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13 11:00:29
Name younha
Subject [질문] 이명박 정부의 과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날씨가 다시 추워지고 있는데 다들 안녕하신지요?

저는 흔히들 말하는 범야권 지지자 (요새는 헛발질 하는 대선주자들이 많아서 어느새 문재인 지지자가 되어버렸네요.) 입니다.  

허나 박근혜 정부의 과야 더이상 말해봐야 입아플 지경이지만, 누군가 제게 이명박 정부에 과에 대해 묻는 다면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잘못한게 없습니다 라는 의미가 아니고 정말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 부모님도 '그래도 이명박은 잘했지' 라고 말씀하시는데에 저도 마땅히 반박을 할 게 없어서, 혹시 이명박 정부의 공과 과에 대해서 알 수 있을까요?

민생 관련해서 국민의 정부, 참여 정부에 비해 확실히 안좋다 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한 정부의 공과를 단편적으로 보는게 쉽진 않겠지만, 다양한 측면에서 알고계신 정보들을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운영진께서 민감한 주제라고 판단하신다면 언제든지 글을 내리도록 하겠습니다.

추위 조심하시고, 늘 건강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산양사육사
17/01/13 11:02
수정 아이콘
언론문제가 가장 크겠죠. 개인적으로는 4대강 보다 안좋게 봅니다.
이호철
17/01/13 11:08
수정 아이콘
사실이긴 하지만 어르신들 설득하기엔 안좋은 카드라고 봅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17/01/13 11:15
수정 아이콘
4대강, 선거개입으로 끝. 특히 정권바뀌면 그때 선거개입에 부역했던 사람들 더 엄하게 처리해 주면 좋겠는데 말이죠. 정말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
나가사끼 짬뽕
17/01/13 11:17
수정 아이콘
길게 쓰다가 말았는데;;; 자꾸 글이 잘리네요

민간인 사찰/선거개입 이것만으로 그냥 탄핵 당해서 자리에서 끌어내려졌어야 하는 인간이죠
Jace T MndSclptr
17/01/13 11:22
수정 아이콘
테마가 민생이나 경제라면 그렇게 명쾌하게 설득하실 수 있는 자료는 없습니다. 그냥 쓰잘데기 없는데 돈을 많이 썼으니 어딘가에서 문제가 생기는것에 책임이 있을것이다 정도? 부모님 의견을 존중해주세요.
빠니쏭
17/01/13 11:32
수정 아이콘
자원외교, 4대강, 언론 장악, 사찰
타마노코시
17/01/13 11:35
수정 아이콘
민간인 사찰이나 언론 문제는 어른들에게 있어 대통령은 그럴 자격 있다 혹은 다른 때에도 다 그랬다로 모두 얼버무릴(?) 수 있습니다.
차라리 손주가 있는 어른이라면 육아 대책, 손주가 없는 경우에는 4대강과 증세를 이야기하는 것이 그나마 잘 먹히는 거라 봅니다.
그리고 예산 낭비를 이야기하면서 그 돈이 다 어디서 나왔는지를 곁들여 이야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예전에 설득할 때, 맨날 풀떼기만 먹이던 아버지를 싫어했는데 새아버지는 치킨도 사주고 고기도 사주고 좋았다가 알고보니 빚내서 잘해주고 5년 뒤에 빚만 남기고 튀었다고 이야기했네요.)
17/01/13 11:47
수정 아이콘
4대강, 자원외교같은 쓸데없는 돈낭비하고, 실제로 필요한 보육, 교육, 복지 예산 줄였잖아요.
국가에 빚이 엄청 늘었는데 나아진게 없으면 그건 중간도 못간거죠..
신중함
17/01/13 12:03
수정 아이콘
공은 도대체 뭐냐고 여쭤보세요.
마르스
17/01/13 12:22
수정 아이콘
언론장악중에 종편 만든건 의도는 굉장히 나빴는데 결과적으로 잘한게 되어버려서...좀 아니러니하죠.
소 뒷걸음질 치다 닭잡은격-_-;;
펠릭스
17/01/13 12:40
수정 아이콘
거제 지역 조선소를 깔끔하게 말아드셨습니다. 망한건 박근혜때라지만 거기 사장이 이명박 낙하산이었습니다.

4대강에 날린 돈 만큼 자원외교 한다고 다 말아드셨습니다.



잘한건 있네요. 부동산 막은거. 참여정부때 폭등하던 부동산을 아주 잘 잡았습니다. 크크크크크.
김수영
17/01/13 20:55
수정 아이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189758

지금에 와선 그 이명박의 부동산 정책이란 것도 결국 이명박이 능력을 발휘했다기보다는 참여정부가 만들어낸 과실을 받아먹었다라는 평이 지배적입니다. 참여정부 당시에는 이런저런 부작용이 많았지만 나중 들어선 결과적으로 정책이 효과를 봐서 부동산 시장이 안정을 찾았고 그것을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 손가락 하나 안 까딱하고 빨아먹었다는 거죠.
펠릭스
17/01/13 21:45
수정 아이콘
아니 그냥 경기가 망했기 때문에 부동산 폭등이 사라졌다고 비꼰겁니다.
김수영
17/01/13 21:48
수정 아이콘
아...네;
달과별
17/01/13 14:34
수정 아이콘
국가인권위원회를 식물로 만들어 놓은 거죠. 헌병철 생각하면 이가 갈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504 [질문] 안드로이드 백업 질문 [1] 이밤이저물기전에2266 17/01/15 2266
96503 [질문] 가족사진찍을 사진관 구하는 팁있나요? 풋사과2214 17/01/15 2214
96502 [질문] 초등학생 학부모분들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1] 트와이스정연2129 17/01/15 2129
96501 [질문] 고구마, 감자를 먹으면 입술주변이 간지럽습니다... [6] Soul Tree2975 17/01/15 2975
96500 [질문] [스타1] 이제동선수가 테란을 거의못잡던데요... 4강전 희망이 있을까요? [11] 올인5365 17/01/15 5365
96499 [질문] [마구마구] 91해태 타자 & 투수 최상의 라인업 (이미지 있음, 프로2군용) [6] John Snow6691 17/01/15 6691
96498 [질문] [하스스톤] 죄송하지만 제가 해적질을 하고 있습니다. [2] 블aa2584 17/01/15 2584
96497 [질문] (캐드질문)이정도 도면을 그리고 싶습니다 [9] 맨송맨송2820 17/01/15 2820
96496 [질문] [스타1] 복귀하려고 하는데 필요한 준비물 질문드립니다. [3] 캐리건을사랑2892 17/01/15 2892
96495 [질문] 만화책 어디서 사세요? [7] Zakk WyldE2661 17/01/15 2661
96494 [질문] 퇴사시 연말정산 관련 질문입니다. [3] 호박때리기2311 17/01/15 2311
96493 [질문] 팟캐스트 진행 [1] 교자만두1868 17/01/15 1868
96492 [질문] 윈도우 10 이후 wifi 문제 [3] 좋은하루되세요2536 17/01/15 2536
96491 [질문] [스타1] 토스가 테란을 물량으로 시원하게 이긴 경기 추천해주세요 [12] 꺄르르뭥미3055 17/01/15 3055
96490 [질문] 사람들과 쉽게 할 수 있는 재미있는 게임 어떤 게 좋은지요...? [5] nexon2791 17/01/15 2791
96489 [질문] [급질] 이태원역, 한강진역 근처 카페 추천 [2] 더치커피3240 17/01/15 3240
96488 [질문] [던파] 복귀 질문 드립니다. [4] AminG2655 17/01/15 2655
96487 [질문] 게이밍데탑과 플스4보유중인데 게임하나때문에 플스3구입하는건 멍청? [9] 선동가3020 17/01/15 3020
96486 [질문] [불륜] 이런 경우를 불륜으로 의심할 수 있을까요? [18] 삭제됨5050 17/01/15 5050
96485 [질문] 결혼식장 페업하면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4] 하우두유두3565 17/01/15 3565
96484 [질문] 한국은 왜 분단이 되었던거죠? [25] ThreeAndOut4732 17/01/15 4732
96483 [질문] 1월 23일 월요일 하이원리조트! [3] MagicMan2243 17/01/15 2243
96482 [질문] 해외대학 졸업후 한국에서 취업할때 질문... [3] 가렌3370 17/01/15 33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