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19 19:20:16
Name Mindow
Subject [질문] [급궁금] 나는 라면을 끓일 때
라면 끓이다 피지알 분들은 어떠한지 급궁금해져서 써봅니다.

A: 나는 라면 물 끓일 때 쓰는 물은 수돗물로 쓴다.
1. 당연히 편하므로 수돗물로 끓인다.
2. 찝찝해서 생수나 정수된 물로 끓인다.

B: 나는 라면 물의 양을 정할 때
1. 계량기 혹은 나만의 컵이나 도구 같은 걸로 매번 정확하게 넣는다
2. 대충 느낌 상 넣는다

C: 내 물 양의 기호는
1. 남들이랑 비슷한 물의 양인 것 같다.
2. 남들보다 약간 좀 물 많은 정도다
3. 남들보다 좀 부족한 느낌이다

D: 내가 라면 스프 넣는 타이밍은
1. 물이 끓기 전에 미리 넣는다
2. 물이 끓고 난 후에 넣는다.

E: 나는 라면발을 넣을 때
1. 2등분 혹은 그 이상으로 부숴 넣는다
2. 통째로 그냥 넣는다

F: 나는 라면발 찌꺼기를
1. 안 먹고 그냥 버린다.
2. 냄비에 같이 넣는다
3. 입에 털어 먹는다.

G: 나는 라면발을 익힐 때
1. 살짝 익힌 느낌으로 먹는다
2. 적당히 푹 익힌 느낌으로 먹는다
3. 일부러 더 익힌 느낌으로 먹는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1/19 19:24
수정 아이콘
1(수돗물) 1(계량) 1(비슷한 물양) 1(미리 스프부터) 1(2등분) 3(입에 털어넣기)인 것 같아요.
마지막은 사실 푹 익은 면이 좋긴 한데 라면 끓이다보면 그 익는걸 못참고 항상 조급하게 불을 끄게 되더라구요 크크 그래서 1번인걸로...
동네꼬마
17/01/19 19:25
수정 아이콘
1 / 2 / 1 / 2 / 2 / 2 / 2
이렇게입니다.

근데 1,2번을 제외하고는 그때 그때 다르긴 합니다.

특히 라면스프같은경우에는, 라면 올려놓고 다른걸 해야겠다 싶으면 그냥 한번에 다 때려넣고 ..
기린그린그림
17/01/19 19:27
수정 아이콘
수돗물을 계량해서 정량 보다 약간 적게 넣어 물이 끓기 전에 스프를 넣은 뒤
물이 끓으면 면은 통째로 넣고 남은 부스러기도 냄비에 넣어 면이 꼬들꼬들 하게 익으면 먹습니다.
17/01/19 19:27
수정 아이콘
1 2 3 1 2 3 2 이네요. 반 쪼개는거는 혼자 먹으면 안 쪼개고 여럿이 먹으면(라면 여러개면) 쪼갭니다.
하우두유두
17/01/19 19:28
수정 아이콘
1231231
에베레스트
17/01/19 19:33
수정 아이콘
1 2 2 2 2 2 1
케냐AA
17/01/19 19:34
수정 아이콘
1 1 1 2 2 1 1
AirQuick
17/01/19 19:35
수정 아이콘
1111221
겁나빠른거북이
17/01/19 19:36
수정 아이콘
1111232 입니다.
두부과자
17/01/19 19:36
수정 아이콘
1232121
재출발자
17/01/19 19:37
수정 아이콘
121231
무무무무무무
17/01/19 19:38
수정 아이콘
혹시 수돗물 온수를 커피포트에 끓여서 넣는 분 안계신가요? 이러면 라면 끓이는 시간을 확 줄일 수 있죠....
17/01/19 19:38
수정 아이콘
1 2 (1 or 3) 1 2 2 1
TheLasid
17/01/19 19:38
수정 아이콘
2231221
17/01/19 19:40
수정 아이콘
1222221
그랜드
17/01/19 19:40
수정 아이콘
1 1 1 2 2 2 1
17/01/19 19:41
수정 아이콘
1232221이긴 한데... 냄비에 끓일 때는 말이죠...
그릇에 면 넣고 스프 넣고 냉온수기에서 온수 넣고 전자레인지에 2분 돌려 먹는 건 뭘로 해야 되죠?
17/01/19 19:42
수정 아이콘
1232213

A 항의 경우 간혹 정수기물을 쓰기도 합니다만
위생 문제가 아니라 온수를 받아서 빨리 먹으려는 의도죠 .. 완전 배고플때
17/01/19 19:47
수정 아이콘
2131211
여섯넷백
17/01/19 19:51
수정 아이콘
1(수돗물) / 1(커피포트 이용해서 550ml 맞추기) / 1(계량했으니까 비슷) / 1(미리) / 1(정확히 2등분) / 2(부스러기 넣고) / 1(살짝 덜 익혀서)
동전산거
17/01/19 19:51
수정 아이콘
2112231
지나가다...
17/01/19 19:51
수정 아이콘
수돗물, 계량컵, 정량, 처음부터 투하, 통째로, 냄비에 털어 넣음, 약간 덜 익힘
17/01/19 19:53
수정 아이콘
어,, D번은 뭔가 보기가 부실해 보여요. 전 라면 인스에서 권하지 않는 한, 물이 끓기 시작하면 반드시 면부터 넣고 스프를 넣습니다.
17/01/19 19:53
수정 아이콘
1231121 이네요.
마지막 면 상태는 넣고 20초만에 빼서 딱딱한 상태로 먹습니다.
17/01/19 19:58
수정 아이콘
헐 거의 라면봉지에 끓인물 부워서 먹는 수준 아닌가요? 크크
17/01/19 19:59
수정 아이콘
정수 / 계량컵 / 정량이니까 남들에 비하면 많을 듯 / 끓고 나서 면 투하 직전 / 누가 라면 끓여줄 때 면 뽀개면 짖어요 / 부스러기 같이 넣어요 / 꼬들꼬들하게 먹어요
Nasty breaking B
17/01/19 20:03
수정 아이콘
1132111
ll Apink ll
17/01/19 20:04
수정 아이콘
1/2/1/1/2/1/2
17/01/19 20:13
수정 아이콘
1231221
레너블
17/01/19 20:14
수정 아이콘
123222?
17/01/19 20:21
수정 아이콘
a. 1이지만 정수기에서 뜨거운 물이 나와서 끓이는 시간 줄이려고 정수기 물로 끓이고 있네요.
b. 2
c. 3이라기보다도 좀 많이 부족한 편?
d. 1
e. 2
f. 2
g. 1
이수현이해인
17/01/19 20:27
수정 아이콘
1211221
17/01/19 20:33
수정 아이콘
라면 하나 끓이는 데 선택지가 이렇게 많다니, 라면 너란 녀석은...
Rorschach
17/01/19 20:53
수정 아이콘
1.2.1.2(면부터 넣고 바로 스프 넣습니다).1.2.1.
유스티스
17/01/19 20:53
수정 아이콘
2211231
아케르나르
17/01/19 21:55
수정 아이콘
213223 살짝 덜 익게
밤톨이^^
17/01/19 22:03
수정 아이콘
전부 1
방민아
17/01/19 22:45
수정 아이콘
1 2 1 2 (사각이면 1, 원형이면 2) 3 2
독수리가아니라닭
17/01/19 23:03
수정 아이콘
1 2 3 2 2 3 1
17/01/19 23:05
수정 아이콘
1211122
브라질너트
17/01/19 23:46
수정 아이콘
1 2 3 1 2 2 1
Tyler Durden
17/01/19 23:48
수정 아이콘
1/1/1/1/1/2/1
김성수
17/01/20 00:15
수정 아이콘
A. 1 / B. 2 (근데 거의 비슷한 양을 넣는 지점이 있긴 있습니다, 라면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위에서 정면으로 봤을 때 윗면이 물에 반만 잠길 정도로 찰랑찰랑한 느낌으로 물을 넣습니다.) / C. 2 / D. 1 (예전에 라면 먹을 때는 스프를 반만 넣고 (집된장 있을 때는 된장 조금 넣어서) 먹어서 싱겁게 먹는 것을 알았는데 요즘에는 스프도 다 넣고 그래서 확실히 짜게 먹는 걸로 바뀐 것 같긴 합니다만 과거와 같은 기준점이 사라져서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 E. 2 / F. 2 / G. ? (이건 그날 먹고 싶은대로 합니다. 저는 라면 퉁퉁분 것도 매력 포인트를 분명히 느끼고 있습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17/01/20 09:02
수정 아이콘
1, 2, 3, 2, 3(때에 따라 다르다), 2(배 많이 고프면 3+베어 먹기도 한다), 3
estrolls
17/01/20 09:22
수정 아이콘
A=1(어차피 팔팔 끓이면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편이라....)
B=2(처음 쓰는 냄비에 한해서 매뉴얼대로 넣어보고 그 다음부턴 느낌대로...)
C=3(국물은 거의 안먹는편이라....)
D=2
E=1(1개면 2...보통 2개를 먹는편이라....-_-..)
F=2
G=1(꼬들꼬들한게 맛있으니까..흐흐흐...아 한번에 5~6개 끓일때는 식초 조금(반스푼..?) 정도 넣으면 꼬들한게 오래감)
주니뭐해
17/01/20 10:16
수정 아이콘
1231223
YORDLE ONE
17/01/20 11:2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통계충입니다

A: 나는 라면 물 끓일 때 쓰는 물은 수돗물로 쓴다.
34표 1. 당연히 편하므로 수돗물로 끓인다.
05표 2. 찝찝해서 생수나 정수된 물로 끓인다.

B: 나는 라면 물의 양을 정할 때
12표 1. 계량기 혹은 나만의 컵이나 도구 같은 걸로 매번 정확하게 넣는다
27표 2. 대충 느낌 상 넣는다

C: 내 물 양의 기호는
17표 1. 남들이랑 비슷한 물의 양인 것 같다.
03표 2. 남들보다 약간 좀 물 많은 정도다
18표 3. 남들보다 좀 부족한 느낌이다
01표 4. 1 or 3

D: 내가 라면 스프 넣는 타이밍은
21표 1. 물이 끓기 전에 미리 넣는다
18표 2. 물이 끓고 난 후에 넣는다.

E: 나는 라면발을 넣을 때
10표 1. 2등분 혹은 그 이상으로 부숴 넣는다
26표 2. 통째로 그냥 넣는다
3표 3. 기타

F: 나는 라면발 찌꺼기를
08표 1. 안 먹고 그냥 버린다.
23표 2. 냄비에 같이 넣는다
08표 3. 입에 털어 먹는다.

G: 나는 라면발을 익힐 때
25표 1. 살짝 익힌 느낌으로 먹는다
06표 2. 적당히 푹 익힌 느낌으로 먹는다
04표 3. 일부러 더 익힌 느낌으로 먹는다
04표 4. ??

번호 안쓰시고 주관식으로 쓰신분은 스킵했습니다
그럼 20000
17/01/20 13:0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834 [질문] 출산시 진통부터 태아의 산도통과까지는 얼마나 걸리는지요...? [6] nexon3849 17/01/21 3849
96833 [질문] 취업준비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3] 슬라임3261 17/01/21 3261
96832 [질문] 심장질환관련 질문 [3] B7632131 17/01/21 2131
96831 [질문] 질문은 아니고 연애관련 조언했던 글 후기입니다. [25] 삭제됨4128 17/01/21 4128
96830 [질문] 체중감량과 식단조절, 운동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6] 리들3022 17/01/21 3022
96829 [질문] 사무용 무선 마우스 추천해주세요 [1] 민방위면제4518 17/01/21 4518
96828 [질문] 닌텐도 스위치는 정발이 될까요? [13] 탕아5717 17/01/21 5717
96826 [질문] 애드센스 클릭이 있는데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뭘까요 [5] F.Nietzsche3703 17/01/21 3703
96825 [질문] 안양 -> 스타필드 하남 가는 길 막히나요? [4] 칼퇴추구자3024 17/01/21 3024
96824 [질문] 커브드모니터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6] 화잇밀크러버2517 17/01/20 2517
96823 [질문] 무슨 CF인지 궁금합니다 [2] 금빛구름2222 17/01/20 2222
96822 [질문] 신도림 맛집 소개 부탁드립니다 (점심식사) [11] funk4917 17/01/20 4917
96821 [질문] 노이즈캔슬링 헤드폰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6] 화잇밀크러버3837 17/01/20 3837
96820 [질문] 가락시장에 회를 먹으러 가려고 합니다 [2] 이브나3303 17/01/20 3303
96819 [질문] 도깨비 재밌나요? [23] 핸드레이크5870 17/01/20 5870
96817 [질문] time recoding류의 스케쥴, 공부등 시간기록에 괜찮은 어플있을까요? 아직 인증받지 않은 회원입니다2654 17/01/20 2654
96816 [질문] 클래시로얄 볼러의 카운터를 알려주세요. [8] 숙청호4809 17/01/20 4809
96815 [질문] 그랜트 대통령의 일반수칙 11조가 뭐지요? [3] 말년행보관2297 17/01/20 2297
96814 [질문] 다이어트 후 탈모오신분 계신가요? [16] OneDayMore9524 17/01/20 9524
96813 [질문] 작년 10월에 퇴사했는데 연말정산 어떻게 하죠? [6] 지수4436 17/01/20 4436
96812 [질문] 노래노래 열매 능력자 분들에게 질문드립니다. [2] 가브라멜렉2667 17/01/20 2667
96811 [질문] 유희왕카드 전문가 있나요? [2] 솜사탕흰둥이2277 17/01/20 2277
96810 [질문] 고속도로 자동차 사고 질문입니다. [5] 하자2426 17/01/20 24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