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26 14:48:32
Name 갈매기
Subject [질문] 열쇠에서 전자도어락으로 바꾸는 게 좋을까요?
몇년만에 다시 부모님집에서 나가

혼자 살게 됐는데

집 치안문제에 걱정이 많습니다.

튼튼한 잠금장치, 자물쇠 이런거 알아보고 있었는데

친구가 도어락 얘기해줘서 검색하다보니

갑자기 비번 눌러도 안열리는 사태도 발생하고 하네요..

그냥 열쇠를 고수해야 할지

도어락으로 바꾸는 게 좋을지 갈피를 못잡고 있습니다.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광개토태왕
17/02/26 15:14
수정 아이콘
그래도 도어락이 낫지 않을까요...?
열쇠는 잃어버릴 위험성도 있고 그래서요...
made.of.more
17/02/26 15:16
수정 아이콘
전자도어락 쓰고나서는 열쇠자물쇠로 돌아갈 생각은 한번도 안해봤습니다..
열쇠 챙기는것도 귀찮거니와.. 문 따고 들어올 마음 먹은 사람이면 전자든 열쇠는 상관할 바가 아니라 생각되기도 하고요...
이름 있는 업체 제품이면 문 안열리는 사태는 없을거 같네요.. 여러 제품 써봤지만 그런 경우는 한번도 없었어요..
샤르미에티미
17/02/26 15:20
수정 아이콘
저는 써보니까 안 쓰는 삶으로는 돌아갈 수가 없네요.
원시제
17/02/26 15:20
수정 아이콘
도어락 계속 쓰다가 원룸 이사하면서 도어락 없는 집으로 갔었는데,
딱 4일 견디고 자비로 도어락 달았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도어락 문이 안열려서 문제가 된 경우는 한번도 없었는데요...
불량사용자
17/02/26 15:30
수정 아이콘
안 열리는건 거의 대부분 건전지 안갈아줘서 그런거 아닐까요.
제가 딱 한번 문이 안 열린적이 있었는데, 집앞에 사람이 자고 있었습니다.
힘차게 밀다가 나와서 사람인거 알고 깜짝....
토구백
17/02/26 15:42
수정 아이콘
배터리 용량 다 떨어질때즘이면 도어락에서 소리로 알려주기 때문에 별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근데 개인적으로, 다시 열쇠잠금장치 쓰라고해도 별 상관은 없을 것 같네요.
17/02/26 16:41
수정 아이콘
안전으로 따지면 별반 차이 없을거 같네요 편의성이면 몰라도
17/02/26 18:01
수정 아이콘
그 밧데리 조차도 2년은 가던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664 [질문] pc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3] rDc663541 17/02/26 3541
98663 [질문] 시피유 질문입니다 [8] 능숙한문제해결사2228 17/02/26 2228
98662 [질문] 제주도 교통편 [1] 뱀다리3495 17/02/26 3495
98661 [질문] 단백질 보충제 추천부탁드립니다.. Good2645 17/02/26 2645
98660 [질문] 룸메랑 트러블 없으신분은 없나요? [6] 삭제됨4141 17/02/26 4141
98659 [질문] 부동산을 안 끼고 전세 계약시 유의점 [2] 노련한곰탱이4511 17/02/26 4511
98658 [질문] 핸드폰 + 인터넷 결합 방법 추천 부탁드립니다ㅠ_ㅠ [2] Soul Tree2548 17/02/26 2548
98657 [질문] 이정도면 고백 성공 99% 인가요?? [32] 삭제됨6325 17/02/26 6325
98655 [질문] 왜 졸업하면 행복끝 지옥시작인걸까요?? [23] 우리집개4442 17/02/26 4442
98654 [질문] 전자담배 구입관련 질문입니다. [4] 정휘인2774 17/02/26 2774
98653 [질문] 다크소울3 vs 블러드본 vs 인왕 [17] TheHobbit19596 17/02/26 19596
98652 [질문] 회현역 근처 식당 추천받습니다! RainP2390 17/02/26 2390
98651 [질문] 라면 끓일 때, 면을 그냥 넣는다. vs 반으로 갈라 넣는다. [32] 카페알파6021 17/02/26 6021
98650 [질문] 27살 한심한 인생평가 좀 부탁드립니다.. [40] 삭제됨17292 17/02/26 17292
98649 [질문] [히오스] 캐릭터 레벨업 질문입니다. [4] 중학교사학년7300 17/02/26 7300
98648 [질문] 매운 음식을 먹고 대변을 볼 때 [5] Repppo7270 17/02/26 7270
98646 [질문] 이어폰 단자 있는 usb 허브 있을까요? [1] 냉면과열무4346 17/02/26 4346
98645 [질문] 음식물을 소화해서 변으로 나오기까지 걸리는 시간? [16] CoMbI COLa10386 17/02/26 10386
98644 [질문] 진한 향수때문에 몸이 아플수도 있을까요? [13] 태엽감는새4110 17/02/26 4110
98643 [질문] 업종 선배가 회사 후임으로 왔다면? [9] Paul Pogba4792 17/02/26 4792
98642 [질문] 여기 사용해도 괜찮은 곳인가요?(컴 사용자 권한 관련) will5362 17/02/26 5362
98641 [질문] 전 상식이 없는 남편입니다 (수저통에 수저 어느 방향으로 넣으시나요) [125] 롤하는철이7186 17/02/26 7186
98640 [질문] 닌텐도 스위치 구매 질문입니다. [3] Darkmental4703 17/02/26 47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