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21 20:35:59
Name 레너블
Subject [질문] 싸움에 가장 도움 되는 운동이 뭘까요?
자기보호에 가장 좋은 스포츠가 뭘까요??
복싱?? 유도?? 여러가지 많겠지만 그중에서도 어느 스포츠가
가장 도움이 될까요?

그리고 혹시 복싱이나 유도 배워보신분들
어떠셨나요?  배울만한가요?? 몸이 건강해진다거나
돈값을 한다거나 도움 많이 되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특수문자
17/01/21 20:37
수정 아이콘
복싱 - 레슬링 - 주짓수 순서대로 배우면 됩니다.

제일 유용한건 복싱이구요. ufc 선수들도 저 3가지를 다 배웁니다. 제일 코어가 되는 운동이예요.
파랑니
17/01/21 20:41
수정 아이콘
가장 좋은 것은 삼십육계 줄행랑이죠.
달리기를 하세요.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뽀디엠퍼러
17/01/21 20:44
수정 아이콘
제일 도움이 되지만 도움이 되지 않는건...

검도 입니다.
동전산거
17/01/21 21:10
수정 아이콘
검도하시는 분이 막대기(?) 쓰시는거 봤는데 뼈도 못추리겠단 생각이 들었었는데...
뽀디엠퍼러
17/01/21 21:17
수정 아이콘
그래서 도움이 안되죠.. 우리나라에서 무기 들고 싸우면 처벌이 좀 쎄거든요..ㅜㅜ
17/01/21 21:00
수정 아이콘
1:1 유도 레슬링 주짓수

1:다 달리기... 또는 복싱

사실 이건 이종격투기가 새로 역사를 쓰면서 결론이 어느정도 났죠. 그리고 복싱의 기술은 사실 종합격투기의 펀치기술과 크게 다릅니다. 복싱처럼 체중을 실어서 서로 엉키는 거 각오하고 날리는 펀치는 태클때문에 안나오고, 위빙같은 회피기술도 킥이나 태클 때문에 완전히 다르다고 보심 돼요.
방민아
17/01/21 21:05
수정 아이콘
복싱이라고 생각합니다. 길거리에서 한번에 제압하며 위압감을 보여주기엔 복싱이 제일 좋은 것 같네요.
17/01/21 21:11
수정 아이콘
일반인 수준에서는 운동의 종류보다는, 얼마나 오래 성실히 했는지가 더 중요한거 같습니다.
저는 복싱 배웠는데, 돈값은 하는거 같아요. 운동 자체가 재미는 있어서요.
pure fiction
17/01/21 21:13
수정 아이콘
복싱이죠
시비붙으면 테클보다 주먹이 먼저 나갈테니까요
17/01/21 21:23
수정 아이콘
무에타이?
트윈스
17/01/21 21:31
수정 아이콘
체중이요..
17/01/21 21:53
수정 아이콘
기본 카디오 및 기초체력증진을 생각하면 역시 복싱이 아닐까싶은데요
MissNothing
17/01/21 22:55
수정 아이콘
복싱이죠, 근데 싸울줄 아는 사람을 만나면 유도, 주짓수입니다. 문외한들 사이에선 복싱이 최고
네오크로우
17/01/22 12:00
수정 아이콘
복싱+무에타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926 [질문] 티비 어느 것이 좋을까요? [17] 토꺙4001 17/01/22 4001
96925 [질문] 배틀넷 런처 해상도 오류 곰슬기4696 17/01/22 4696
96924 [질문] 오디오기기 잘 아시는 분 계실까요? [3] F.Nietzsche2969 17/01/22 2969
96923 [질문] 자동차 배터리 방전과 배터리 수명의 연관성 (블랙박스) [13] Dow8181 17/01/22 8181
96922 [질문] [LOL] 스포tv/ OGN 화질 질문드립니다. [12] HALU4892 17/01/22 4892
96920 [질문] 말잘하는 법 없나요? [10] 삭제됨3130 17/01/22 3130
96918 [질문] [스타2] 스타1 미션 및 다른 켐페인 돌리는 방법이 있나요? [2] Achievement2634 17/01/22 2634
96917 [질문] 좋은 글 쓰는 방법좀 나눠주세요 [2] 동전산거2753 17/01/22 2753
96916 [질문] 폐노트북 처리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7] Meditation7779 17/01/22 7779
96915 [질문] 커리어 및 이직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1] 강희최고4031 17/01/22 4031
96914 [질문] 라오어가 명작이라 불리는 이유는 뭘까요?? [19] ISUN3799 17/01/22 3799
96913 [질문] 법잘알 계시나요. 네이버카페에서 저격당해 여자친구와 헤어지게 되었는데요. [18] 삭제됨5310 17/01/22 5310
96912 [질문] 운동은 식후인가요? [8] 삭제됨3923 17/01/22 3923
96911 [질문] [스타1] 유닛 고장 안나는 빠른무한맵 구하는 법 해저로월4235 17/01/22 4235
96910 [질문] 아기 카시트 질문입니다. [4] purplejay3161 17/01/22 3161
96908 [질문] 추석연휴기간 싼 항공권이 더 열릴까요? [7] 시간2947 17/01/22 2947
96907 [질문] 임금체불 신고 기간에 대해서 [4] hk11615421 17/01/22 5421
96906 [질문] 여러분의 최고의 영화 트릴로지는 뭔가요? [42] 만일....100014251 17/01/22 4251
96905 [질문] 후쿠오카 맛집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19] Hysteresis3707 17/01/22 3707
96903 [질문] 스마트폰 실사용기 정리된 사이트가 있을까요? [4] 른밸3034 17/01/22 3034
96902 [질문] [인생상담 요청] 대기업에서 이직을 하려 합니다. [34] endeavorhun7757 17/01/22 7757
96901 [질문] [LOL] 같이 하실분계신가요? [3] 웬디2063 17/01/22 2063
96900 [질문] 나폴레옹 전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 책이 있을지요...? [2] nexon2627 17/01/22 262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