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6/11/14 13:01:59
Name 첫마을7단지
Subject [질문] 운동을 무리하게 한 다음날부터 뒷골이 많이 땡깁니다.
약 2주동안 몸, 마음 둘다 앓다가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피지알에도 질문글을 남겨봅니다. ㅠㅠ

요즈음 헬스장에서 PT를 받고 있는데 처음에는 아는 사람과 같이 가볍게 받다가 약 한달반 정도 전부터 근력운동도 시작했습니다.

태어나서 원체 근력 운동을 제대로 해본적이 없는 터라 첨에는 벤치프레스의 경우 빈봉도 겨우하고 스쿼트도 뭐 하나라도 올리면 힘들어 했습니다.

그래도 PT 받으면서 운동에 재미를?! 좀 느껴서 즐겁게 하면서 무게도 늘렸습니다. 그래 봤자 가벼운거 하나씩 끼운정도지만..

특히나 일주일에 하루는 혼자서 트레이너분과 1시간정도 열심히 무게를 치고 있는데요. 그날은 정말 한계까지 한다고 아득바득 힘쓰다가 운동끝나고 머리가 어지러웠습니다.
가끔 띵했던 적은 있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겼습니다.

그러다가 주말이 되니까 오른쪽 목 뒷부위부터 뒷머리까지가 땡기더군요. 뒷골은 좀 찌릿하듯이 땡겼습니다.

그 이후에 병원을 3번이나 들락거렸습니다. 첨에는 신경외과를 가서 위에 적은 말들을 주저리주저리 했더니 특별한 진찰 없이 운동 안하던 사람이 갑자기 무리하게 하니까 그런거다 하고 진통제만 끊어주었습니다.

그 이후에도 계속 아파서 정형외과를 가본게 지난주 월요일입니다. 계속 아파보니 누워있을때는 통증이 전혀 없길래 목이 아픈건가.. 의심되서 정형외과를 갔습니다.

정형외과에서는 엑스레이 한번 찍고 "거북목이다." 하고 진단 내려주시더니 물리치료 받고 약 지어서 왔습니다. 목요일에 다시 한번 갔더니 특별한 진찰 없이 물리치료실로 바로 보내서 또 물리치료만 받고 왔구요.

그래도 통증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고 있습니다. 병원을 가도 시원하게 알려주는것 같지를 않아서.. 거북목이 원인일수는 있지만 거북목인게 지금 뒷골이 찌릿하게 땡기는 원인의 전부같다는 생각이 전혀 안 들어서요 .

병원을 바꿔서 가봐야할까요? 간다면 어떤 과로 가야할까요? 혹시 이런 경험을 하신분이 있나요?
"아프면 병원가라"는 말을 요새 열심히 실천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별로 신통치 않은것 같아 답답해서 이쪽에도 질문을 드립니다.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귀여워귀여워
16/11/14 13:22
수정 아이콘
목 근육통이 심하면 두통이 올수도 있다고 하던데, 의사나 약사는 아니지만 그럴경우는 근육이완제가 효과가 좋더군요
첫마을7단지
16/11/14 13:48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정형외과 갔을때 약을 지어줬는데 거기에 근육이완제가 포함이 되어있더라구요!
16/11/14 13:43
수정 아이콘
정형외과 의사가 직접 봐도 시원한 답이 안 나오는 걸 피지알에서 알려달라 하시면... 거북목이 원인의 전부일 리가 없다는 판단의 근거도 잘 모르겠구요...
정렬이 안 좋은데 운동을 빡세게 하면 몸이 기상천외하게 아픈 경우가 많은 것 같던데, 근골격계 질환은 당장 죽거나 생활에 지장이 있는 병이 아니다보니 외과의사 분들은 별로 신경 안 쓰는 것 같기도 해요. 차라리 그런거 잘 보는 한의사나 물리치료사한테 가보시는게 나을수도.
첫마을7단지
16/11/14 13:50
수정 아이콘
거북목이 원인의 전부일리가 없다는 판단은 거북목인 모든 사람들이 뒷골이 땡기지 않을뿐더러 저 또한 2주전부터 갑자기 거북목이 되어 뒷골이 땡기는게 말이 안되서 였습니다. 거북목인데 + 불안정한 자세로 운동을 했다든지.. 이런 원인이면 몰라두요.

제가 가장 걱정하는게 말씀하신것처럼 의사분들이 별로 관심을 안가지는것 같은 태도 때문이었네요. ㅠㅠ
아프다는데 두번째 갔을땐 그냥 바로 물리치료로 보내기도 하고. 지장이 없는 병이면 이러다 마니까 물리치료만 잘 받으면 된다는 말이라도 해주면 안심을 하겠는데 도무지 제대로 말을 해주질 않으니..
달달한고양이
16/11/14 14:08
수정 아이콘
많은 경우 젊은 사람이 가면 그런 반응을 보이더라구요...=_=; 저도 허리가 제법 신경쓰이게 아파서 갔더니 평소에 운동하세요 해서 그렇다고 하자 엑스레이는 일단 찍고 휘휘 보더니 근육통이죠 하고 대충 약 처방 물리치료 처방...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제자리 길래 좀 큰 병원 가서 제대로 말하고 CT 찍자 디스크가 살짝 부었다고...ㅠㅠ.... 영 신경쓰이시면 큰 병원 추천합니다.
16/11/14 14:12
수정 아이콘
거북목 있으면 아플 수 있죠. 저도 목을 다친 후 치료는 다 받았음에도 아직까지도 턱걸이같은 운동 못 합니다. 하면 목 뒷쪽이 설명하기 어려운 상태로 불편하거든요. 약간의 추간판 팽윤과 거북목인데 근육이 긴장된 상태(자세가 안 좋거나 운동을 하거나)가 되면 목이 아프기 시작합니다. 강해질때까지 계속 풀어주면서 운동하거나 그냥 안 하거나 둘 중 하나입니다.
첫마을7단지
16/11/14 16:05
수정 아이콘
답변 달아주신 모든 분들 대단히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16/11/14 17:26
수정 아이콘
상부승모근은 후두부에도 닿아 있습니다. 이 근육이 제 기능을 못하면 신경을 눌러서 두통이 발생하곤 한대요.
7단지님의 진단은 신경외과에서 받아야하고 약은 약국에서 타셔야 하겠지만, 근육의 약화로 문제가 발생했다고 가정하면 스스로도 근육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있기도 할 것 같아요.
몇일 운동 푹 쉬면서 사우나좀 다니세요 크크 뜨건물에 지지고 사우나 하고 맛있는거 먹고 하다보면 싹 사라지실거에요.
동네형
16/11/15 21:16
수정 아이콘
좀 지났는데 댓글 답니다.

https://pgr21.com/?b=8&n=62562
동네형
16/11/15 21:19
수정 아이콘
몸의 균형은 안맞는게 정상이고 그걸 맞추거나 몸이 적응하거나 둘중하나로 변화합니다.

몸이 변화한상태에서 운동을 다시하다보니 효율적인 동작을 하기위해 기존의 몸의 발전방향의 반대되는 데미지들이 몸에 쌓이겠지요.

거북목이 있다하시니 허리 승모 목 쪽의 문제였을꺼 같고 이쪽이 개선되는 방향으로 보입니다. 통증이 더 심하다면 불균형쪽으로 포인트 잡고 운동해봇요
첫마을7단지
16/11/16 13:31
수정 아이콘
운동할때 올려주신 글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
답변 감사드리고 건강한 몸 갖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하빈다
동네형
16/11/16 17:02
수정 아이콘
혹여나 서울쪽이면 몇군데 연락드려볼만한 분 있으니 치료받거나 상담 필요하시면 회신 주세용
첫마을7단지
16/11/17 10:12
수정 아이콘
지방이라서..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3176 [질문] [lol] 왜 진 허공으로 치솓은 버그는 이슈가 안될까욤 [6] 이워비2822 16/11/15 2822
93175 [질문] 매운음식 먹고난 다음날.. (지저분 주의) [10] 서낙도4304 16/11/15 4304
93174 [질문] 이걸 뭐라 그러죠..? [8] 장미베개2561 16/11/15 2561
93173 [질문] 사기? 너무 힘들고 어려운 상황입니다.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13] 골든글러브3357 16/11/15 3357
93172 [질문] 4대 보험 관련해서 질문+돈 갚기. [6] 물리쟁이1728 16/11/15 1728
93171 [질문] 팝음악 한곡을 찾고있습니다 [1] 애식대장1736 16/11/15 1736
93170 [질문] 마녀의 샘 같은 모바일 게임 추천해주세요 [2] 중년탐정김정일7476 16/11/15 7476
93169 [질문] 커널형이어폰(BBX)팁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노노리리1703 16/11/15 1703
93168 [질문] 몇 살까지 살고 싶으십니까? [40] 삭제됨2958 16/11/15 2958
93167 [질문] [영어] 독해문제중에 일치,불일치 팁이 없나요? [1] 쉘든4569 16/11/15 4569
93166 [질문] 트위치 동영상만 안나오는데 이유 아시는분?? [2] Waldstein2338 16/11/15 2338
93165 [질문] [스타1] 3:2 팀플 전략 질문 [12] 우니2482 16/11/15 2482
93164 [질문] 구글포토 PC 동기화 질문입니다. [2] 탄야3590 16/11/15 3590
93163 [질문]  통풍 직격타 당했습니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20] 토욜저녁축구와치맥캬6593 16/11/15 6593
93162 [질문]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질문입니다. [12] 마파두부5694 16/11/15 5694
93161 [질문] 주식으로 돈 버신분들이 있나 궁금합니다. [43] 전설8186 16/11/15 8186
93160 [질문] 액정보호필름 안해도 괜찮은가요? [14] 헬로비너스나라4075 16/11/15 4075
93159 [질문] 도널드 트럼프를 알기 위한 책 부탁드립니다. [2] 지금이시간2250 16/11/15 2250
93158 [질문] 엑셀 표시 형식 변환 문의 드립니다. [2] 설탕가루인형형2235 16/11/15 2235
93157 [질문] 월급 루팡 질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5] 이혜리2960 16/11/15 2960
93156 [질문] [하스스톤] 9 황금전설달면 뭐있나요? [8] 삭제됨2050 16/11/15 2050
93155 [질문] 엑셀 시트 추가 무더니3318 16/11/15 3318
93153 [질문] 과학 알 못이 질문드립니다 [2] 1883 16/11/15 18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