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22 17:53:59
Name MayLee
Subject [질문] 학점은행제 학사 취득 후 석사 진학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나이는 내년에 31살이 되구요. 현재 중소기업 전산부 에서 약1년째 근무 중입니다.
여담이지만 아무래도 전산부에 있다보니 회사의 흐름이나 유지보수에 대해 경험은 쌓고 있지만 코딩적인 스킬을 쌓을부분은 거의 없습니다.
(제가 스스로 스킬을 쌓는 방법밖에 없겠죠)

여튼 질문 드리고 싶은건 제가 입사시에는 초대졸로 입사를 하였고 그에 따른 호봉으로 급여를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학점은행제 일정이 끝나서 2월쯤에 학사 취득 예정 입니다.
(인사부에 학사 예정서를 제출 했고 일단은 검토 해본다는 답변은 받았습니다.)

우선 학사 인정 여부에 관계없이 야간대학원을 통한 석사취득에도 관심을 두고 있는데요.
제가 원하는건 차후 이직시 "석사"급 대우가 아닌 다른 학사들과 어느정도는 동등한 대우입니다.

알아본결과 건X대가 직장인 장학금이 있어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있습니다.
회사와 집의 거리를 고려했을때 가장 이상적인건 연X대가 맞는데 등록금이 무시무시 하더군요...

여기서 질문을 드리자면 (1) IT 업계 특성상 스킬을 쌓는데 집중 하고 학점은행제 학사로 만족한다. (2) 건X대 석사를 취득 후 차후 이직 시 학사정도의 연봉을 제시하여 이직을 한다. (3) 학벌세탁 + 인맥쌓기 목적에 포커스를 맞추어 연X대학원에 진학한다. (졸업시까지 약4,000만 소진)

제 사수의 경우 학벌세탁이 목적이라면 돈을 들여서 3번을 권고하는데 다른분들의 의견도 묻고 싶어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ragaki Yui
16/12/22 18:15
수정 아이콘
학벌세탁이 목적이시면 일반대학원을 고려하셔야지
야간은 별도움이 안됩니다. 대부분 석사이상 요구하는 곳들도 일반대학원을 보통 말하는거구요...
16/12/22 19:22
수정 아이콘
그렇다면 야간 대학원을 나와도 초대졸+학점은행제학사 와 별반 사회적인 인식의 차이는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동네형
16/12/22 19:30
수정 아이콘
야간대학원. 아마 특수대학원 같은데요 제 지인은 인맥용 명함 받으러 간다고 말하고 갔습니다. 돈만내면 가는거 같고.. 랩생활이나 논문 심사도 없지 않나요?

저는지금 4년제 졸업하고 회사다니면서 방통대 석사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여기가 싸요.

박사 또는 창업하실꺼아니면 석사 학위자체는 급여에 큰 도움이 안되는거 같습니다. 저도 대기업이긴한데 석사가 저보다 50였나 100 더줬던거 같네요(연봉)
16/12/22 19:51
수정 아이콘
저는 석사대우를 원한다기보다는 초대졸이 아닌 대졸 처우정도를 원하는건데 어떤방법이 좋을까요 ?
동네형
16/12/22 19:57
수정 아이콘
학사 이번에 취득하셨다고 본문에...
16/12/22 20:01
수정 아이콘
아..제가 알기론 신입은 학사 취득을 전혀 인정해주지않는다고들 들어서.. 경력직 이직시 학사취득으로 충분할까요?
동네형
16/12/22 20:26
수정 아이콘
아.... 그러면야 상관없죠. 서류상의 학사는 취둑하신게 맞고. 학벌을 원하시는거라면 수능을 다시봐야... 그거도 좀 급이 많이 높아야 학벌 냄새라도 맡아보겠든데요;;;
16/12/23 10:23
수정 아이콘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5261 비밀글입니다 삭제됨1242 16/12/23 1242
95260 [질문] 시스템 종료시 특정 프로그램이 종료되질 않습니다. [1] Googlo2534 16/12/23 2534
95258 [질문] 개헌을 왜 하나요? [12] 삭제됨3801 16/12/23 3801
95257 [질문] 5월 초 신혼여행 경로에 대한 질문입니다. [8] 초키초킥2661 16/12/23 2661
95256 [질문] 1억이 있으시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35] 무한궤도4716 16/12/23 4716
95255 [질문] 오늘 저녁 서울시 교통정체 난이도가 어떻게 될까요? [5] 튜브2589 16/12/23 2589
95254 [질문] 제게 맞는 핸드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0] 유니꽃2887 16/12/23 2887
95253 [질문] 원룸 사시는 분들 겨울에 가스비 얼마나 나오나요? [13] CoMbI COLa14439 16/12/23 14439
95252 [질문] 쇼트트랙 월드컵 질문 [2] 꽃샘추위1728 16/12/23 1728
95251 [질문] [PS4] 용과같이제로 혹은 다른 타이틀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info21c4268 16/12/23 4268
95250 [질문] 인터넷 통신사 추천 가능할까요!? (서울 송파/빌라) [25] ManG4039 16/12/23 4039
95249 [질문] 사당 주위 참치 맛집 [2] 만두2918 16/12/23 2918
95248 [질문] 갤럭시7 vs 아이폰7은 취향 영역이겠죠? [15] 정성남자3177 16/12/23 3177
95246 [질문] 피부질문입니다 [1] 개떵이다1986 16/12/23 1986
95245 [질문] 과거에 최순실 게이트와 비슷한 사건이 있었나요? [8] 쿠쿠다스4681 16/12/23 4681
95244 [질문] 안녕하세요. 아파트 분양후 대출 질문입니다.. [2] 삭제됨2768 16/12/23 2768
95243 [질문] 옥션 iem 환불에 관해서 [2] 물리쟁이2017 16/12/23 2017
95242 [질문] 소프트렌즈 제일 편한게 어떤건가요? [8] 볼레로2439 16/12/22 2439
95241 [질문] PC 문의)최근 들어 PC 디스플레이가 자주 꺼집니다. [3] 그녀석2470 16/12/22 2470
95240 [질문] 본인의 vision을 구체적으로 서술해주십시오 [3] 마제스티7734 16/12/22 7734
95239 [질문] FM2017 을 위한 최적 노트북 사양 [7] K58073 16/12/22 8073
95238 [질문] [하스스톤] 친선전 퀘스트 같이 하실 분요 [5] 보라하라2460 16/12/22 2460
95237 [질문] 에어비디오 사용 시 자막이 안나옵니다. fRtJ2932 16/12/22 29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