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08 15:50:46
Name Repppo
Subject [질문] 산소100%
사람이 순수한 산소만 흡입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지식인에서 찾아보니 결국 죽는 거 같은데 왜 죽는지는 말이 다 다르네요. 죽는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도 알고 싶고요. 또 병원의 호흡기나 잠수부의 산소통의 산소 비율도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08 15:54
수정 아이콘
산소중독으로 죽을꺼에요 산소가 반응성이 커서 일정농도 넘어가면 독으로 알고있어요 더 자세한 모르겠네요
IRENE_ADLER.
17/02/08 15:54
수정 아이콘
이산화탄소 운반이 안 되서 죽습니다.
아래 이슬님이 써주셨는데 실제론 분압이 더 중요하긴 할 겁니다.
17/02/08 15:57
수정 아이콘
잠수부의 산소통은 산소만 들어있는게 아니라 공기를 압축해서 넣은겁니다.
공기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건 산소가 아니라 질소입니다. 무려 70퍼센트가 넘죠. 그 다음이 산소 20프로 정도 나머지 기타 등등이 있죠 일단 혈액이 하는 일이 산소를 체내에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산소만 마시면 혈중에 산소가 많아져 혈액이 느리게 움직이고 잠시 몸이 가벼워지고 머리가 맑아지다가 쇼크사 합니다. 음,.,
음란파괴왕
17/02/08 16:05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면 인간도 개복치수준... 뭐만 하면 죽어요. 크크.
-안군-
17/02/08 16:08
수정 아이콘
긴급탈출 넘버원을 보면 확실히...
17/02/08 17:05
수정 아이콘
위기탈출 아님까..?
-안군-
17/02/08 17:11
수정 아이콘
아차!
이슬먹고살죠
17/02/08 16:15
수정 아이콘
산소 100%만 있으면 그 공기에 대한 설명이 충분치 않습니다. 기압도 중요해요.
저기압(한 0.5기압정도로 가정합시다.)의 산소를 흡입하면 크게 문제가 안 됩니다. 실제로 우주복의 산소탱크는 저분압-고농도의 공기죰.
고기압(3~4기압 정도로 가정합시다.)의 산소를 흡입하면 일단 정신을 잃고, 도움이 없다면 그 뒤에는 죽겠지요.

1기압의 산소라고 생각한다면, 중간정도 현상이 관찰될 것입니다.
일단 이산화탄소도 없으니까 폐쪽에서 호흡속도 조절이 안 될 것이고, 분압이 높기 때문에 들숨과 날숨과 바깥공기의 산소분압 차이도 거의 없어서 호흡을 빨리, 깊게 해도 충분한 호흡을 할 수 없겠네요.
폐포를 지나가는 공기속도도 느려질거고, 호흡은 더더욱 안될거구요.
죽진 않아요 숨쉬기가 힘들뿐
17/02/08 17:55
수정 아이콘
여쭈어볼게 있습니다. 이산화탄소가 없으니 폐쪽에서 호흡 속도 조절이 안된다고 하셨는데요. 이산화탄소가 특정 기능을 하는건가요? 그러면 저기압에서도 이산화탄소는 없을텐데 문제가 없는지 알고싶습니다.
이슬먹고살죠
17/02/08 18:16
수정 아이콘
과호흡증후군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감정적으로 격양되어 과도한 호흡을 하게 되면 몸속에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산화탄소는 ph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혈액에 녹아서 ph를 높이는 영향을 미치는데, 이놈이 부족하면 피가 알칼리화되고, 몸은 그걸 "이상"으로 받아들이게 되는데요, 사람은 그걸 숨이 안 쉬어지는 상태로 느끼게 됩니다. 자연히 호흡속도는 빨라지게 되지요.

이산화탄소는 필요한 양도 적고, 친화력도 높아서 대기중 이산화탄소량에 영향을 덜 받기는 합니다. 산소통같은 밀폐된 계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아예 없어도 내가 호흡으로 만들어낸 양만으로도 해결이 되지요. 따라서 들이마시는 공기가 넓은 계인가, 좁은 계인가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있고 없고 문제가 크게 작용하냐 적게 작용하냐를 결정하게 됩니다. 위에서 예시를 들은 우주복의 산소탱크는 밀폐된 좁은 계이므로 문제가 없는 것이구요.

정리해서 답변드리자면

Q) 이산화탄소가 특정 기능을 하는 건가요?
A) YES. 그 기능은 체내 산성도 조절이고, 체감이 많이 되는 현상은 호흡속도 조절입니다. 조절이 안 된 정도에 따라 몸상태는 전체적으로 개판이 됩니다. 심하면 당연히 죽구요.

Q) 저기압에서는 왜 문제가 안 되나요?
A) 저기압과 고기압의 공기를 말씀드릴 때는, 밀폐된 계를 가정했습니다. 밀폐된 계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17/02/09 10:18
수정 아이콘
친절한 답변감사드립니다. 이해가 잘 되네요!
IRENE_ADLER.
17/02/08 16:15
수정 아이콘
와 근데 마우스질하다 우연히 이 분 정보 눌러보니 정보가 비공개네요? 신기하네요~
17/02/08 16:50
수정 아이콘
헐 저도 처음보네요
이슬먹고살죠
17/02/08 18:20
수정 아이콘
사실 이런 자연과학쪽 IF...? 문제는 가정이 확실해야 정확한 답변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순수한 산소만 흡입하면 어떻게 될까?" 보다는 "xx 용량의 닫힌 계인 탱크를 가정하자. 이 탱크에 xx 압력의 산소를 채우고, 사람이 이 탱크 내부의 산소만을 호흡하는 상황을 조성했다. 이 사람의 상태는 xx 시간 후 어떻게 변할 까?" 가 좋겠죠.
브라질너트
17/02/08 18:45
수정 아이콘
1기압에서는 100% 산소도 마십니다. 잠수병 발생 상황 시 수면에서 응급처치용으로 100% 산소를 마시기도 하고, 저도 마셔본 경험이 있습니다. 그냥 신선한 느낌이고 공기 마시는 것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인 레저 다이빙에서는 일반 공기와 동일한 비율의 공기통을 사용하는데(산소 21%), 혼합기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으로 인해 공기 성분별 부분압이 높아져서 혈액에 용해되는 기체의 양도 달라지는데, 질소가 체내에 많이 축적되면 질소마취 증상이 오기 때문에 질소 비율을 낮추기 위해 산소가 더 많이 포함된 공기를 사용합니다. 이 경우 보통 산소 32%나 36%를 많이 쓰는데, 산소 비율을 높인 공기로 깊이 잠수하면 산소 부분압이 높아져서 산소중독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은 질소마취보다 더 위험하므로 대략 수심 30미터 이내의 잠수에서만 산소 비율을 높여서 씁니다. 공기 비율마다 한계 수심 계산하는 공식들도 있습니다.

더 깊이 내려가는 테크 다이빙에서는 완전히 다른 비율로 혼합한 기체들을 사용하기도 하고, 수심별로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한 공기통으로 바꾸어 가며 다이빙 합니다.
여왕의심복
17/02/08 18:47
수정 아이콘
잠수의학을 약간 배우긴 했는데,

일단 1기압 100%산소는 대부분 문제가 없습니다. 1.5기압 부터는 산소 독성이 생기긴 하는데, 흔히 말하는 호흡중추 CO2 관련 문제는 아니구요. 다른 기전이 대부분 작용합니다.
17/02/08 19:30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
17/02/08 22:35
수정 아이콘
"산소100%면 죽는다" 라는 결론은 너무 의미없이 과장된 결론 같은데요
꿀밤을 매우 쎄게 때리면 죽고 꿀밤을 엄청 많이 때려도 죽지만
꿀밤을 살인기술이라고 하진 않잖아요.
산소 100%로 죽기 위해선 조건이 너무 많이 붙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7818 [질문] 해외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 물어보지마세요3438 17/02/10 3438
97817 [질문] 방금 비행기 놓쳤는데 당장내일날짜출발예약 [11] 삭제됨4270 17/02/10 4270
97816 [질문] 연말정산 1차 결과 나왔는데 46만원 뱉으라네요 [14] 칼퇴추구자5795 17/02/10 5795
97815 [질문] 노트북이 부팅이 안 됩니다. (해결) [8] 홍승식18070 17/02/10 18070
97814 [질문] (완료) 신라면세점 적립금 3천원 필요하신 분 드릴게요 [5] 눈물보다빨리2382 17/02/10 2382
97813 [질문] [LOL] LSPL 스트리밍 안 끊기는 곳 없나요 아마존장인4863 17/02/10 4863
97812 [질문] 방송에 아이돌덕후들 생방으로 찍히는걸 뭐라하죠? [2] 무민2997 17/02/10 2997
97811 [질문] MRI에는 이상이 없는데 통증이 계속될 경우 [13] 트리티3730 17/02/10 3730
97810 [질문] 아프리카 방송 잘아시는분 계시나요 이재인2584 17/02/10 2584
97809 [질문] 기계식 키보드 재질문입니다. [23] wilen5655 17/02/10 5655
97808 [질문] LOL용 키보드 OR 스타2 키보드와 마우스 추천 받을 수 있을까요? [4] 물리쟁이4241 17/02/10 4241
97807 [질문] 포아너 오버워치처럼 pvp가 전부인가요? [3] 오즈s3409 17/02/10 3409
97806 [질문] [포켓몬] 한판, 일판 두개있을 때 포켓몬 교환 할 수 있나요? [4] 삭제됨3721 17/02/09 3721
97805 [질문] java/jsp 다중테이블 결과 출력방법 질문 [4] eosdtghjl14467 17/02/09 14467
97804 [질문] 짤방, 움짤이 정말 늦게 뜹니다 [9] 생선가게 고양이4684 17/02/09 4684
97802 [질문] 소니 헤드폰 MDR시리즈 어떠신가요? [11] 이선빈4599 17/02/09 4599
97801 [질문] 펜션 IPTV 셋탑박스에 USB를 꼽아서 영화시청시 궁금한점 있습니다. [5] 삭제됨8012 17/02/09 8012
97800 [질문] 아이패드 에어 페이스타임 로그인에러 문의합니다 SlaSh.3458 17/02/09 3458
97799 [질문] 1) 게임 제작 입문 & 2) 건설 현장 아르바이트(노가다) 질문입니다 [13] 조이3731 17/02/09 3731
97798 [질문] 1박2일 일정으로 춘천가는데 추천부탁드립니다. [4] 뿌지직3323 17/02/09 3323
97797 [질문] 해외여행시 여행사에 잔금 입금 관련 질문입니다. [1] 포코포코3783 17/02/09 3783
97796 [질문] 갤럭시 탭 LTE모델 관련 질문드립니다. [6] Zeegolraid3131 17/02/09 3131
97795 [질문] 포켓몬고 체육관 질문입니다. [11] 로사3715 17/02/09 37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