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3 11:31:31
Name 무한궤도
Subject [질문] 1억이 있으시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그동안 적금이랑 예금 밖에 모르고 살아서,
목표금액인 1억을 달성하고 나니 뭘 해야할지...
질게 검색을 해보니까 딱히 운용방법은 없는 거 같더라구요 크크.
주식이나 펀드 등 다른 재테크 경험은 전무합니다...
질게 글을 열심히 읽은 까닭에 무서워서 엄두도 안나고요.

면허가 없어서 차를 살 수는 없고, 가방이나 지갑을 사도 백만원 내외만 쓰고 나머진 통장 속에 잠들어 있을 거 같은데...
그냥 이대로 2억까지 달리면 될까요??
여러분이라면 서른에 1억이 있다 그러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팅이
16/12/23 11:32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해피팡팡
16/12/23 11:35
수정 아이콘
집사는데 보탤것 같아요.
16/12/23 11:36
수정 아이콘
저도 집사는데 보탤듯합니다.

부럽네요 ㅠ
마스터충달
16/12/23 11:36
수정 아이콘
해외여행을 갈겁니다.
정지연
16/12/23 11:37
수정 아이콘
더 모아서 집살때 쓸겁니다..
덴드로븀
16/12/23 11:37
수정 아이콘
결혼예정 -> 계속 적금/예금
결혼미정 -> 면허+차사기+해외여행 등 날위해 돈쓰기
돈을 빠르게 불리고 싶다 -> 주식(1억만들기 가장 쉬운 방법은 2억으로 주식하기)

결론은 저라면 계속 예/적금이요. 100만원쯤으로 주식한번 해보고 싶긴 하네요 크크크
16/12/23 11:40
수정 아이콘
1억이면 지금 대출 싹 다 청산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돈을 모으로 싶은데..

이미 저축으로 1억을 모으신거면 집사는데 보태기위해 킵할겁니다.
16/12/23 11:41
수정 아이콘
대출 청산하고 남은 대출 갚기위해 더 열심히 살겁니다 ㅜㅠ
싸구려신사
16/12/23 11:42
수정 아이콘
집살겁니다. 집살필요가없는 상황이면... 그냥 예금할래요
미터기
16/12/23 11:42
수정 아이콘
원금+대출껴서 땅사서 다묶었네요 저같은경우는 안정적이기도하구요 제일
장기적으로 봐도 괜찮다고 생각들어서 저는
-안군-
16/12/23 11:44
수정 아이콘
조만간 목돈 쓸 일이 생길 것 같다 -> 일단 킵. 소소하나마 이자가 붙을만한 비과세 금융상품을 찾아본다.
목돈 쓸 일은 없을 것 같다 -> 부동산이나 블루칩 주식, 금... 등의 안정자산에 투자한다.
16/12/23 11:55
수정 아이콘
저라면 투자상품을 찾아볼 것 같긴합니다.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간에요.
무무무무무무
16/12/23 12:05
수정 아이콘
예금했다가 나중에 집살때 보태요.
Arya Stark
16/12/23 12:06
수정 아이콘
좋아 합니다.
16/12/23 12:30
수정 아이콘
좋아 합니다. (2)
16/12/23 12:08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에 투자
김태동 No.1
18/02/07 15:23
수정 아이콘
시대의 현자 인정합니다.
보석상
18/02/07 15:31
수정 아이콘
여기는 어인일로 오셨나요
김태동 No.1
18/02/07 15:38
수정 아이콘
무한궤도 님 글 검색하다가요 크크
코인으로 많이 버셨나요
보석상
18/02/07 15:50
수정 아이콘
100만원 손해봤죠
김태동 No.1
18/02/07 16:07
수정 아이콘
애도를 표합니다...
파랑파랑
16/12/23 12:16
수정 아이콘
appl 주식 삼
16/12/23 12:21
수정 아이콘
저라면 발품팔아 원룸하나사서 월세받을거같습니다
겨울삼각형
16/12/23 12:26
수정 아이콘
내집마련하니 마이너스 5000 이되더군요.
아스트란맥
16/12/23 12:32
수정 아이콘
다른 분들이 괜찮은 의견을 많이 주셨으니
저는 돈을 쓰지 않고 돈으로 할 수 있는 개드립을 몇개 제시해보면...

1. 적당히 인출해서 침대 위에 돈 깔아놓고 잠자기 or 돈방석 만들어보기
2. 방 안에서 돈 뿌려보기
3. 돈다발로 따귀때리기
4. 섭섭지 않게 넣었다 라고 말하며 막장드라마 놀이

등이 있겠네요..쿨럭
최강한화
16/12/23 12:34
수정 아이콘
한진해운에 몰빵..
인생 한방 아닙니까?

그냥 저라면 예적금에 묶어두고 상황볼거 같습니다..
Betelgeuse
16/12/23 12:47
수정 아이콘
요플레 사서 뚜껑만 핥고 버려야죠..흠흠
반전여친
16/12/23 13:01
수정 아이콘
결혼!
Paul Pogba
16/12/23 13:50
수정 아이콘
제 상황에서는 빚청산 후 국산차 한대....아니면 저렴한 일본차?
아마안될거야
16/12/23 14:04
수정 아이콘
그냥 계속 해오신대로 적금 하세요. 그게 젤 낫습니다...
16/12/23 14:14
수정 아이콘
그냥 놔두고 돈을 더 모읍니다.
wish buRn
16/12/23 15:03
수정 아이콘
비슷한 테크트리 탔는데
결국 부동산밖에 없더라구요.(2)
예쁜여친있는남자
16/12/23 15:05
수정 아이콘
금액이 좀 애매해서.. 서울에서 부동산 투자하기엔 너무 작은 금액이고 그렇다고 모르는 지방에투자를할순없으니 그냥 새차 한대 더 뽑을랍니다. 아님 지금 타는걸 업그레이드를..
지구사랑
16/12/23 16:52
수정 아이콘
1억은 아주 큰 돈은 아니지만 그리 작은 돈도 아니지요. 이 정도면 자산 배분이라는 것을 시작해도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즉, 안전자산, 투자자산, 위험자산을 구분하고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어 배분하는 것이지요. (규칙은 최대한 보수적으로 시작해서 차차 개선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가장 보수적인 자산 배분으로, 9천 8백은 예금을 하고 2백만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가 꽝이 돼도 1년이면 원금은 돌아오니까 하는 생각으로 조금 모험을 해보는 것이지요.
채권은 개별 채권, 펀드, ETF, 부동산은 신탁, 펀드 혹은 리츠, 주식은 개별 종목 외에도 펀드, ETF 등 그 외에도 정말 많은 종류의 투자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어느 것이 월등하게 우월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위험과 보상이 각기 다 다르니까요.
중요한 것은 아주 큰 금액이 아니어도 무엇인지 경험할 수 있고, 경험이 쌓여서 본인의 나름 지혜가 생기게 되면 그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습니다.
과도한 위험은 절대 지지 않고 최소한의 안전은 항상 확보한 상태에서,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시면 새로운 세계가 보이실 겁니다.
16/12/23 17:37
수정 아이콘
주위에 돈 있다고 알리거나 분위기 풍기지 마세요. 똥파리들 많이 달라 붙습니다.
그것만 조심해도 절반은 성공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289 [질문] 지금 윈10 대란으로 구입하고 싶은데 [8] 까우까우으르렁3800 16/12/23 3800
95288 [질문] 이 노트북으로 간단한 웹코딩 가능할까요? [3] En Taro2834 16/12/23 2834
95287 [질문] 삼국지 13 pk 발매일이 어제 아니었던가요? [4] 지수5085 16/12/23 5085
95286 [질문] 나이키 탄준 런닝화 신고계신분 계신가요? [3] 꼬비4334 16/12/23 4334
95285 [질문] 스팀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김수영3309 16/12/23 3309
95284 [질문] 베네수엘라 윈도우 어떻게 될까요 [3] 테네브리움2990 16/12/23 2990
95283 [질문] 위쳐3 구매하려고 하는데 PC판? PS4판? [11] 정지연4067 16/12/23 4067
95282 비밀글입니다 삭제됨1936 16/12/23 1936
95281 [질문] 한국에서 먹는 일식과 일본에서 먹는 일식의 차이가 있을까요? [9] 예루리3597 16/12/23 3597
95279 [질문] 제주도에서 렌트카 질문 [13] gneroo4753 16/12/23 4753
95278 [질문] 오버워치할때 마이크도 많이 필요한가요? [4] Spirit2629 16/12/23 2629
95277 [질문] 배틀필드1 vs 타이탄폴2 어느 것을 구입할까요? [6] StillAlive3278 16/12/23 3278
95276 [질문] (창작용) 차량푸붐 절삭용 기계로 신체를 절단시.. [2] AspenShaker2089 16/12/23 2089
95275 [질문] 서울대입구역 초밥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드라카3710 16/12/23 3710
95274 [질문] 크리스마스 이브에 하남 스타필드(18개월아기포함)방문 어떨까요 [4] 라니안2582 16/12/23 2582
95273 [질문] 광명사거리에서 자가용으로 2~30분 거리이내 맛집이 있을까요?? 원스1954 16/12/23 1954
95272 [질문] 혹시 전자레인지 기능 되는 오븐 사용해보신분 있나요? 어느 브랜드가 좋을까요? [10] 판다3124 16/12/23 3124
95271 [질문] 로또 구매 질문입니다. [18] Healing3087 16/12/23 3087
95270 [질문] 청바지나 면바지 모두 어울릴만한 무난한 신발 없을까요? [21] 오렌지망고7313 16/12/23 7313
95269 [질문] 여자친구 생일선물(목걸이) 몰래 산다 vs 데려가서 고르게 한다 [25] 파츠12990 16/12/23 12990
95268 [질문] 취미로 화학chemistry을 배우고 싶습니다. [8] 몽유도원5508 16/12/23 5508
95267 [질문] 이런 폰 있을까요? [4] 테네브리움2369 16/12/23 2369
95266 [질문] [스타1] 맥북으로 런쳐 하는 방법..? [2] InDi4125 16/12/23 41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