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1/21 13:06:14
Name G70
Subject [질문] 만약 한국에서 기부입학이 허용된다면 금액은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밑의 기사는 트럼프 사위가 실력이 아닌 30억 기부로 하버드에 입학했다는 기사인데요.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422&aid=0000227558&date=20161121&type=2&rankingSeq=2&rankingSectionId=104



만약 한국에도 기부입학이 허용된다면 각 대학별로 금액은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학과는 경영학과 혹은 기계공학과로 가정하고 질문 드려봅니다.



<예시>
경영학과
서울대: 10억
연고대: 7억
서성한: 5억
중경외시: 3억
.
.
.
등등...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손금불산입
16/11/21 13:18
수정 아이콘
10억 정도로 동등하게 학사를 딸 수 있다면 대한민국 상류층은 일단 연고대부터 깔고 시작하겠죠. 효용을 떠나서 그 정도의 재력이 있는 사람은 대한민국에 꽤 있다고 봅니다.
프로취미러
16/11/21 13:20
수정 아이콘
한 50억??
정지연
16/11/21 13:2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대학입학이 가지는 상징성을 생각해서 서울, 수도권내면 건물 한채 올리는 비용 + 땅값 정도는 돼야 한다고 생각하고 땅값이 싼 지역이면 작은 캠퍼스를 지을 정도의 땅넓이 정도는 기부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6/11/21 14:04
수정 아이콘
의예 등 특수과는 제외하고 아무리 적어도 5억에서 시작해서 상한선은 없어야죠.
바닷내음
16/11/21 14:17
수정 아이콘
기부입학이 된다면 위에 적힌거보다는 더 싸게 하고
기부입학여부와 무관하게 졸업이 현재와 같이 쉬우면 안된다고 봅니다.
순규성소민아쑥
16/11/21 14:21
수정 아이콘
람씀하신 금액*5 정도에 졸업은 바닷내음님 말씀처럼 어려워야죠.
서울대 10억은 너무 싸요...
16/11/21 14:31
수정 아이콘
서울대 10억은 너무 싸요...(2) 45억++ 봅니다..
연세대 30억?.. 정도
16/11/21 14:35
수정 아이콘
연고 20~30억
서울은 최소50억?
Paul Pogba
16/11/21 14:53
수정 아이콘
넥슨에게 맡기면 어떨까합니다

부분유료화

실력을 돈으로 사는거죠

천정부지로 돈이 솓는겁니다

입학은 쉬워요

실력으로 뚫으면 등록금만 내면 됨

근데 실력 없음 캐쉬질 해야함 3억

첫시험 낙제 기부입학자는 학고 한번에 퇴학

f학점 c로 올리기 1억

대리출석 1회권 천만원


학고 한번 막기 10억 뭐 이런식으로


아무리 기부입학으로 왔어도 실력을 안키우면 돈이 천정부지로 솓는거죠.

근데 진짜 레알 캐쉬로만 졸업하고 싶다

한 천억 들게....

학점까지 쩔게 졸업하고 싶다 2-3천억 들게

이건 일부 국고 환수로...


그냥 액수는 예시입니다
흙수저라 돈 감각 없어요
16/11/21 15:05
수정 아이콘
미국이 기여입학제(기부입학제)를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듯이 가격이 있고 그 가격만큼 지불을 하면 입학이 허용되는 형태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명문대는 가족이 그 대학 동문이어야하고 사회적 명망등 여러 조건을 학교 및 기관에서 심사한후에 기부금은 개별적으로 협상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확실한건 아닙니다만 아이비리그대학은 금액이 100억원대인걸로... 그리고 의외로 미국상류층 중에서 기여입학제로 입학하는 경우는 드물어요. 극단적인 예입니다만, 정유라의 예와 같이 승마, 조정 등 고급스포츠를 익힌다거나 아니면 일반학생들이 겪기 힘든 '경험' 을 바탕으로 에세이를 채워서 정식으로 입학하죠. 보기는 그럴듯해 보입니다만, 사회구조학적으로는 상류층에 대한 특권이나 다름 없기는 합니다.
forangel
16/11/21 15:16
수정 아이콘
5억 시작해서 경매요.
과에 딱2프로 이하 비율로...

경매할땐 신분 보호및 단합방지를 위해
가면경매 하고 공정성을 위해 아프리카로 방송도 하고...
엄청 재미있을듯.
16/11/21 15:5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엣헴엣헴
16/11/21 16:06
수정 아이콘
한 100억...?
네오유키
16/11/21 16:20
수정 아이콘
그 과 학생들 전학기 학비 정도? 그리고 그 돈을 정말 학생들 학비로 썼으면 좋겠네요.
16/11/21 16:48
수정 아이콘
그럼 생각보다 안 비쌀걸요. 4년 전액 장학금을 8*400=3200일텐데 과 학생 100명해도 32억이죠. 전 그래서 개인적으로 기부입학 찬성합니다. 한명으로 50-100명 공짜로 교육시킬 수 있다면야..
밥돌군
16/11/21 16:22
수정 아이콘
명문대 교수가 레포트까지 써주는 세상이라 기부입학을 하면 성적등으로 다른 학생에게 피해가 될 것같습니다. 기부입학금 + 학교 다니는 동안 같이 수업듣는 학생들 등록금을 다 대주는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요?
인간_개놈
16/11/21 16:36
수정 아이콘
최소 잔디 100헥타르는 기부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대충 30만평 정도 되겠네요
찍먹파
16/11/21 17:47
수정 아이콘
저는 100억대 예상합니다. 그래야 학생들 등록금 대주고 기숙사비내주고 하지요.
16/11/21 19:42
수정 아이콘
학교당 1년에 1명씩 혹은 2명....기부금은 그 1명 혹은 2명이서 그해의 학비 전액을 부담

서울대 1명이면 연고대는 2~3명...대학등급별로 숫자를 늘리면 ;;;
이센스
16/11/22 05:57
수정 아이콘
서울대 : 50억
연고대 : 40억
나머지 상위권대 : 30억
인서울 중 하위권대 : 5~10억

이 정도하면 괜찮지 않을까요
그리움 그 뒤
16/11/22 10:07
수정 아이콘
미국처럼 입학은 쉬우나 졸업은 쉽지 않은 체제와 달리 우리나라처럼 입학이 어렵고 졸업이 쉬운 체제에서는 미국과 기부입학제도의 생각이
달라야 한다고 봅니다.

그와는 별개로 기부금을 산정해본다면 학교불문하고 최소 50억 이상 + 신원 공개 한다면 찬성하겠습니다.
수면왕 김수면
16/11/23 13:55
수정 아이콘
아들 부시가 듣기로는 당시에 800만불 +a를 내고 예일 갔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막상 아들 부시도 SAT 점수가 의외로 높았던 부분은 사실이니 SAT 점수 외의 사회활동, 봉사활동, 에세이 등등 모자란(?) 점수만 메꾸는데 당시 100억 가까이 냈다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3593 [질문] 인중 뾰루지 원인 [1] skWoo4363 16/11/22 4363
93592 [질문] 알리바바에서 물건을 하나 주문했는데 판매자측에서 쪽지가 왔습니다 [4] 맨디블2288 16/11/22 2288
93591 [질문] PGR에 기준치 넘는 사진이랑 2장넘게 사진 어떻게 올리죠? [4] 물리쟁이1374 16/11/22 1374
93590 [질문] 노트북 추천 요청드립니다 (와우) [4] Iamserious3031 16/11/22 3031
93589 [질문] KBO 위시 라인업을 짠다면 누굴 뽑으시겠나요. [26] 軽巡神通2284 16/11/22 2284
93588 [질문] 캐시미어 코트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Liverpool FC4048 16/11/22 4048
93587 [질문] 클래시로얄 입문 팁이 있을까요? [8] 진짜진짜라면2917 16/11/22 2917
93586 [질문] 20대 중반 남성입니다. [22] 거자필반3549 16/11/22 3549
93585 [질문] 나이키 농구화 매장 추천 [4] 나성범5710 16/11/22 5710
93584 [질문] LTE요금제로 태블릿 사용중인데 문자 기능을 쓰고 싶습니다. [1] 삭제됨2044 16/11/22 2044
93583 [질문] [게임]더롱다크 고수분들께 여쭙니다!! [3] todTmfprl7042 16/11/22 7042
93582 [질문] 노트7 환불 절차 [3] 이혜리1918 16/11/22 1918
93581 [질문] 인스타 그램 쓰시는분 [2] Xeri2402 16/11/22 2402
93580 [질문] 정장 와이셔츠 입을 때..질문입니다. [16] 삭제됨5342 16/11/22 5342
93579 [질문] 이적 콘서트 공연 시간 질문입니다. [2] 삭제됨2122 16/11/22 2122
93578 [질문] 윈도 폴더창 질문입니다... [2] 1llionaire1695 16/11/22 1695
93577 [질문] 사진 원본(기사)를 찾습니다 [3] 레이스티븐슨2108 16/11/22 2108
93576 [질문] [LOL] 랭겜 시즌 초기화? [6] 쿠쿠다스2569 16/11/22 2569
93575 [질문] 자신이 무엇을 하고싶은지 정확히 인지하나요? [27] 롯데닦이3261 16/11/22 3261
93574 [질문] 국비지원 받으며 기술을 배워보려고 하는데요 [4] 아리아리해2866 16/11/22 2866
93573 [질문] 현대미술 질문입니다. (추가) [38] 성기사3762 16/11/22 3762
93572 [질문] 양파, 마늘, 오이, 당근 등의 초절임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이 있나요?? [8] 나이스데이2480 16/11/22 2480
93571 [질문] 일본음식 (젓갈류) 관련 질문 [4] akroma1990 16/11/22 19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