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07 12:54:54
Name 코메다
Subject [질문] 파인트를 무게환산하면 얼마인가요?
미국식 단위에 아직까지도 낯설지만 제가 아는상식에선 파인트는 473ml로 알고 있습니다.

하겐다즈나 나뚜르의 파인트 사이즈의 아이스크림도, 스타벅스의 그란데 사이즈도 모두 이 사이즈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방금 오랜만에 베스킨라빈스의 파인트 사이즈를 먹게되었는데 뭔가 사이즈가 이상한 느낌이더군요.

예전보다 종이 용기의 폭은 넓어졌지만 높이가 심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에 절대 파인트 사이즈가 아닐 것 같다는 예감이 들더군요.

그래서 자세히 찾아보니 옆에 336g 이라고 택이 붙어있었습니다.

4도씨 기준, 물 1m = 1g 이라는 것은 이알못이지만 잘 알고있지만 대체 무슨 마법이 벌어졌길래 파인트의 무게가 336g이 된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거 큰 우유의 용량이 사실은 1L가 아니고  900ml라는 였다는 함정처럼 창렬화 된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너무 뻔뻔한 것 아닌지..

파인트라는 이름을 내걸고 용량을 줄였다는 것은,  XX우유 "1L" 라는 제품처럼 단위를 상품명을 표기해놓고 실제로는 900ml 에 팔고있는 꼴 아닌가요?

정확히 따지자면 우유처럼 10% 용량을 줄인 것도 아니고 무려 29%를(336/473) 줄인거니까 1L를 710ml 에 팔고있는 꼴이겠지만요.

제발 제 계산이 틀렸으면 좋겠네요.. 소비자로서 너무 호구된 기분이라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닭, Chicken, 鷄
17/01/07 13:03
수정 아이콘
파인트
3가지 맛을 골라먹는 재미가
있는 사이즈 (중량 320g)
7,200원


배스킨라빈스 홈페이지에 가보면 대놓고 그냥 320g이라고 하네요... 배스킨라빈스 여기 기준으로 그러한 듯-_-a
코메다
17/01/07 13:05
수정 아이콘
저도 검색해봤는데 너무나 떳떳하게 밝히고 있으니까 멘붕이 왔습니다..
제 계산이 틀린건지, 파인트를 자기들 마음대로 용량을 늘렸다 줄였다 하는건지 알 수 없더라고요.
Philologist
17/01/07 13:05
수정 아이콘
아이스크림이 물보다 밀도가 낮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아이스크림은 얼음처럼 안 딱딱하고 폭신폭신하잖아욤.
[추가] 찾아보니 (한국 사이트엔써는 잘 안 찾아져서 영어로 된 사이트) 대략 물 무게의 54퍼센트에서 90퍼센트 정도까지 아이스크림 질에 따라 나온다네요.
https://www.acs.org/content/acs/en/education/resources/highschool/chemmatters/past-issues/archive-2013-2014/ice-cream-chemistry.html

6번째 문단에 있습니다.
코메다
17/01/07 13:12
수정 아이콘
Philologist님의 말씀도 일리가 있는 것 같아서 방금 같은 단위의 다른 아이스크림을 조사해봤습니다.
하겐다즈 스트로베리 치즈케잌 파인트 473ml의 순 중량이 415g이라고 써있네요.
확실히 단위부피당 물보다 무게가 덜 나가긴 하네요.
하지만 320g이라고 떳떳히 밝히는 베스킨라빈스에 대해선 여전히 이해할 수 없네요.

http://postfiles13.naver.net/20160808_268/essayez_14706613372790NTpj_JPEG/NaverBlog_20160808_220216_01.jpg?type=w3
Philologist
17/01/07 13:17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아이스크림마다 무게가 다르다고 되어 있네요. 슈퍼마켓에서 아이스크림 살 때 잘 보고 사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아마 무게를 밝히는 건 대략 밀도가 나올 테니 밀도에 따라 식감이 결정되는 구조라면 소비자의 결정을 도울 수 있겠죠.

좀더 찾아보니 가정 자체가 잘못 됐네요. 아이스크림은 설탕물이 아니라 크림이 꽤나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크림 무게는 물보다 매우 가볍기 때문에...

https://www.quora.com/Why-does-a-litre-of-water-weigh-1kg-but-a-litre-of-ice-cream-weigh-only-like-560-gms-Is-it-just-because-of-empty-space

여기 답변들이 도움이 될 꺼 같네요.
이건 배스킨 라빈스가 아이스크림 만드는 기법, 그러니까 최고의 맛을 내기 위한 기법의 문제지 소비자를 속이려 한다거나 뭐 비윤리적이라거나 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코메다
17/01/07 13:22
수정 아이콘
The amount of air also has a huge effect on the density of ice cream. A gallon (3.8 liters) of ice cream must weigh at least 4.5 pounds, making the minimum density 0.54 gram per milliliter. Better brands have higher densities—up to 0.9 grams per milliliter. The next time you visit a grocery store, compare cheaper and more expensive brands by holding a carton in each hand—you should be able to notice a difference. Then read the net weight on the label to confirm your observation.

Philologist님 덕분에 잘 이해했습니다. =)
갑자기 베라에게 미안해지네요. 저와 비슷한 서민 처지인데 아군인지 모르고 폭격을 해대서. ^ ^;
Philologist
17/01/07 13:27
수정 아이콘
베라가 서민은 아닐 거예요.....크크
정지연
17/01/07 13:41
수정 아이콘
아이스크림마다 공기가 들어가는 비율이 다 다릅니다.. 공기가 많이 들어가면 부드럽고 공기가 적으면 딱딱하지만 진하죠..
31의 아이스크림은 하겐다즈보다 부드러운 느낌이기 때문에 하겐다즈보다 같은 부피일때 중량이 적을수 있습니다..
코메다
17/01/07 14:00
수정 아이콘
추억보정인지 모르지만 예전에는 분명히 파인트이지만 지금보다 양이 많다고 생각했거든요.
원래부터 31의 아이스크림의 중량이 하겐다즈보다 적었는지 그것도 궁금하지만 예전의 파이트 사이즈를 알 수 없으니까 포기합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히오스
17/01/07 15:32
수정 아이콘
아뇨. 예전파인트는 확실히 더 컸습니다.
제가 베라 파인트 통 줄어든고 보고 혀를 찼었죠.
용산기지에서 근무했을 때, 기지안과 서울시내 베라 가격 거의 비슷했는데 통은 달랐....;
코메다
17/01/07 16:30
수정 아이콘
확실히 그랬군요..
가격이 오르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통까지 작게 만들면서 여전히 '파인트'라는 이름을 사용한다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네요.
Philologist
17/01/07 17:31
수정 아이콘
저도 용산기지 안 베라 많이 갔었는데 크크 근데 파인트를 안 먹어봐서 사이즈를 모르겠네요..
히오스
17/01/07 17:42
수정 아이콘
베라 파인트 창렬화는 먼저 용량이 줄고 그 다음엔 가격이 올랐습니다
부정적인 기억이라 확실히 기억나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9677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2584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213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518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6993
180702 [질문] 방금 피싱 전화를 받았습니다. 개인정보 삭제 관련 파이어폭스38 25/05/28 38
180701 [질문] [컴퓨터]cpu와 글카 오버클럭/언더볼팅 필수인가요? [2] LeNTE168 25/05/28 168
180700 [질문]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 대해 궁금합니다 [2] 만두1374 25/05/27 1374
180699 [질문] 서 있는 자전거를 넘어뜨렸는데요. 법적 조언 구합니다 [17] 아이러브스타2707 25/05/27 2707
180698 [질문] 마크노플러가 연주하는 금속재질 기타 정보가 궁금합니다 [2] 커티삭1614 25/05/27 1614
180697 [질문] 배우자 명의 주택 신축 계약시 저의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한가요? [9] Sebastian Vettel2494 25/05/27 2494
180696 [질문] 김해공항 근처에 하룻밤 묵을 곳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8] 한종화2210 25/05/27 2210
180695 [질문] 진득하게 즐길 수 있는 무과금(가챠x) 모바일게임 있을까요? [20] 다시마두장1502 25/05/27 1502
180694 [질문] 대선 끝나면 부동산 가격 변동이 있을까요? [29] 정 주지 마!2516 25/05/27 2516
180693 [질문] 서바이벌류를 좋아하는데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21] 짭뇨띠2208 25/05/27 2208
180692 [질문] 스연게의 고대 입실렌티 게시글이 안열려요 [3] 싸우지마세요1897 25/05/26 1897
180691 [질문] 현황도 발급 프린트 질문이요 [4] 레드드레곤~2317 25/05/26 2317
180690 [질문] 진동하는 빗의 효과성이 궁금합니다 [8] 다크드래곤2902 25/05/26 2902
180689 [질문] LTE유심 들어가는 가성비 태블릿 추천부탁드립니다. [8] 요하네스버그2467 25/05/26 2467
180688 [질문] 노트북 비교부탁드립니다. [3] 보급보급1591 25/05/26 1591
180687 [질문] 플립5 맥세이프 케이스 + 차량용 거치대 [3] 기무라탈리야1312 25/05/26 1312
180686 [질문] 왜 서구권은 한국에 비해 연예인들이 유튜버하는 경우가 잘 없을까요? [16] 독서상품권2480 25/05/26 2480
180685 [질문] 집 매매하고 인테리어 후 이사할 때 잔금 질문입니다 [12] immune1165 25/05/26 11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