03/11 3096
99306 [질문] 외조모상 어디까지 알려야 할까요? [5] 순박자봉5719 17/03/11 5719
99305 [질문] 롤 전용 pc 견적 질문입니다(향후 업글) [10] Paul Pogba4180 17/03/11 4180
99304 [질문] 하스 복기하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6] 조이3777 17/03/11 37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