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8 21:29:43
Name 잘가라장동건
Subject [질문] 예전 야구 감독중에 김응용 감독에 관해서 질문인데요...
김응용감독이 (그 당시) 다른 감독들에 비해서 훈련을 상대적으로 많이 안 시키면서도

정상권에 많이 섰던 이유가 정확히 뭐 때문에 그런건가요??

프로야구 10인의 레전드 김응용편에서 보면 한대화가 간염에 걸려서 김성근 눈밖에 나서 쫒겨나서

김응용때부터 펄펄 날아다닌 일화도 있고 아무튼 그렇더라구요...

(그당시 야왕 한대화 전감독한테 한 말이 난 김성근감독만큼 무식하게 훈련 안시킨다라고 대놓고 말할정도인...)

그 당시 보면 이해가 안가겠지만... 어떻게 훈련을 많이 안시키고도 오랜 정상권 유지가 가능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18 21:40
수정 아이콘
일정 수준 이상의 프로급 선수들은 보통 훈련으로 레벨업 되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되려 경험이 쌓여서 만개하는 경우가 많죠.
프로레벨에 진입하고 일정이상 클래스를 뽑내고 있다는 말은 이미 충분한 훈련과 재능으로 일정 수준이상에 올라와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프로레벨에서 훈련은 체력 향상과 폼 유지에 방점이 찍히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적은 훈련으로도 성과를 낼 수 있겠고, 또 이를 달리 생각하면 많은 훈련량에 정성을 기울이기 보다 좋은 선수를 수급하고 그 선수들 컨디션을 유지시키는게 팀을 더 강하게 만드는 방법이었던 것이겠죠. 많은 훈련은 피로도는 늘리고 부상위험도는 높이니까요
김응룡 감독은 다른 감독들보다 이런 부분에 더 강점이 있고 먼저 알았던 것일테구요
별이지는언덕
17/02/19 00:02
수정 아이콘
훈련이 적기는 적었지만 지향하는 바가 미국 선진 야구였습니다. 팀훈련은 적게 스스로 개인훈련을 많이 해라는 식?
미국 연수를 다녀오고 당시 김응룡 감독 본인만 색이 조금 달랐죠. 보통 다른 감독들이 일본야구에 뼈대를 두고 있었지만 김응룡 감독만 일본+미국야구...
그리고 워낙에 선수 보는 눈이 좋았습니다. 리빌딩 하는 것에 있어서도 거침이 없었구요. 마지막으로 당시 지명연고권이 5장었는데 호남팜이 사기적으로 좋은편이었죠. 그나마 삼성 대구 경북팜이 비슷했을 뿐 뭐 여튼 이런 이유로 인해 2년에 1번씩 우승하신게 아닌가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330 [질문] 자동차 문콕 질문 [6] 장모4478 17/02/20 4478
98329 [질문] [쉐도우버스] 갈아도 되는 카드 감별 좀 부탁드립니다... [3] 꾼챱챱3448 17/02/20 3448
98328 [질문] 공기계가 하나 남습닌다. 어디다 쓰면 좋을까요? [5] Secundo4826 17/02/20 4826
98327 [질문] 미국도 자소서 쓰나요? [6] 캐리커쳐6407 17/02/20 6407
98326 [질문] 사무실에서 신발 소리가 자꾸 나서 신경이 쓰입니다. [3] 삭제됨11510 17/02/20 11510
98325 [질문] 과 학생회비가 무슨 23만원이나 하나요? [38]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6546 17/02/20 6546
98324 [질문] 확률 관련 계산 질문입니다. [8] 예루리3526 17/02/20 3526
98323 [질문] 기본적인 차 관련 질문들 입니다. [8] 칼퇴추구자4231 17/02/20 4231
98322 [질문] 전라도 사투리 질문입니다. [7] TheLasid3714 17/02/20 3714
98321 [질문] 장거리 출장 많이다니시는분들 하시는 일들이 궁금합니다 [8] 신승훈3665 17/02/20 3665
98320 [질문] CCSv6 설치시 MSVC라이브러리 관련 [2] Kobe2483 17/02/20 2483
98319 [질문] 여러분이 생각하는 최고의 스타황금기는 언제였나요?? [21] 전설의황제4548 17/02/20 4548
98318 [질문] [삭제예정] 보통 일주일에 회식 몇 번이나 하시나요? [60] 삭제됨10122 17/02/20 10122
98317 [질문] 아이큐 퀴즈 풀어 봅시다 [8] 시크릿2994 17/02/20 2994
98316 [질문] 그래픽카드 질문글입니다. [9] 이슬먹고살죠5298 17/02/19 5298
98315 [질문] 단기간 인터넷 서비스를 가입하려는데 어떻게해야할까요? [8] 콩콩지3837 17/02/19 3837
98314 [질문] 문명, 역설사 위주 컴퓨터 견적 평가해주세요!! [2] 다크템플러4290 17/02/19 4290
98313 [질문] 전동면도기 추천해주세요 [5] 산호5412 17/02/19 5412
98312 [질문] (수정) 손쉽게 이체하는 방법 [9] cs3842 17/02/19 3842
98311 [질문] 복구파티션, EFI파티션 포맷했는데 괜찮나요? beloved3897 17/02/19 3897
98310 [질문] [스타1] msl경기 중에서 추천받습니다. [8] KID A3334 17/02/19 3334
98309 [질문] 조조의 책사들 특징 [19] 파란무테10250 17/02/19 10250
98308 [질문] 글에 추천을 실수로 눌렀습니다. [4] aMiCuS3788 17/02/19 37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