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7 13:55:06
Name 삭제됨
Subject [질문] 경제력 관련 뻘질문.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17 14:00
수정 아이콘
그냥 자산 10억 가지고 있으면 상위 1%네요.
그것도 유산 등이 있을 테니 순전히 본인이 직접 벌어서 10억 모으면 0.01 아닐까요? 만명중에 한두명?
박지성&호날도
17/02/17 14:05
수정 아이콘
맞벌이 대기업or전문직이면 가능하려나요
17/02/17 14:07
수정 아이콘
부동산 대박 같은거 아니면 상위 1%도 어렵죠
17/02/17 14:10
수정 아이콘
맞벌이 전문직도 어려울 것 같긴합니다.
-안군-
17/02/17 14:15
수정 아이콘
일단 남자라고 가정하고, 군대 갔다오고 졸업하면 대략 27세죠.
그럼 마흔까지 13년입니다. 대충 3년간은 사회생활 배운다 치고, 10년동안 평균적으로 1년에 1억씩 모아야겠네요.
...음 일단 왠만한 직장으로는 불가능하겠군요. 의사/변호사 등의 전문직은 더 힘든게, 여긴 제대로 시작하려면 5년 정도 더 걸리거든요.
게다가 의사/변호사의 수입이 생각처럼 많지도 않고요, 연소득 1억 이상 되려면 상위 0.01% 정도??

제일 가능성 높은 방법으로, 20대에 톱스타 연예인이 되는게 가장 확실할 것 같습니다.
공짜요플레
17/02/17 16:25
수정 아이콘
10억 모으는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서도... 의사/변호사 중에 연소득 1억 이상이 0.01%라는건 과장이 아니신지.
의사가 한국에 10만명 좀 넘는데 말씀하신대로라면 연소득 1억 이상 버는 의사가 전국에 10명 뿐이라는 얘기잖아요.
-안군-
17/02/17 16:25
수정 아이콘
아... 전체 국민 중에서... 라는 뜻이었습니다;; 과장 맞고요.
공짜요플레
17/02/17 16:33
수정 아이콘
아하 그런 의미셨군요.
cadenza79
17/02/18 04:50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전국민을 기준으로도 0.01% 안에 들려면 10억 넘게 벌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가 1700만쯤 되거든요. 10억 이상이 2000명 수준이고, 1억 이상은 50만 명 수준입니다.
사실 1억 정도 가지고는 전체 근로소득자를 기준으로도 3% 수준이라는...
소독용 에탄올
17/02/17 14:18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임노동자 상위 10%평균임금이 1억 언저리인데 약 10여년간 10억은 1억대 연봉을 받는 사람이 생활비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저축했을때나 달성가능한 수치입니다.
공평한 1/8,145,060확률에 의존하는게 가장 확률이 높지 않을까 합니다....
Paul Pogba
17/02/17 14:20
수정 아이콘
진짜 완전 대충 널널하게 써서
대학 나와서 30살에 대기업 일반적으로 초봉 실수령 5천에 들어간다쳐도 숨만쉬고 10년 5억이네요
학자금이니 주거자금이니 빚도 없어야함
걸어다니고 밥도안먹고 여가 취미 다 포기

전문직은 실상 돈벌기 시작하는 시간이 더 늦으니
숨만쉬고 실수령으로 1억벌어도 10년인데 시간이 모자르죠

진짜 소수의 초고액연봉직이나(연봉 2-3억이라도 세금 어마어마해서 생활비같은거 다 빼면 빠듯할듯요)
사업대박이어야....
예쁜여친있는남자
17/02/17 16:11
수정 아이콘
전문직들도 보통 30살 전후해서 커리어 시작하는 경우 많아요.. 저도 20대 중반에 시험 붙고 졸업하자마자 바로 진입했는데 동기들 중에 그런친구 꽤 있었습니다.
Paul Pogba
17/02/17 18:25
수정 아이콘
네 그러니까 최대한 대충 널널하게 써'도' 저렇다는거죠
17/02/17 14:22
수정 아이콘
재테크 없는 순자산 10억이 마흔전에 달성 되려면 최소 실수령 연봉이 안쓰고 안먹고 숨만 쉬어도 경제활동 가능 나이를 20살로 봐도 연에 5천인데요..
17/02/17 14:26
수정 아이콘
제가 방법 하나 아는데요. 대기업 건설사 가서 27부터 해외현장 오지만 골라서 13년 돌면 됩니다. 크크
17/02/17 14:45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bj 추천합니다
CathedralWolf
17/02/17 14:51
수정 아이콘
현재 만 31세인데 전세금 집에서 지원받은거 빼고 한 1.3 정도있군요.
근데 변호사면 가능할것 같네요.
Aragaki Yui
17/02/17 15:03
수정 아이콘
사업성공,주식대박,아이돌,유명bj,로또,카지노
전문직으로는 전문직내에서도 또 상위1퍼는 찍어야될듯...
17/02/17 15:55
수정 아이콘
빚 없이 시작하고 맞벌이 전문직이면 가능은 하겠네요.
예쁜여친있는남자
17/02/17 16:13
수정 아이콘
얼마나 버냐보다 얼마나 쓰냐가 관건일듯.
빚 없고 와이프도 제 직업에 최소합으로 생활하면 가능할듯 그러나 삶의질은 약 일개미급
파랑파랑
17/02/17 16:28
수정 아이콘
10억......크
바닷내음
17/02/17 17:23
수정 아이콘
일단 마흔 되기 전에 총수령급여가 10억이 되느냐 묻는거부터가 예의입니다 ㅠㅠ
IRENE_ADLER.
17/02/17 17:53
수정 아이콘
페이로는 어렵고 여성이면서 조기개원한 의료인의 경우가 제일 먼저 떠오르긴 하는데 그 수가 많진 않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8304 [질문] 조지 버나드 쇼의 어록에 대한 질문입니다. [6] 왜죠3003 17/02/19 3003
98303 [질문] 앙망문을 일.베 용어로 봐야하나요? [36] ezconv6817 17/02/19 6817
98302 [질문] PS4 타이틀 추천 부탁합니다. [4] 러블세가족4532 17/02/19 4532
98301 [질문] 전등이 안 켜집니다. [4] r90nya3571 17/02/19 3571
98300 [질문] 미니 기계식 키보드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삭제됨3989 17/02/19 3989
98299 [질문] 대구분들 이 지하철 토큰 이거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1] 50b3428 17/02/19 3428
98298 [질문] 영화제목이... 뭘까요? [2] 2018.102897 17/02/19 2897
98297 [질문] 이성애자의 동성애 혐오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29] 성기사8557 17/02/19 8557
98296 [질문] 초등학교 들어가는 딸 핸드폰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 [8] 싱싱싱싱4066 17/02/19 4066
98295 [질문] 임산부에게 좋은 선물이 뭐가 있을까요? [24] 순규성소민아쑥8712 17/02/19 8712
98294 [질문] 돋보기는 언제 한국에 들여왔을까요? [4] Jannaphile3171 17/02/19 3171
98293 [질문] 이걸 고마워 해야할까요~? [22] 블aa4416 17/02/19 4416
98292 [질문] (마감) 오늘 6시 대학로 연극 남자충동 보실분 1분 [2] 나만한량2548 17/02/19 2548
98291 [질문] [LOL] 친추해놓고 아무때나 노말 같이하실분? [7] pure fiction2610 17/02/19 2610
98290 [질문] 가족이 다 죽었을경우 보험금 및 재산은 어디로 가나요? [6] 삭제됨3820 17/02/19 3820
98289 [질문] 이직시에 현재 연봉과 희망연봉을 어떻게 표현하는게 좋을까요?? [9] 삭제됨5295 17/02/19 5295
98288 [질문] 여자친구 선물(지갑&시계)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테크닉파워존4206 17/02/19 4206
98286 [질문] [LOL] 게임설정 질문입니다. [8] Eulbsyar3626 17/02/19 3626
98285 [질문] 누님 자전거를 사드려야 합니다. 추천 부탁드립니다. [3] 득이2820 17/02/19 2820
98282 [질문] 이재용이 실형받을 경우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할까요? [7] 토구백4422 17/02/19 4422
98281 [질문] 아파트 층간소음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13] 1q2w3e4r!3758 17/02/19 3758
98280 [질문] 동성애자들이 느끼는 차별 사례는? [10] 어쩌다룸펜4366 17/02/19 4366
98279 [질문] 비행기 배터리 소지 관련 정확하게 아시는분 계시나요 [10] 리나시타4244 17/02/19 42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