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5 15:22:24
Name 이비군
Subject [질문] 공무원 시험 준비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저는 96년생으로 이제 막 사회복무요원 훈련소 생활을 마치고 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많은 기대를 않고 대학생활을 시작했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겹쳐 적응을 잘 하지못하고 한학기만 다니고 계속 휴학하면서 놀기만하다가
정신차리고 군대를 갔습니다.
복지시설에가서 시청처럼 하루종일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있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거의 이년정도를 정말 게으르게 논만큼 열심히 공부하면서 살려고 합니다.
문제는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할 것인가 인데 저는 7급 공무원을 준비해 볼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떤 큰 꿈이 없고 안정적으로 사는게 목표라서요.
수능성적은 서성한 하위 중경위시 상위 정도로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고 논술로 ky대 사회계열중 하나를 붙어서 공부는 그럭저럭 했던 편입니다.
그런데 공무원 공부는 정말 빡세게 무조건 붙는다는 심정으로 해야한다는데 평일에 퇴근하고나서 많이해봤자 최대 6시간 공부하면서 공무원을 준비한다는게 사실 좀 어정쩡해 보이기도 합니다.
요 2년간 계속 공무원 시험준비를 어정쩡하게라도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다른 공부를 하거나 새로운 진로를 탐색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것이 좋을까요?(참고로 지금 쭉 공부를 안해서 많이 까먹은 상태고 한국사도 고등학교떄 공부를 안해서 노베이스 상태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와소나무
16/12/25 15:42
수정 아이콘
7급 목표가 확실하면 당연히 바로 시작하는게 낫습니다. 지금 6시간씩 공부해두면 그만큼 빨리 합격할 가능성이 오르겠죠. 지금도 노베이스 상태인데 2년 후 시작하면 기간이 그만큼 길어진다는 거니깐요. 다만 난 정말로 7급에 합격하겠어 정도의 마음이 아니면 시작 안하시는게 낫다고 봅니다. 제 경우 어정쩡한 마음으로 시작했더니 책상에 아무리 길게 앉아 있어도 반은 딴 생각하게되더군요.
이비군
16/12/25 15:4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어정쩡한 마음으로 공무원 준비나 해볼까? 라는 마인드가 조금 섞여있어서 고민되긴 하네요.
빠른 시일내에 마음을 다 잡고 결정해야 될거 같아요
불굴의토스
16/12/25 16: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저 상황이면 9급도 추천합니다.

9급하라고하니 듣기 별로이실 순 있는데, 나이가 젊으셔서 일찍 붙으시면 상당히 메리트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공직 들어가서 사무관 서기관 다시는게 목표는 아닌것 같으시고, 일찍 붙으면 30살에 7급이니 나쁘지않죠.


공부는 일단 국어 영어 국사 인강 한번씩 돌리시는걸 추천하고 선택과목은 좀 늦게 하셔도 될겁니다.
이비군
16/12/25 23:3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9급은 사실 생각도 안해봤는데 고민해봐야 겠습니다.
송하나
16/12/25 17:13
수정 아이콘
일단 목표가 필요하겠네요.
공무원이냐 취업이나 진학이냐를 정하시고 그거에 맞는 공부를 조금씩이라도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비군
16/12/25 23:32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근데 대학원까지 갈 생각은 없어서 공무원이냐 취업이냐를 선택해야 할 거 같습니다
행복의이연
16/12/25 17:47
수정 아이콘
주제넘는 얘기이지만 공부도 좀 하셨었는데 자기에 대한 확신이 없어보여서 아쉽네요..
이비군
16/12/25 23:32
수정 아이콘
논술로 여러 대학 붙을떄는 사실 정말 자신감 넘쳤었는데
여러가지 일 겪고보니 자신감이 거의 바닥이 되버렸네요 ㅠㅠ
자존감좀 되찾아야 겠습니다
동네형
16/12/25 18:18
수정 아이콘
그전도 시험머리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이비군
16/12/25 23:33
수정 아이콘
칭찬 감사합니다
피지알뉴비
16/12/25 18:39
수정 아이콘
합격하실 기본기는 충분하나, 7급은 경쟁률이 매우 높아 운도 따라줘야 붙을 겁니다. 물론 열심히 하셔야하고요. 쉽게보시면 안돼요. 행시준비하다가 내려오는 사람도 있고... 7급은 수험자 수준이 높으니까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공부시간은 하루에 '집중해서 5시간'만 꾸준히해도 괜찮다고 봅니다. 하루종일 시간남아도 막 12시간 이상 꾸준히 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도 공부시간이 부족하긴하니 주말 하루정도는 진짜 풀로 하시는게 맞을듯...

9급 붙어도 그 나이면 굉장히 좋아요.
이비군
16/12/25 23:33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저의 대학에서도 대부분 행시 먼저 준비하다가 내려오는 사람이 많다고 하더라구요
일단 9급을 준비하는것도 나쁘진 않겟네요
changeable
16/12/25 20:28
수정 아이콘
9급 비인기직렬 합격자입니다.
평일 평균 4시간, 주말 평균 7시간만 1년 반정도 규칙적으로 공부한다면 이비군님에겐 9급은 어려운 벽은 아닙니다.
혹시나 9급을 고려하신다면 추천드리고 7급은 운이 좀 많이 작용해서 내가 잘한다고 해도 쉽지가 않아요,

암튼 사실 최고의 베이스는 머리이지 지금까지의 기초지식은 아니거든요.
그깟 기초지식 머리만 좋으면 순식간에 따라붙을 수 있습니다..
이비군
16/12/25 23:34
수정 아이콘
넵 9급도 한번 준비를 해봐야 겠어요
16/12/26 17:40
수정 아이콘
현직 7급이며 국숭세단 중 한 학교를 나왔습니다.
하루 꼬박 10시간씩(주말 하루 제외) 하루도 거름없이 공부하여 2년3개월 정도 공부했습니다.

공부 머리는 있으시겠지만
공무원 7급의 7과목은 하루 6시간정도로 커버하기에는 절대적인 양이 어마어마하게 많습니다.
하루 6시간 정도를 하신다면 9급도 어쩌면 벅차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내년부터는 영어를 토익으로 대체한다고 하니
나머지 과목들의 평균점수가 지금보다 더 높아질 거라고 예상됩니다..
이비군
16/12/26 20:0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영어를 엄청 잘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쁘지는 않았던터라
시험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도 있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425 [질문] 보행자입장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한경우 대처방법 [3] 밤공기2468 16/12/26 2468
95424 비밀글입니다 삭제됨7249 16/12/26 7249
95423 [질문] 이 경우 사교육 vs 취업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14] 만일....100013280 16/12/26 3280
95422 [질문] 집에서하는 허리,등근력 키우는 운동법 좀 알려주세요. [6] 에밀리아클라크3789 16/12/26 3789
95421 [질문] 데스크탑 무선인터넷 사용 관련 질문 [1] 명군2302 16/12/26 2302
95420 [질문]  윈도우 10 설치 usb를 그대로 다른 usb 복사 [2] 리니시아19991 16/12/26 19991
95419 [질문] [스타1] 5드론과 4드론의 차이점 [17] Lue11167 16/12/26 11167
95418 [질문] 노트북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대보름3525 16/12/26 3525
95417 [질문] 3군단 전역자들께 질문이.... [10] 매벌이와쩝쩝이3606 16/12/26 3606
95416 [질문] 취업을 늦게해서 돈 모으는데 전념해야할까요? [15] 레너블4763 16/12/26 4763
95415 [질문] 아이폰 7+ 공기계 구입 [2] KasperSky3222 16/12/26 3222
95414 [질문] 아이폰 카드 케이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박용택3206 16/12/26 3206
95413 [질문] 제2금융권 적금 어떤가요? [14] 칼퇴추구자9297 16/12/26 9297
95412 [질문] 타은행 계좌(+도장)으로 송금 가능한가요? [4] spike662508 16/12/26 2508
95411 [질문]  윈도우10 업데이트 오류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2] 헝그르르2587 16/12/26 2587
95410 [질문] 인간관계 커뮤니티(?) 의 중요성이 요즘 절실하게 생각되서.. 책좀 추천드립니다. [4] 삭제됨3244 16/12/26 3244
95409 [질문] 스카이림 이라는 게임을 해보려고하는데요 [6] 울어주기5359 16/12/26 5359
95408 [질문] 세월호 vts 영상 의문의 물체 정체? 검증 방법은? [8] 자유의영혼4135 16/12/26 4135
95407 [질문] 제주시 파인 다이닝 혹은 근사한 레스토랑 알고 싶어요. [8] 다현 3176 16/12/26 3176
95406 [질문] [농알못] NBA 에서 실력+누적 스타는 누가있나요? [5] 공부맨3838 16/12/26 3838
95405 [질문] 일본여행가서 쇼핑할것좀 알려주십시오 [13] 라울4153 16/12/26 4153
95404 [질문] 드래곤볼에서 마인부우가 베지트를 정상흡수했으면 어떻게 되죠? [13] 이블린4541 16/12/26 4541
95403 [질문] 노트북 최종 후보 3개 중에 하나만 골라주시겠어요? [8] 파란하늘4097 16/12/26 40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