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15 13:00:43
Name 적토마
Subject [질문] 장평대전은 과장이 아닐 수밖에 없지 않나요?
아니면 적어도 아주 미미한 과장이거나요.


사기 소진열전을 보면 소진이 제선왕을 설득하며 하는 말 중

"제의 수도 임치에는 7만호가 있는데, 집집마다 장정이 3명씩 있다고 가정하면 임치에서만 징병해도 21만이나 있습니다."... 따위의 대화를 하는데,
전형적으로 전국시대란 어떤 헬시대였나 그런 것을 보여주는 내용같습니다.

직접적으로 'xx전투에 xx명이 나갔음' xx에서 몇명이 죽음' 같은 것만 있고 그 시대상황이나 그런게 사료에서 살펴볼때 아다리가 안 맞는다면 과장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과장이 있을 수가 없죠. 진에 맞서라고 목숨걸고 가서 논파하는 논쟁 중에 나온 말이거든요. 이런게 말도 안되면 그런점을 지적하며 논쟁이 이어졌겠지만 제 측에서도 그러고보니 니말이 맞네... 진에 맞서볼까? 하고 결론내리며 대화를 이으니...

전국시대때 수십만씩 동원해서 싸웠다는걸 부정하려면 두 가지의 결론밖에 나올 수가 없는데

첫째는 이런 대화가 '수백년 수천년 후의 후손들이 이거보고 전국시대는 수십만씩 동원하며 싸운 시대였구나, 라고 자위하게 하기 위해서 수를 부풀려 말해야지' 라고 소진이 중요한 설득을 하는 와중에 저런 뻘짓을 하고
들어주는 사람도 '수백 수천년 후 후손들이 이거보고 우리가 수십만씩 동원하던걸 믿어야 하니까 여기서 응해야지' 라고 말도 안되는 판단을 내리면서 서로 대화했다는 결론이요,

둘째로는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역사서들 자체가 모든걸 다 조작해냈어야 했다고 하는 결론이지요.
회의론자가 정상인이라면 첫째같은 생각을 하는건 불가능하니 둘째의 결론으로 가게 될텐데, 이것 또한 말이 안되죠.
굳이 이 대화만 가지고 지적하는게 아니라 역사에 한결같이 수십만씩 싸운 사례들이 계속 있고 그로 인한 전투의 처절함 같은 것들이 다 기록되어있는데 그 시대의 각기 다른 사람들이 다 거대한 설정을 공유해서 짜내고 그걸 아다리 맞출려고 기록을 하나하나 조작해내는건 불가능합니다. 그렇게 할 수도 없고 한다 쳐도 그런 주작은 안 걸릴 수 없으니까요. 이건 맛폰이랑 인터넷가지고 서로 모여서 궁리하면서 해도 안되는 건데, 그 시대 그 넓은 지역에서 가능할리가.

그래서 수십만씩 격돌하고 수만이 죽고 하는 것들이 과장이 별로 없다고 생각되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15 13:44
수정 아이콘
클린턴 대통령의 명언이 해답이 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경제"
전쟁은 돈이 듭니다. 군사들을 무장시키고, 훈련시키고, 이동시키고, 먹이고... 다 돈이죠.
고대 중국의 국가들이 병력 '수십만'을 동원할 경제력이 없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하지만 이런 건 있을 수 있죠. 당시엔 모든 일을 인력으로 해결해야 했습니다.
1만의 무장하고 훈련을 받은 군대가 제대로 전쟁을 수행하려면, 10만의 지원 인원이 움직여야 했을 거란 추측은 신빙성이 있어보입니다.
근현대에 와서는 이런 지원 인원을 병력과 구분해 헤아림하지만, 고대 중국에선 전부 뭉뚱그려 셌을 가능성도 충분하고요.
펠릭스
16/12/15 13:5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소위 말하는 '전국시대'에 인구수 대비 병력 비율은 확실히 증가합니다. 거의 유목민들을 수준이지요. 체제를 갖추고 전후방을 구분하는게 아니라 총력동원 체제니까요.
적토마
16/12/15 18:53
수정 아이콘
상비군을 운용하면 그렇겠지만 징집해서 갖다박고 징집해서 갖다박고 하는 식이라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말하는 사례들은 후자의 경우고요. 그리고 저도 순수전투인원이 아닌 마초를 나르고 치중 나르고 하는 사람들까지 포함한거라 생각합니다.
절름발이이리
16/12/15 13:45
수정 아이콘
저런 시대의 경우, 조선왕조실록처럼 그 현장에 있던 사람들이 회의록을 작성해둔 걸 취합한 게 아니라, 후시대의 역사가가 구전이나 본인 생각이나 여러 사료나 사항을 끌어 모아 새로 저술한 겁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저런 서술 자체가 당대의 기록이 아니며, 후대의 기록입니다. 당장 사기의 저술시점은 장평대전이 일어난 시기로부터 150년쯤 후입니다. 그래도 사기의 경우는 상당히 객관성을 높게 인정받는 역사서지만, 다른 사서들은 작성자의 주관성이 폭발하거나, 자료가 부족해 폭주하는 경우도 매우 많습니다. 이를테면 성경조차도 역사 자료지요.
그래서 장평대전이 과장이 맞다/아니다란 얘기가 아니고, 말씀하신 식으로 단순 추론을 하면 곤란하다는 겁니다.
적토마
16/12/15 18:57
수정 아이콘
춘추전국시대에는 사관이 있었습니다. 공자의 춘추도 노나라의 사관이 적은 기록들을 조합하고 편집해서 낸 것이며,
진시황이 분서때 타국들 사서룰 태우기도 했죠.
사기의 정확성이 숭앙되는 이유도 갑골문파보니 거기 기록된 왕 계보가 사마천이 써놓은 거랑 죄다 맞아서입니다. 춘추전국이 아닌 그 이전 은나라 시대에도 기록하여 남기고 했어요
절름발이이리
16/12/15 19:23
수정 아이콘
아예 없었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녹취록 같은 느낌의 기록물들이 아니란 얘기죠.
적토마
16/12/15 19:34
수정 아이콘
은은 제가 잘 모르겠는데 주~ 춘추전국시대엔 그런게 맞습니다. 상, 주시대때부터 사관들이 있었고 이들이 기록한 것은 3240편이며 그중 공자가 100편을 추린게 서경이에요.

저도 그 시대에 대해서 자세히 몰라서 넷에서 찾아본 링크를 올리는데 은 시대에만 해도 꽤 사관제도가 고도화 되어있었던 듯 합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clPoDAAAQBAJ&pg=PA8&lpg=PA8&dq=%E5%8F%B2%E5%AE%98&source=bl&ots=rLAtcRvNnl&sig=Mq3IJT2l8NwFsCaSx8YvANEsmzE&hl=ko&sa=X&ved=0ahUKEwjPpMSu__XQAhXCxrwKHQkODe8Q6AEISzAK#v=onepage&q=%E5%8F%B2%E5%AE%98&f=false
16/12/15 13:5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수천년전 이동/운송 수단이라곤 바퀴달린 우마차밖에 없는 시대에 그 넓은 중국 땅덩어리에서 어떻게 20-30만넘는 병력의 병참을 유지시켰을지가 궁금하더군요.

일정 분량의 식량은 개개인이 들고 갔더라고 한계가 있을것이고. 점령지 약탈? 둔전? ...아무튼 상상이 안갑니다.
전 역사서에 나온 머리숫자는 비전투인원 및 연인원개념의 뻥튀기된 숫자지.. 순수 전투병력의 숫자는 아닐거 같습니다.
cadenza79
16/12/15 16:37
수정 아이콘
이 글을 보니 문득 한제국건국사의 저자인 윤민혁의 분석이 떠오르네요.
뭐 병력이 말도 안 되게 나오는 판타지소설을 돌려서 까려는 글이라 웃자고 쓴 것이긴 한데 꽤 의미있게 본 기억이 나네요.

http://www.typemoon.net/freeboard/553789
16/12/15 14:05
수정 아이콘
30만을 파묻은 것은 과장이 들어갔다고 보지만 장평대전으로 위태하던 조나라가 작살났다는 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4933 [질문] 128 가성비 ssd 추천부탁드립니다. [12] Veneta3602 16/12/17 3602
94932 [질문] 일본 반찬 질문 [3] Kobe2651 16/12/17 2651
94931 [질문] 홍콩+마카오+광저우 여행 환전 질문입니다 [2] nekorean3474 16/12/17 3474
94930 [질문] 부모님 칠순기념 해외여행에 대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플래쉬3362 16/12/17 3362
94929 [질문] 모바일 크롬에서 접속시 화면이 빨개지네요. 뻐꾸기둘2226 16/12/17 2226
94928 [질문] 보험가입 고민입니다. [1] 하우두유두2625 16/12/17 2625
94927 [질문] 요즘 중고거래 어디서 많이 하나요? [4] 캐리커쳐2493 16/12/17 2493
94926 [질문] 만약 유명한 사람을 만난다면 [26] 알토이스4325 16/12/17 4325
94925 [질문] 웹툰 덴마 질문 [5] 치열하게2726 16/12/17 2726
94924 [질문] CS:Go는 어디서 즐기시나요? [3] I.O.I2319 16/12/17 2319
94923 [질문] 여자친구의 부모님(일본인)께 드릴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아라리3873 16/12/17 3873
94922 [질문] 어학용도로 쓸 앱 있을까요? [3] 소피스트2624 16/12/17 2624
94921 [질문] 외국인과 할 만한 아이스 브레이킹 추천 해주실 수 있나요? [2] BIFROST5277 16/12/16 5277
94920 [질문] 사당쪽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으흫3241 16/12/16 3241
94919 [질문] 크리스마스이브 에버랜드 가볼만 한가요? [2] 정성남자2953 16/12/16 2953
94918 [질문] 서울 살기좋은지역 추천부탁드립니다! [6] 성기사2569 16/12/16 2569
94917 [질문] 연예인들 반사판대용으로 흰종이 쓰는 이유가 뭔가요? [7] 후추후추6432 16/12/16 6432
94916 [질문] 혹시 피지알 서버 해외에 있나요?? [2] 몰랑이2531 16/12/16 2531
94915 [질문] V20 핸드폰 기프트팩 해보신분 계신가요? [1] 레너블2324 16/12/16 2324
94914 [질문] 영화나 미드 대본 구할 수 있나요? [4] 아니이걸왜들어가2455 16/12/16 2455
94913 [질문] 노트북 선택 질문입니다 [5] 미운털파카2841 16/12/16 2841
94912 [질문] PC견적 확인 부탁드립니다. [4] BES2827 16/12/16 2827
94911 [질문] 부르기 쉬우면서도 노래방 같은 데에서 분위기 다운 안시킬만한 노래 좀 추천해주세요 [23] 가고또가고3966 16/12/16 39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