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28 17:41:12
Name 카오루
Subject [질문] 인문학 입문서적, 어떤게 좋을까요?
슬슬 문학책 볼한한게 다 떨어져서 비문학 서적에는 어떤게 있나 하고 눈을 돌렸더니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이란 책이 있더라고요.

입문으로 괜찮을까? 해서 간단히 pgr자게에서 검색해보니 내용이 부족한거야 입문서니 당연하다치고
심화과정(?)으로가기위한 안내가 없는건 물론 내용에 오류나 비약이 많다고 하더라고요.

그러면 입문하기 그렇지 않나...부족한 내용으로 입문하면 앞으로 채워나가면 되는데 아예 잘못된 내용으로 시작하면
어떻게 할 수도 없으니..

깊은 상식을위한 인문학서적들에 입문하기위한 책은 어떤게 좋을까요?
물론 기준은...입문자가 볼수있도록 좀 이해하기 쉽고 문장 정상적이면 좋겠습니다.

전개가 흥미나 재미까지 불러일으키면 더 좋고요.

ps.혹은 어떤 기준으로 책을 고르면 좋을까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침대밖은위험해
17/02/28 17:55
수정 아이콘
인문학 입문서라고 해서 지대넓얕같이 다양하게 모아놓은 책보다는 그냥 한 분야의 교양 정도를 들어가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냥 입문분야가셔서 훑어보시면서 작가나 주제 관련 보고 맘에 드는 걸로 집으세요. 인문학 입문서라고 해서 뭔가 한학문같지만 너무 다양하고 광범위해서 전체입문서같은건 없다고 생각하시는게 좋을듯해서..그냥 인문코너에서 잼난걸로 하나 드시고 보시고 그런식으로 확장하세요. 관심분야가 생기실거고 그쪽을 깊이 파세요
카오루
17/02/28 18:00
수정 아이콘
지대넓얕에서 분류해놓은걸 기준으로 인터넷 평가 참조하면서 골라야겠네요^^;
17/02/28 18:20
수정 아이콘
최진기 강사가 인문학 입문으로 책.쓰지 않았나용?
17/02/28 18:21
수정 아이콘
총.균.쇠
17/02/28 18:26
수정 아이콘
철학과 굴뚝청소부요. 철학의 큰 물줄기별로 나름 재미있게? 쉽게 풀이한 책입니다
17/02/28 18:34
수정 아이콘
지대넓얕 추천드립니다
저같은 경우 그책을 보고 더알고싶고 보고싶은책이 엄청 많이 생겼습니다
기대안하고 봤는데 개인적으론 상당히 좋은책이였습니다 지대넓얕 본후에 본책중 하나가 위엣분이 추천해주신 총균쇠인데 이책도 강추입니다
17/02/28 18:46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지대넓얕 읽었는데 간만에 술술 읽히는 책이었습니다. 오류나 비약이 어느 정도인진 모르겠지만 전 참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카오루
17/03/02 09:02
수정 아이콘
두분이나 추천해주시네요 일단 한번은 읽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멍멍머멈엉멍
17/02/28 23:44
수정 아이콘
책은 도끼다 - 박웅현
재밌습니다. 왜 자기가 이 책을 재밌게 읽었는지를 소개해주는 책이에요~
17/03/01 00:30
수정 아이콘
아무 책이나 추천합니다.
아무 책이나 읽고 다음 책을 통해 틀린걸 찾아내면 됩니다.
언젠간 다른 책 없이도 책의 틀린 점이 찾아질거고
언젠간 책의 힘 없이도 사유가 가능해질 겁니다.
카오루
17/03/02 09:02
수정 아이콘
제가 문학쪽을 너무 봤더니 문장에 좀 예민해져서.;; 비문학 서적중에 지식은 아주 훌륭하신데 문장자체가 이상한 책들도 간혹 있는것 같더라고요. 그러면 애초에 지식도 없고 지금까지 관심도 없는 분야인데 문장까지 진입을 막다보니 아주 힘들어지는 사례가 ㅜ
레드락
17/03/01 04:19
수정 아이콘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데 '더 나은 삶을 위한 철학의 다섯가지 대답' 추천합니다.
철학의 역사 줄기를 한번 쭉 정리해주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전 정말 괜찮게 읽었습니다.
유시민의 '청춘의 독서'도 입문자가 가볍게 보기 좋을 것 같아요!
카오루
17/03/02 09:02
수정 아이콘
유시민 작가님꺼는 지금 글쓰기특강 읽고있는데 다보고 괜찮으면 작가님 책은 전부다 한번 일독할 생각입니다^^
할러퀸
17/03/01 04:51
수정 아이콘
인문학의 꽃인 철학부터 파시고 역사도 교양 수준으로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카오루
17/03/02 09:03
수정 아이콘
역사는 한국사 1급따면서 일단 국내역사는 더 손대고싶지 않더라고요 ㅜ
경제나 철학부터 한번 시작해보는게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홍승식
17/03/01 11:38
수정 아이콘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99733
찰스 벤 도렌 지식의 역사 추천합니다.
서양에 한정되어 있지만 현대 학문의 흐름을 큰가지로 훑을 수 있습니다.
보시면 다른 책을 보실 때 더 이해가 쉽습니다.
17/03/01 11:52
수정 아이콘
음? 사실 지금 현재로서 이 건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만 한 책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강추합니다.
할러퀸
17/03/02 11:07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강추. 요새 읽고 있는데 술술 읽히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훌륭한 교양서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867 [질문] 혹시 '추나요법' 받아보신분 계시나요? [2] 부모2906 17/03/02 2906
98865 [질문] 임신 가능성에 대해? [10] iPhone75047 17/03/02 5047
98864 [질문] 프린터기(복사기능)가 이상있는 걸까요? 정공법3381 17/03/02 3381
98863 [질문] 시계 해외구매대행 사이트 술팬더2707 17/03/02 2707
98862 [질문] 인터넷을 바꾸려 하는데 몇가지 질문입니다 [6] 다레니안3326 17/03/02 3326
98861 [질문] [신행] 이탈리아 스위스 이동경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초키초킥2587 17/03/02 2587
98860 [질문] 한글에 사진 넣으려는데 잘 안되는데요 [4] 삭제됨4970 17/03/02 4970
98859 [질문] 안드로이드 개발 언어가 바뀔 가능성이 높은가요? [10] 1llionaire5769 17/03/02 5769
98858 [질문] 안드로이드 카메라 어플 뭐가 좋을까요 [6] 하얀사신4065 17/03/02 4065
98857 [질문] 부부가 순차적으로 사망했을 시 상속세 질문입니다. [2] 사막여우5240 17/03/02 5240
98856 [질문] 퇴직연금의 연말정산시 공제 관련 질문입니다 [1] 정지연3035 17/03/02 3035
98855 [질문] 인터넷으로 받은 영상을 TV로 볼경우 화질이 어떤가요? [8] 성기사5462 17/03/02 5462
98853 [질문] 43인치 TV 교체 고민 (부모님방용) [5] _zzz3705 17/03/02 3705
98852 [질문] 샤오미 배터리 어떤거 사면 되나요? [4] 오즈s2535 17/03/02 2535
98851 [질문] 광명역 셔틀 8507 주말에 타보신분 있나요? [5] 티티3109 17/03/02 3109
98850 [질문] [남]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다하시나요? [11] 공부맨3857 17/03/02 3857
98849 [질문] 에어컨 관련 [6] 3258 17/03/02 3258
98848 [질문]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효과지속시간 어센틱2963 17/03/02 2963
98847 [질문] 아파트 1층 방범창 관련해서 고민입니다... jh63503226 17/03/02 3226
98846 [질문] 발바닥 수포 터트리는게 좋을까요? [8] 키토4146 17/03/02 4146
98845 [질문] 올뉴카니발 렌트비용이 대략 얼마즘될까요? 여자친구3221 17/03/02 3221
98844 [질문] 안드로이드 태블릿 추천해주세요~ [4] 배려3358 17/03/02 3358
98843 [질문] 메일 답장이 없으신 교수님께 어떻게 보내야하나요??? [24] 삭제됨7992 17/03/02 79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