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30 13:13:43
Name 파란코사슴
Subject [질문] 문과 교과과정에서 인덕션의 원리 배우셨나요?
짝궁(공돌이,전자과)이 인덕션의 원리를 설명해주는데
저(문순이,07년수능)는 완전 새로 알게된거였거든요.
인덕션에 전기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겨서 냄비에 페어링 되면서 냄비에 열이 발생한다는거요.

제가 처음 알게된거라고 했더니
기초 중의 기초라 학교에서 안 배웠을리 없다는거에요.

근데 제 기억에는 인덕션 원리는 배운적이 없그든요!!

단, '유도전류'에 대해서는 배웠던 기억이 분명히 나요.
그냥 유도전류란 뭐뭐다 이정도는 분명 배웠어요.

근데 진짜 진짜 인덕션 작동원리는 결단코 배운적이 없어요. 고등학교에서 일반적인 인문계열 교과과정 배우신 분들 어떤가요?!?!

내기가 붙어서요 +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1/30 13:19
수정 아이콘
07수능 이과(화학1,2 생물1,2)였는데 안배운거같은데.........
주저씨
17/01/30 13:22
수정 아이콘
이분 올해 서른살!
파란코사슴
17/01/30 13:27
수정 아이콘
그쵸오! 우리 때 정규 교과과정에 없었던거 같아요! 나름 성실히 공부했는데 공통과학까진 진짜 인덕션은 없었다고 기억되그든요!
17/01/30 13:28
수정 아이콘
전 안배운 것 같은데요.
애초에 인덕션이 활성화된 게 2000년대 중반부터 아닌가요? 그게 교과과정에 들어갔었나...
Philologist
17/01/30 13:28
수정 아이콘
과학 교과서에는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적용되는 건 거의 안 나오지 않나요...
방민아
17/01/30 13:34
수정 아이콘
07수능(물리1, 2 지구과학 1, 2) 본 기억이 없습니다...
파란코사슴
17/01/30 13:36
수정 아이콘
속이 다 시원하네요!
이혜리
17/01/30 13:35
수정 아이콘
04수능 문과 공통과학 48점 인덕션이 없었습니다.
17/01/30 13:37
수정 아이콘
07 그때 그런거 배운 기억이 없어요..
모지후
17/01/30 13:38
수정 아이콘
07수능 이과: 고1 교과서에서 유도전류까진 나온 걸 기억하는데, 인덕션은 못봤습니다'-')a
파란코사슴
17/01/30 13:42
수정 아이콘
그쵸 변압기, 인덕션 요까지 안 나아가고
유도전류, 전자석 정도까지만 배웠죠?!
꿈을꾸다
17/01/30 13:38
수정 아이콘
11문돌이 기억에 없네요 공대 복수전공하는데 인덕터가 뭔지 몰라서 저번학기에 고생좀 했습니다 크크
볼레로
17/01/30 13:45
수정 아이콘
10수능 친 수학전공자인데 제가 아는 인덕션은 귀납법 밖에 없습니다..
워송배틀드럼
17/01/30 13:46
수정 아이콘
저도 제목만 보고 이거인줄...
NightBAya
17/01/30 13:47
수정 아이콘
(2) 에 너 지
(나) 전기 에너지
②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해하고, 이용하는 예를 찾는다.
전류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는 현상을 이해하고, 전류에 의한 자기 작용 및 자기장에 의한 전류의 발생 등과 같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해하고, 전자기 현상의 예를 일상 생활에서 찾아 학습하도록 한다.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해설서

http://eduing.gnedu.net/kemSearch/list.do?currPage=1&mode=SEARCH&period=&keyword=%C0%CE%B4%F6%BC%C7

고1 교육과정상에서는 명시적으로 인덕션을 이야기하지는 않기는 한데 관련 예시로 언급되었을 가능성은 있을 것 같습니다.
17/01/30 13:53
수정 아이콘
인덕션이라는것 자체는 안배겠죠 하지만 인덕션이라는 기계 자체가 워낙 기초과학만 알아도 이해가 되는 간단한 제품이라..

전기->열 에너로 전환하는 간단한 기계죠
래쉬가드
17/01/30 14:05
수정 아이콘
전기를 열로 전환한다 해도 열선을 깔아서 뎁히는 핫플레이트와는 다르니까요
인덕션에서 열이 발생하는 과학적 원리는 모르는분 많을겁니다
파란코사슴
17/01/30 17:48
수정 아이콘
네 윗분 말씀대로 전자기유도 원리에 대해 배웠냐가 핵심쟁점이었어요.
침묵하는자
17/01/30 14:47
수정 아이콘
인덕션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는 알았는데 인덕션에서 나오는 열로 조리하는줄... ㅡㅡ;

인덕션으로 조리 못하는 냄비도 있었다니 문화충격이네요....
파란코사슴
17/01/30 17:50
수정 아이콘
전자기유도로 냄비 밑바닥이 뜨거워지는거지 인덕션 자체는 발열하지 않는다는게 핫플레이트(뭔가를 달궈서 열을 내서 그 열을 냄비로 전도시키는 것)과 다르더라구요!
그래서 전자기 유도를 배웠느냐의 논쟁이 시작된거에요 흐흐
17/01/30 14:49
수정 아이콘
인덕션에 대해서 배운적은 없고 전자기유도 같은거 배우면서 선생님에 따라서 얘기해준 사람은 있겠다 싶네요.
candymove
17/01/30 14:59
수정 아이콘
07수능봤습니다. 인셉션은 알아도 인덕션은 모릅니다. 집 가스렌지 전기쿡탑으로 바꿀 때 첨 들었어요. 신기방기했다는....
17/01/30 15:26
수정 아이콘
인덕션 원리는 알아도 그걸로 뭐 하는건지는 모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모릅니다.
17/01/30 15:28
수정 아이콘
내기 이기셨네요
인덕션 작동원리는 나온적이 없습니다.
자유형다람쥐
17/01/30 15:37
수정 아이콘
일부러 지는 내기를 걸어서 데이트 신청하는 남자분의 빅픽챠 아닙니까?
아케르나르
17/01/30 15:45
수정 아이콘
인덕션 렌지는 나온 지 얼마 안됐을 지 몰라도 IH(인덕션 히팅) 전기 압력밥솥 나온지는 좀 됐죠. 다들 집에 하나씩은 있으시잖아요. 뭐 저도 인덕션이 뭔지는 검색해보고 알았었지만서도. 배우긴 배웠던 거 같습니다. 97학번 이과생입니다.
울어주기
17/01/30 15:58
수정 아이콘
전 인덕션이라는 단어 자체를 들어본적이없는데 다른분들은 적어도 저게 무엇인지는 알고계셨나보네요
17/01/30 16:40
수정 아이콘
이과에 생물1 빼고는 다 1등급 나왔고 수학 교과서에 읽을거리로, 수학자 아벨이 고차방정식의 일반적 해법은 없음을 19세에 증명했다는걸 봤다는거 까진 기억 합니다만... 인덕션이란 단어를 교과서에서 본 기억이 없습니다. 여친집에 있는 인덕션을 보기 전까지(한 1년 전까지) 그 기기 명칭이 인덕션인지도 몰랐습니다 -_-;;
동전산거
17/01/30 17:35
수정 아이콘
지금 고등학생인데 공통과학까지 밖에 안했지만 저도 안배웠는데...
파란코사슴
17/01/30 17:51
수정 아이콘
현직자분 답변 감사합니다 크크크
동전산거
17/01/30 18:23
수정 아이콘
다만 전자기 유도는 공통과학/물리에 나옵니다... 내기에 참고하셔요
시미군
17/01/30 17:50
수정 아이콘
제가아는 인덕션은 마취할때 쓰는말..
17/01/30 18:27
수정 아이콘
정식 교과과정 상에는 없었을 겁니다. 교과서마다 다른, 예시 같은데 소개 정도로 나왔을 수도 있겠네요.
유스티스
17/01/30 18:54
수정 아이콘
여기 친구가 많네요.
17/01/30 20:33
수정 아이콘
전자공학 전공했고 현재도 관련 업계에서 전자공학으로 먹고 살고 있습니다.
이 글 보고 인덕션 렌지라는게 뭔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누가 생각했는지 천재적인 발상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7360 [질문] 안드로이드 개발 - 팝업 윈도우가 안꺼집니다;; [5] 레이오네2954 17/01/31 2954
97359 [질문] 글을찾습니다. [2] 교자만두3082 17/01/31 3082
97358 [질문] [스타1] 테프전에서 커맨드센터 띄운걸 스카웃으로 깬 경우가 있나요? [16] 솔지5232 17/01/31 5232
97357 [질문] 닌텐도 wii 쓰시는분 계신가요? [10] 뽕뽕이4126 17/01/31 4126
97356 [질문] 서울에 이쁜 고양이 인형 파는 곳이 있을까요? [2] 알카드3999 17/01/31 3999
97355 [질문] 선택약정할인 잘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6] backtoback3424 17/01/31 3424
97354 [질문] 전세집 알아보는 중인데 질문요. [21] gneroo4839 17/01/31 4839
97353 [질문] 바깥의 열기를 막기 위해서는 창문을 연다? 닫는다? [3] AirQuick3120 17/01/31 3120
97352 [질문] LG 노트북 U560-GH30K쓰고 있습니다. 블루투스 기능 어떻게 확인 또는 활성화 시키나요? [3] 달걀껍질4379 17/01/31 4379
97351 [질문] 부모님 집에 둘 오디오(백만원~2백만원) 추천부탁드립니다. [4] 달걀껍질2934 17/01/31 2934
97350 [질문] 백버튼 있는 무선 마우스 찾기가 이렇게 힘든건가요? [4] 달걀껍질3429 17/01/31 3429
97349 [질문] 미드 추천해주세요. [14] 앙큼 상큼 응큼4251 17/01/31 4251
97348 [질문] [LOL] 게임중 탭을 누르면 아이디가 안보입니다. [5] SonOfDarkNess5418 17/01/31 5418
97347 [질문] 5월 오키나와 여행을 추진중입니다. [15] 알팅이3547 17/01/31 3547
97346 [질문] 기계알못이 질문드립니다(플스4관련) [6] 다비치이해리2965 17/01/31 2965
97345 [질문] (무역영어) credit granted의 의미가 뭘까요? [2] 소로리2915 17/01/31 2915
97344 [질문] 제주도 먹거리여행 추천 좀해주세용 [12] 어른이유5372 17/01/31 5372
97343 [질문] [컴퓨터] 이런 것도 가능하나요?? [4] 우니3384 17/01/31 3384
97342 [질문] 부모님 휴대폰 바꿔드리려하는데 질문좀 드립니다. [9] Song15859 17/01/31 5859
97341 [질문] 이 그림 속 캐릭터가 누군가요? [3] 작고슬픈나무2753 17/01/31 2753
97340 [질문] 서울에 혼술하기 좋은 곳 있을까요??? [4] 레너블2971 17/01/31 2971
97339 [질문] HDD 4TB 제품 추천부탁드립니다. [3] 수박이박수3515 17/01/31 3515
97338 [질문] 첫만남에 절은 하는거 아닌가요? [24] 무쓸모4297 17/01/31 42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