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2/15 10:19:17
Name 크로스번
Subject [질문] 만일 여유가 된다면 지금 연금이나 적금을 들어두는 게 좋은 선택일까요?

고민중입니다...

지금이 연금이나 적금을 들기 좋은 시점일까요?

주식투자가 그냥 낫다는 사람도 있고
아니면 저축이 갑이라는 사람도 있고...
확실한 건 저축이겠지만 그래도 더 나은 선택이 있나싶어서 보던 중
연금이나 적금이 눈에 띄네요
지금 시점이 연금적금 들기 괜찮은 시점일까요?
만일 든다면 어떤 은행이 좋을지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eatherangel
16/12/15 10:27
수정 아이콘
자산관리는 지금 어떤 상태인지, 앞으로 어떤 상태가 될 지 알아야 좀 더 좋은 답변이 될 거 같습니다.
현재 나이는 몇인지, 수입은 얼마인지, 결혼은 했는지, 앞으로 큰 돈 들어갈 일(자동차 혹은 집 구매)은 언제 있을 예정인지, 한 달 생활비를 제외하고 여유자금은 얼마일지 등의 정보가 있으면 좀 더 좋은 답변이 달릴 것으로 보입니다.
정지연
16/12/15 10:27
수정 아이콘
어느 정도 금액을 어느 기간만큼 묶어 둘 수 있을지, 목적이 뭔지에 따라 달라지겠죠..
큰돈을 일시에 몇년 이상 묶어둘 수 있는데 안정적으로 두고 싶으면 정기예금
매달 일정금액씩 몇년 이상 묶어둘 수 있는데 안정적으로 두고 싶으면 적금
매달 일정금액을 수십년간 정기적으로 납입할 수 있고 지금 당장 쓸 생각은 없고 은퇴후에 쓰겠다 하면 연금
돈을 날릴 위험성을 감수하면서도 돈을 불리고 싶으면 펀드.. 펀드 매니저 놈들 못 믿겠다 하면 직접 주식투자..
서낙도
16/12/15 10:31
수정 아이콘
장기로 묶어놓으실 계획이고, 납부 세금이 많으시다면, 세금공제 되는 연금 알아보시는게 어떨가요?
일반 예금이자 세금 공제액이 몇배 되는거 같던데..
도라귀염
16/12/15 15:31
수정 아이콘
적금은 물가상승보다 못한 재테크라서 연금펀드같은걸 드시는게 어떨지 차라리
16/12/16 11:42
수정 아이콘
현직 FC입니다.
이런 종류의 글에는 각종 의견들이 난무하게 됩니다만,
현업으로 종사하는 입장에서는 전문가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단순히 적금이라면 금리가 높은 은행을 찾아가시면 되지만,
연금이라면 적용 공시이율이나 사업비 등을 비교하셔야하고,
목적하시는 기간과 현재 재무상태 등을 고려해서 가입액 선정부터 상품 선정까지 일일이 신경 써야합니다.

이런 과정없이 특정 상품을 가입하시는 경우에
나중에 연금이나 보험은 쓸모없고 손해라는 인식만 갖게 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현재 국내에서 판매 중인 연금은 100종이 넘고 특장점이 달라서 일반적인 추천은 어렵습니다.


ps.
연금 같은 안전자산을 마련하기에 적기는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충분한 고려 이후에 준비하신다면 그 때가 최선입니다. (적정 시기가 아니라면 충분한 고려 중에 결정을 미루게 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4853 [질문] 3.5인치 hdd 외장하드 케이스 인식 문제 [2] 큐빅스3159 16/12/15 3159
94852 [질문] [WOW] 컴퓨터 업그레이드 질문입니다. [5] StayAway2601 16/12/15 2601
94851 [질문] 벽걸이 tv 이동 업체가 있나요? [4] 잠원동김군5278 16/12/15 5278
94850 [질문] 250만원정도(그래픽카드 제외) 컴퓨터 본체 관련 견적 도움이 필요합니다. [9] 홀리워터3673 16/12/15 3673
94849 [질문] 테블릿같은 와이파이전용기기는 지하철에서 사할용수 없나요? [6] 정공법3307 16/12/15 3307
94848 [질문] 회사 워크샵중 쉬는시간 감상할만한 동영상 있을까요? [17] 테란메롱4479 16/12/15 4479
94847 [질문] 미국에서 아보다트를 구할 수 있을까요? 캐리커쳐2809 16/12/15 2809
94846 [질문] . [40] 삭제됨5472 16/12/15 5472
94845 [질문] 조립식컴퓨터를샀습니다 [7] 원딜은안해요3222 16/12/15 3222
94844 [질문] 대구 이월드 근처 분위기 좋은 식당 있나요? [5] 사이시옷4501 16/12/15 4501
94843 [질문] 대학로에 80~90명이 들어갈 수 있는 호프가 있나요? [3] 삭제됨2827 16/12/15 2827
94842 [질문] 빔, 컴퓨터, 아이패드의 화면을 동기화(?)할 수 있나요? [2] 참된깨달음3045 16/12/15 3045
94841 [질문] 직장에서 오퍼를 받고 대기 중에 같은 그룹 다른 계열사에 지원.. [3] 미나리돌돌3979 16/12/15 3979
94840 [질문] 가평의 아침고요수목원은 밤에만 볼만한가요? [10] 예쁜여친있는남자3018 16/12/15 3018
94839 [질문] SK 포켓파이 품질저하... 동물확대범3083 16/12/15 3083
94838 [질문] HDD 인식 질문입니다. 아름답고큽니다2219 16/12/15 2219
94837 [질문] 핸드폰 메인보드사망.. 업체통해서 예전핸드폰 데이터복구.. [2] 삭제됨2635 16/12/15 2635
94836 [질문] i5 4690 내장 그래픽 성능은 어느 정도인가요? [8] StillAlive9273 16/12/15 9273
94835 [질문] 식기 없이 아침식사 뭐있을까요 [8] 다크템플러3113 16/12/15 3113
94834 [질문] 강남쪽 게스트하우스 정보 아시는분 계신가요? [1] Meanzof2072 16/12/15 2072
94833 [질문] 우리나라 이름같은 외국 스타 누가 있을까요? [30] 23983 16/12/15 3983
94832 [질문] 같은 기업에 자소서를 복붙해도 될까요? [5] 달토끼9571 16/12/15 9571
94831 [질문] 고속버스 그물망에 쓰레기 두고 가시나요? [30] 종이컵7704 16/12/15 770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