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10 14:34:56
Name 목화씨내놔
Subject [질문] 세월호 7시간에 대통령이 취했어야할 행동은?
순수한 질문입니다.

세월호 침몰 후 7시간 동안 대통령으로서 국민들을 보호하는 수장으로서 해야할 행동이 뭐가 있을까요?

박근혜를 두둔하고자 하는게 아니고요.

예전에 백화점 붕괴사고나 이런 큰 재난 사고가 있었을 때 어떤 행동을 했는지가 궁금해서요

제 식견이 짧은지는 모르겠지만 핵발전소 폭발이나 큰 산불, 지진 아니면 북한의 도발 위협 등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보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보여서요.

빠르게 현재 상황 보고를 받고 그 다음에 어떻게 조치 중인지에 대한 보고를 받은 후에

해당 업무를 진행할 장관급에게 전화해서 문제 없이 조치하라고 지시하고

가장 주요하게 생각해야할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전달하고 그 부분에 대해서 장관이나 그 외 책임자의 생각은 어떤지 묻고

그리고 중간 중간 결과나 진행사항 보고 받고

이 정도면 대통령으로서의 역할이 끝이 아닐까요?

매스컴과 소통은 책임자나 장관급에게 맡겨두고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에 필요하다면 대국민 담화 정도 발표하면 되고요.

이것도 제대로 안 해서 문제다라고 생각하시는거죠?

아니면 모든일 제쳐두고 세월호 현장에 대통령이 즉각 내려가서 진두지휘해야했다고 생각하시는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1/10 14:39
수정 아이콘
내가 신경쓰고 있다
최선을 다 하고 있다
지금 상황에서 이 사건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 정도 느낌만 전달되면 충분하다 생각합니다.
저중에서 아무것도 안했으니 문제지...
17/01/10 14:45
수정 아이콘
그냥 일본만 봐도.. 국가 재난에 가까운 상황이 있으면 해외에 있어도 1-2시간내에 기자회견을 하는등 사태파악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합니다. 근데 아무것도 안했어요. 다죽어갈동안 그냥.. 구조가 아니라 이해가 안가는 통제를 했죠.
17/01/10 14:47
수정 아이콘
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동원해서 구조요청/지시를 내리는 일이죠.
일단 구해내라. 뒷일은 내가 처리해보겠다 정도의 워딩을 보여주면 되겠죠.
forangel
17/01/10 14:47
수정 아이콘
직접 나와서 해경이던 누구던 모든 수단을 강구해서 구출하라. 필요한 자원이 무엇이던 돈이 얼마가 들던 내가 책임질테니 모든 가능한 수단을 강구하라.
정도가 최선이겠죠.

여기서 중요한건 대통령의 직접적인 말과 일이 벌어진 후의 수습과정에서의 책임소재를 대통령이 짊어짐으로서 공무원들이 제대로 일을 할수 있게끔 하는것이겠죠.

태안에서의 기름유출사고때 노무현이 했던말이 정답에 가장 근접하다고 봅니다.
최강한화
17/01/10 14:48
수정 아이콘
통보받자마자 담당부처 전화해서 "최선을 다하고 모든걸 동원해서라도 구출해라!"라고 하고
헬기 등 띄워서 장소가고 상황보고 더 나은 대책 없나 국내외 확인해서 조치하고 피해자 가족들 다독이면서 "우리가 최선을 다해 수습하겠다. 믿고 기다려달라"해주시고 모든 수단방법 가리지 말고 상황수습하고, 어느정도 상황 마무리되면 "마지막까지 사고의 진실을 알려드리겠다. 그리고 피해자 가족들에게는 죄송하다"하면서 고개 숙이고 같이 울어주고 유가족들의 상황들, 시신수습 장례, 피해자들 사후대책까지 깔끔하게 마무리 시켜주고 이제 관계부처 조지기 했으면 됐습니다.

근데 저기서 한게 없죠.
하얀사신
17/01/10 14:48
수정 아이콘
요지는 7시간동안 국가 수장의 행적이 묘연했던 것이죠.

뭘 했어야 한다가 아니라
뭘 했든지 간에 자리를 지켰어야죠.

한마디로 한게 없습니다.
Rorschach
17/01/10 14:50
수정 아이콘
취했어야 했을 행동이 뭐냐를 따지기 전에 일단 "행동"을 했어야죠...
카레맛똥
17/01/10 14:52
수정 아이콘
공무원을 제대로 일하게 만드는 방법은 단 한가지죠.
차후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주면 됩니다.
사람들이 대통령이라고 리얼타임으로 모든 지시를 내려달라는 걸 바라는게 아니지 않습니까.
박근혜에게 필요한 워딩은 단 한마디 였습니다. "책임은 내가 질테니 구조를 위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라."
노무현은 이걸 했고 박근혜는 이걸 안했던 거죠. 미용 시술 같은건 솔직히 부차적인거 같고 가장 결정적 차이점은 이거 같네요.
쪼아저씨
17/01/10 15:35
수정 아이콘
제가 책임지는거 얘기 할라고 했는데 카레맛똥님이 먼저 하셨네요.
이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카레맛똥님.
미나리돌돌
17/01/10 15:53
수정 아이콘
그렇죠.
필요한 것은 단 한 마디 였습니다.
김테란
17/01/10 14:53
수정 아이콘
정확한 상황 파악 논의를 위해 즉시 중대본에 달려갔어야 했습니다.
판단력 저하로 우왕좌왕, 뻘소리를 하더라도 거기서 했어야죠.
비상사태가 아닌데 중대본은 왜 소집되며 오후 5시이후에 대통령은 왜 갔나요.
그 시각에 제쳐두기 어려운 다른 일이 있다면 무엇인지가 궁금하군요.
forangel
17/01/10 14:58
수정 아이콘
가만 생각해보니 진짜 중요한건 박근혜가 뭘 해야했었냐가 중요한건 아니네요.
그냥 자기 자리를 지키기만 했어도 즉 대통령 집무실에만 있었어도 됐었어요.

박근혜에게 뭘해야 했었냐고 묻는건 헛된 욕심이고 그냥 얼굴마담은 자기 자리만 지켜도 자기 할일 다한거라는..
정지연
17/01/10 15:06
수정 아이콘
일단 적어도 중대본이 만들어지는 시점에는 얼굴을 보였어야 합니다. 그래야 이게 심각한 사고고 빨리 뭔가를 해야 한다는 걸 공무원들에게 알릴 수 있죠..
그리고 사고대응 주관조직을 결정해줘야 합니다. 대통령이 모든 보고를 받고 모든 결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번건은 해경의 통제하에 타 조직의 지원을 받아 처리하시오라고 했으면 해경이 알아서 일을 나누고 지시사항을 결정하고 보고할 것은 보고하고 했을겁니다.
그런게 없었으니 현장에 간 해경은 뭘 해야 할지 허둥지둥대고만 있고 민간인 잠수사가 들어가겠다는데도 못들어가게 하고 하는 일이 생겼던거죠..
17/01/10 15:22
수정 아이콘
하물며 전임 그 분 처럼 해경이 밍기적대는 것에 대해서 [격노] 시전했으면 이정도까지는 안 왔을걸요..
17/01/10 15:33
수정 아이콘
해경/해군에 지시.
미군/민간에 도움 요청
최소한 이정도는 할 수 있었죠.
이후 상황파악, 원인 공개.
17/01/10 15:46
수정 아이콘
박근혜가 비난받는건 딴 게 없습니다.
'왜 아이들을 살리지 못했느냐'보다(이건 인간의 한계라는게 있으니..) '왜 살리려고 하지 않았느냐'죠.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사용해서 최선을 다 해서 구조하려고 한 뒤에 담화를 발표하고-담화 내용으로는 '최선을 다 해서 구조했지만 시간적, 기술적 한계로 모두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라고 발표하고 그게 '사실'이었다면 이해하는 사람이 많았을겁니다.
문제는 사후처리죠. 배가 갑자기 넘어가서 시간적으로 구조하지 못했다 이후, 세월호 지겹다. 종북좌익세력이 대한민국을 전복시키려한다. 등의 유언비어로 여론을 악화시키고 특조위에서도 조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비협조(라기보다 불협조라고 보는게 맞죠)하며 특조위의 시간만 잡아먹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목화씨내놔
17/01/10 15:51
수정 아이콘
박근혜를 비난하는게 아니라

저런 사태에서 대통령은 뭐를 해야 비난 받지 않을까 라는게 요지였는데

제가 제목을 잘못 썼나보네요.

저도 비슷해요. 딱 정확히 업무 지시하고 책임을 본인이 질테니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강구해라

정도만 지시하고 중간중간 상황보고만 받고 미진한 부분있으면 확인하고 갈구고

그 정도면 대통령으로서 할 일은 어느정도 한 게 아닌가 싶네요.

뭐 박근혜야 아무것도 안 했으니까 문제지만
미나리돌돌
17/01/10 15:53
수정 아이콘
구제역에 대한 김대중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처도 많이 달라서 관심을 받았었는데,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명지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방역은 기존의 규정에 얽매이지 말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하게 하고, 피해농가에 대한 보상은 기대 이상으로 파격적으로 하라. 그래야 민‧관이 자발적으로 협력할 것 아니겠느냐. 모든 부처는 합심하여 만전을 기하라."

마찬가지로 '필요한 것은 모두 지원해줄 터이니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최선을 다해서 구조하라'고 해경, 해군을 비롯한 모든 정부 부처에게 전달했다면 상당히 많은 수를 살릴 수 있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공무원들이란 저렇게 책임져줄 사람이 있어야 움직이는 존재예요. 7시간까지도 필요없습니다. 사고 소식이 들려오자마자 단 한 마디만 했으면 되는거였어요.
미카엘
17/01/10 15:56
수정 아이콘
컨트롤타워로서 계속 자리만 지켰어도 달랐겠지요. 그 행적이 묘연했다는 게 문제 아닙니까. 나라의 어린 목숨을 비롯한 수백명의 생명이 대통령의 직접적 지시로 살아날 수 있는 기로에 서 있는 상황이었는데 국가적 재난이 아니라니요.
휴머니어
17/01/10 15:59
수정 아이콘
결과론적 문제가 아니라 절차론적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겠죠.

무엇보다 세월호 사건의 큰 의미(?)는 국민들이 더이상 재난이나 위험사항 발생 시 국가의 지원이나 혹은 시스템의 가이드를 신뢰하지 않게 된 것이죠.

대피하지 말고 가만히 있으라는 방송을 착실하게 따른 학생들은 죽었고, 그걸 지키지 않은 학생들이 살아남았으니까요.
이혜리
17/01/10 16:38
수정 아이콘
자리 비움이 하도 많고, 자기 생각으로 뭔가 일 처리한게 없다는 정황증거가 속속 밝혀지니까
임기내 가장 큰 사건이라고 볼 수 있는 세월호 사건에도 자리비움이었던것 아니냐? 하는 의구심에서 시작 된 일입니다.
뽕뽕이
17/01/10 17:17
수정 아이콘
"절차 무시하고 할 수 있는 모든것을 동원하여 사람들을 구하라"
17/01/10 19:21
수정 아이콘
댓글들을 보니 태안반도 영상이 계속 떠오르네요.
이브나
17/01/10 20:17
수정 아이콘
5시 다되서 한 짓거리를 오전에만 했어도 이렇게 욕먹지는 않습니다
홍승식
17/01/10 20:29
수정 아이콘
예전 노무현 전대통령의 영상이 답이죠.
https://youtu.be/o9s59-VSjhA
담당자는 비용과 여건의 한계 때문에 조치를 취하기가 쉽지 않은데 최고결정권자가 내가 다 책임질테니 넌 구조에 필요한 건 뭐든 다 해라 라고 말해줘야 합니다.
실효성 여부는 차치하고서라도 해군함정, 다이빙벨, 미군 등 여러가지 시도를 하지 못한 건 담당자들이 책임질 수 없기 때문이거든요.
그런걸 가이드 해주는게 대통령의 책무죠.
목화씨내놔
17/01/10 23:21
수정 아이콘
와 이 영상보니까 이제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의 역할이 뭐인지 알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280 [질문] 4대보험 지급 업체에서 1달 일하고 퇴사시 질문드립니다 [10] 신묘4652 17/01/10 4652
96279 [질문] 공기청정기 좋은제품 어떤게있을까요? [17] 유니꽃5249 17/01/10 5249
96278 [질문] 떡밥 드라마 재밌는 게 뭐가 있을까요? [5] Lovely Rachel3573 17/01/10 3573
96277 [질문] 미드 로스트 지금 봐도 재밌을까요? [12] 폴토마스앤더슨3050 17/01/10 3050
96276 [질문] 떄는 언제 쓰는 말이죠? [2] 이블린2642 17/01/10 2642
96275 [질문] 네이버페이에서 인증번호가 뜬금없이 왔어요 [3] 삭제됨5293 17/01/10 5293
96274 [질문] 투블럭 머리 하시는분들 셀프로 집에서 직접 밀어보신분들 있으신가요? [8] 노래하는몽상가9359 17/01/10 9359
96273 [질문] 비누와 클렌징폼 중 어느 것이 더 세면에 좋은지요...? [6] nexon3602 17/01/10 3602
96272 [질문] 글씨 폰트 질문 드려요-! shie2194 17/01/10 2194
96271 [질문] 2개층 위에 층간소음이가능한가요? [6] 시오냥4246 17/01/10 4246
96270 [질문] [시계구입문의] 롤렉스 서브마리너 구입방법 질문드립니다 [8] 테크닉션풍6306 17/01/10 6306
96269 [질문] 컴퓨터를 새로샀는데, 부팅후 문제가 있습니다. [1] 가치파괴자2352 17/01/10 2352
96268 [질문] 답변 해 주신 분들 감사 드립니다. [4] 블aa2943 17/01/10 2943
96267 [질문] 20대 후반 여성의 진로 고민입니다. [28] 삭제됨7931 17/01/10 7931
96266 [질문] [던파] 룰렛러시안 vs 킬 아르니스 협곡 [12] LiXiangfei4872 17/01/10 4872
96265 [질문] 이 카톡 보고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112] 9828 17/01/10 9828
96264 [질문] 샴푸 질문입니다. 유게 세제글 관련 [5] Eis2210 17/01/10 2210
96263 [질문] 보드게임 관련 사이트가 있을까요?(판매사이트 제외) [4] 영웅의신화2481 17/01/10 2481
96262 [질문] 헬스 개인 pt 질문있습니다. [18] 라이펀7136 17/01/10 7136
96261 [질문] [LOL] 니달리는 피지컬 없으면 못하나요? [22] 더치커피4087 17/01/10 4087
96260 [질문] 360패드 vs 엑원패드 [14] 불같은 강속구4523 17/01/10 4523
96259 [질문] 운전 초보인데 8차선 시내 주행 팁 있을까요? [16] 칼퇴추구자3628 17/01/10 3628
96258 [질문] 스마트워치 방수 기능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7] 생각이5237 17/01/10 52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