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7 17:03:59
Name Jace T MndSclptr
Subject [질문] [스타1] 지금 ASL 리그 수준은 어느정도 되나요?

1. 허영무, 정명훈이 우승하던 시절보다 경기력이 더 좋다

2. 허영무, 정명훈이 우승하던 시절 경기력이랑 비슷하다

3. 그 보다는 못하지만 택뱅리쌍이 우승하던 시절 경기력이랑 비슷하다

4. 그 보다는 못하지만 마재윤이 우승하던 시절이랑 경기력이 비슷하다



잘 모르겠네요. 아마추어가 되었으니까 프로 시절 빡겜하던 경기력은 결코 안 나올것 같지만

또 시대가 흘렀고 전략은 발전하기 마련이니 4번은 말도 안되는것 같고

ASL 지나가다 한두경기 봤는데 그렇게 잘한다는 느낌은 안 들던데 요새도 스타 보시는분들 생각이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잉여레벨만렙
16/12/27 17:08
수정 아이콘
3번 시절의 프로리그 후보들의 게임 정도로 생각됩니다. 빌드는 발전했으나 멀텟, 위기관리, 운영의 매끄러움은 09-12보다 못하다는 느낌이 있어서..
16/12/27 17:10
수정 아이콘
3-4 사이 인거같아요
아이오아이
16/12/27 17:16
수정 아이콘
06년 전후 정도 되는 느낌이였습니다
율곡이이
16/12/27 17:23
수정 아이콘
선수들 마다 경기력 차이가 너무 크고, 선수들도 자기 게임간의 잘하고 못하고 격차가 너무 큰거 같아요...
잘한 경기력으로 따지면 2번, 그냥 평균 낸다면 저도 3번 시절 프로리그 주전 정도 실력...
catharsis
16/12/27 17:38
수정 아이콘
ASL 스타리그 2 위주로 보면... 개별적으로 차이가 심한 것 같아요. 이영호 외 극소수만 전성기 느낌을 언뜻 줄 뿐이고, 나머지 게이머들이야 전성기에 비교하기엔 택도 없고, 다만 게임 꾸준히 했거나 두뇌 비중이 높았던 게이머들이나 게임 방법론적 측면에서 잘 알고 있어서 최적화나 정돈된 플레이를 하는 느낌은 있는데 실제 게임 속에서의 대응 등은 좀 떨어진다고 느꼈어요. 굵게굵게, 적은 노력을 들여서 편하고 유리하게 게임하는 방법들은 평균적으로는 조금 올라간 것 같아요. 예전에는 전성기 때 최고 게이머들은 게임 속 세세한 부분까지 연습을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는데 그런 건 거의 못 느끼죠. 그나마 이영호가 가끔.. 그렇지 않은 애들은 판단력이든 반응이든 너무 퇴보해서 스타리그 잘나갈 때 생각하면 많이 별로고...
Jace T MndSclptr
16/12/27 17:40
수정 아이콘
이영호가 ASL 스타리그 2 참가자중에 제일 잘하나요? 우승확정급인가요?
catharsis
16/12/27 17:46
수정 아이콘
개인 의견인데 가장 가능성 높아보이긴 해요; 맵이나 운 등이 따라줘야겠지만... 아니면 김택용... 근데 김택용은 대회 우승은 어느 순간 이상한 데서 주르륵 미끄러지는 그런 게 있어 보...
버스를잡자
16/12/27 17:43
수정 아이콘
빌드는 발전했는데, 선수들이 나이가 많고 예전처럼 엄청난 연습을 안하다보니 매크로가 딸리는게 눈에 보이죠

3~4번 사이라고 봅니다.

잘쳐주면 3번 시절 1군 경기 몇번 뛰는둥 마는둥 하던 후보들 수준
candymove
16/12/27 18:15
수정 아이콘
저도 요새 관심있게 보면서 이게 항상 궁금했었어요.. 혹시 개인방송에서 언급된 건 없는지 궁금하네요. 게이머들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catharsis
16/12/27 18:29
수정 아이콘
게이머들 스스로는 피지컬 같은 건 당연히 전성기 때보다 많이 못하다고 생각하고 말한 바 있고(누구는 반농담이겠지만 손가락 부러뜨리고 싶다고도 했고..), 빌드나 게임 방법 측면은 그때보다 더 발전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다는 사람보다는 다수... 로 알고 있습니다. 이영호 염보성 등이 관련 내용을 말했던 것 같은데 누가 정확히 뭐라고 말했는지까진 기억이...
김성수
16/12/27 18:56
수정 아이콘
빌드, 심시티나 순간 센스로 사용되는 아이디어들은 확실히 질이 좋아졌다고 느끼고 있고 생산력이나 날이 서 있는 플레이들은 확실히 줄어든 것 같습니다. (일부 선수들에게는 그래도 어느 정도의 만족감은 느껴집니다.) 판단력만 잘 유지해도 과거 였으면 쉽게 이겼을만한 상황도 많이 보이고요. 항목을 보자면 저는 부분적으로 1번 부분적으로 4번이라 보고, 과거 선수들과 대결시키면 이길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긴 합니다만 판 수 늘려가면 거의 바로 역전 될 듯한 느낌이랄까.. (피지컬의 부족함을 확실히 매울만한 연습 방법이나 아이디어들은 없어보입니다.) 예컨대 저만해도 한창할 때 하루 스타 30판 ~ 40판은 유지했는데 지금은 그 정도하면 열겜한다는 소리 들으니 피지컬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과거 프로게이머들은 그 정도 안 깔고가면 직무유기 수준이였고요 크크;
근데 보는 재미는 추억팔이잼 + 상황잼(스타리그를 어찌어찌 이어나가는 형국을 승화시킨)이 강화되서 과거의 탄탄했던 시스템에서 향유할 수 있었던 선수 문화의 부재나 피지컬의 하락으로 손실되는 즐거움들을 그런대로 매꿔주는 느낌으라 꿀리지는 않더라고요.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bemanner
16/12/27 20:01
수정 아이콘
지금 경기력이 안좋게 느껴지는 거는 사실 스1 프로리그 문 닫을 때 이미 2군 수준이거나 은퇴했거나 하는 선수들도 현재는 많이 뛰고 있어서 그런 거라고 생각하고(철구가 예전 스타리그 24강을 어떻게 뚫겠습니까.. 그래도 지금은 24강은 가죠), 탑급 선수들은 과거보다도 잘한다고 생각합니다. 피지컬이 1내려간 대신 빌드가 2올라갔다고 해야하려나요. 2군 경기력이 엿보이는 건 2군 수준의 선수가 경기를 뛰어서겠죠. 스타 말기에 2군 수준이던 선수가 이제와서 그 당시 탑급 선수들의 경기력을 낸다면 그게 오히려 희한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유영진 선수가 ASL 벤젠 경기 준비하면서 벙커링 빌드 10판 연습해보고 나갔다 하는 데서도 좀 그런 걸 느꼈습니다.
싸구려신사
16/12/27 20:27
수정 아이콘
저는 2정도는 될것같네요. 예전에도 16강에는 망겜들 종종나왔어요. 빌드의 발전이 크다고 생각하기에 2는 될거라 생각됩니다.
yangjyess
16/12/27 22:45
수정 아이콘
3 - 4 사이. 자유롭게 게임하는건 한계가 있어요. 그냥 즐겜스타리그죠.
sinsalatu
16/12/27 22:57
수정 아이콘
예전에도 2군 혹은 3군에 전전하던 선수가 이제와서 당시 최고 선수급의 경기력을 한다면 그게더 이상한일이죠
빌드가 좀더 발전한거 빼고는 밥만먹고 한창 10대후반 20대 초반 선수들이 올인하던 그시절의 경기력에는 부족해보입니다
개념테란
16/12/28 02:51
수정 아이콘
이거 깊게 들어가면 생각보다 치열합니다. 전프로 BJ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려요. 그래도 현역이 낫다는 의견이 조금 더 우세하긴 합니다만..
개인적으로는 개념은 확실히 발전한게 맞지만, ASL 보면 선수들의 잔실수들이 너무 많이 나오는걸 보면 현역 시절이 우위에 있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589 [질문] 정년 퇴임하시는 어머님께 드릴 수 있는 말에 대한 질문 입니다. [1] 두개의달2491 16/12/29 2491
95588 [질문] 저 노래고수님들 노래좀 가르쳐주세요 [6] 웅진프리2708 16/12/29 2708
95587 [질문] [스타1] 불세출의 영웅들은? [21] 와우홍3998 16/12/29 3998
95586 [질문] 과거에 있었던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 오클랜드에이스2256 16/12/29 2256
95585 [질문] 드라마 수사물 추천해주세요! [20] keycup4768 16/12/29 4768
95584 [질문] 에반게리온 보는 순서가 어떻게 되나요? [10] 샨티7828 16/12/29 7828
95583 [질문] 4월 이탈리아 남부 여행 [15] 밤공기4989 16/12/28 4989
95582 [질문] 지금 현재 아이폰을 가장 싸게 사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6] 지나가는회원14826 16/12/28 4826
95581 [질문] 코오롱 스노우볼 패딩 괜찮나요? [7] 행복의이연6681 16/12/28 6681
95580 [질문] 스마트폰 게임할 때 싱크 맞는 블루투스 이어폰이 있나요? [6] 토구백9646 16/12/28 9646
95579 [질문] 은행 아이디 비밀번호가 기억안나면 어떻게 찾나요? [7] 적토마3176 16/12/28 3176
95578 [질문] 결혼 프로포즈하실때 동영상 만드셨나요? [6] 삭제됨3416 16/12/28 3416
95577 [질문] 현재 개헌에 대한 내용 여쭙습니다. [5] TheGreatWar2768 16/12/28 2768
95576 [질문] 경차 질문입니다.. [11] 1llionaire3087 16/12/28 3087
95574 비밀글입니다 삭제됨1287 16/12/28 1287
95573 [질문] 이 영상에 삽입된 노래 제목을 찾습니다. [4] 아틸라2724 16/12/28 2724
95572 [질문] (19)혹시 남성의 소중이 길이는 성격과 관련이 있나요? [38] 삭제됨11628 16/12/28 11628
95571 [질문] 안드로이드 기기관리자 관련 문의_휴대폰분실 [1] 피즈2471 16/12/28 2471
95570 [질문] sf중에 최초의 조우 관련 소설 뭐가 있을까요? [8] 아니아니2804 16/12/28 2804
95569 [질문] 조조전온라인 초보 질문 [14] 어빈3314 16/12/28 3314
95568 [질문] [히어로즈] 노트북 사양 질문입니다! 성기사2385 16/12/28 2385
95567 [질문] 이어폰 추천촘.... [5] 승률대폭상승!2860 16/12/28 2860
95566 [질문] 베네수엘라 윈도우10 전부 취소된거 맞나요? [13] 버스를잡자4432 16/12/28 44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